629 0

‘수필’ 개념을 둘러싼 학술 담론과 교육 담론의 긴장

Title
‘수필’ 개념을 둘러싼 학술 담론과 교육 담론의 긴장
Other Titles
Essay on the Tension between Academic Discourse and Educational Discourse around the Concept of 'Su-Pil'
Author
류수열
Keywords
학술 담론; 교육 담론; 문학 지식; 장르 지식; 문학 갈래 교육; 수필; 수필 교육; academic discourse; educational discourse; literature knowledge; genre literacy; literature genre education; Su-pil; Su-pil education
Issue Date
2019-12
Publisher
한국문학교육학회
Citation
문학교육학, No. 65, Page. 129-166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필’ 개념의 모호성을 둘러싼 학술 담론과 교육 담론의 긴장 관계를 살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학술 담론의 수필 개념 형성 및 변화 과정을 ‘에세이와의 동일시를 통한 수필 개념 형성’, ‘수필의 속성 탐구를 통한 자생적 개념화’, ‘고전 산문 포섭을 통한 수필 개념의 외연 확장’의 세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수필 개념의 모호성이 발생한 과정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수필 개념이 교육 담론으로 전이될 때 나타나는 학술 담론에 대한 교육 담론의 대응 양상을 교과서 지식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수필 개념을 둘러싼 학술 담론과 교육 담론의 긴장 관계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수필 개념의 모호성에 대한 교육 담론의 대응 양상은 쟁점 수용의 차원에서는 ‘쟁점의 반영에 따른 수필 개념의 모호성 유보’와 ‘쟁점의 소거에 따른 수필 개념의 단순화’의 두 가지 양상을, 이론의 선택적 수용 차원에서는 학술 담론의 수필 개념 발전의 세 가지 단계에서 파생된 관점이 교육 담론의 자체적인 논리에 따라 선별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학술 담론에서 지식이 생산되어 교육 담론으로 전이되고 유통되는 과정에서 학술 담론과 교육 담론의 긴장 상태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교육 담론에서의 혼란이 발생하는 것은 비단 문학 갈래의 개념에 한정된 문제가 아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서는 학습자의 수준과 발달 위계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들을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인 개선 방향의 제시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nsion between academic and educational discourse over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Su-Pil'. To this end, the process of forming and changing the concept of 'Su-Pil' in academic discourse was first divided into three stages: 'Su-Pil' through identification with the essay, 'Su-Pil' by exploring the properties of 'Su-Pil' and 'Expanding the extension of 'Su-Pil' concept searching possibility of classical prose' and Su-Pil concept of 'Su-Pil'. Next, when the concept of 'Su-Pil' was translated into educational discourse, the responses of the educational discourse to academic discourse were reviewed centering on textbook knowledge and confirmed that there was tension between academic discourse and educational discourse around the concept of 'Su-Pil'. The counteract of the educational discourse to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Su-Pil' was divded into two level: 'the level of accpetance of the issue' and 'the level of select a theory among academic debates.' In the course of the production and transfer of knowledge from academic discourse to educational discourse, the tension of academic discourse and educational discourse arises, and confusion in educational discourse accordingly is not limited to the concept of literary change. Such problems will require more effective direction of improvement based on empirical studies of learners' levels and developmental hierarchies.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75000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5860
ISSN
1229-487X
DOI
10.37192/KLER.65.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