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상민-
dc.date.accessioned2020-11-24T06:06:26Z-
dc.date.available2020-11-24T06:06:26Z-
dc.date.issued2019-12-
dc.identifier.citation산업관계연구, v. 29, no. 4, page. 39-70en_US
dc.identifier.issn1226-4059-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13941&language=ko_KR-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585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연근로시간 제도의 도입을 촉진하는 기업 수준 선행요인을 파악하고 제도 도입 배경의 국가 간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기업내 유연근로시간 제도의 선행요인으로 자본주의 다양성 이론의 주요 제도적특성인 기업 지배구조, 기업 간 관계, 노사관계, 그리고 직업교육 특성을 기업 수준에 적용하였다. 국가의 제도적 맥락을 상황 요인으로 고려하여 위의각 선행요인들이 유연근로시간 제도의 도입에 미치는 영향 정도의 차이를국가 간 비교함으로써 유연근로시간 제도의 도입을 야기하는 기업 수준의제도적 관행과 국가 수준의 제도적 맥락 간의 관계 메커니즘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독일의 경우 전문경영인 경영체제, 협력적 기업 간관계, 근로자 발언 기구, 그리고 교육훈련 투자가 모두 유연근로시간 제도의도입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의 경우 기업 내 교육훈련투자가 유연근로시간 제도의 도입에 영향을 미치며, 한국의 경우 기업 내 근로자 발언 기구가 유연근로시간 제도의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nstitutional leading factors at both corporate and national levels in Korea, the U.K., and Germany, where the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flexible working hours systems was observed. Moreover, it explores interaction mechanisms that vary among countries.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n the introduction of flexible working hours systems by applying the key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varieties of capitalism model to the corporate level such as corporate governance, inter-firm relations, labor-management relations, and training. In case of Germany, result shows that all four variables which contain corporate management systems, inter-firm relations, workers" voice organizations, and investment in training have a strong influence to the flexible working hours systems. In the U.K., result shows that investment in training affects the flexible working hours systems. In Korea, study1 shows that the corporation"s collective voice instrument affects the flexible working hours systems.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본 연구는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과제번호:NRF-2018S1A5A2A01037452)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en_US
dc.subject유연근로시간 제도en_US
dc.subject자본주의 다양성en_US
dc.subject기업 경영체제en_US
dc.subject근로자 발언 기구en_US
dc.subject직업훈련en_US
dc.subjectFlexible working hours systemen_US
dc.subjectVariety of Capitalismen_US
dc.subjectcorporate governanceen_US
dc.subjectLabor-management relationsen_US
dc.subjectJob trainingen_US
dc.title유연근로시간 제도의 선행요인에 관한 한・영・독 국가 간 비교 연구en_US
dc.title.alternativeThe Comparative Study on Leading factors of Flexible Working Hours System in Korea, U.K., and Germany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4-
dc.relation.volume29-
dc.identifier.doi10.37926/KJIR.2019.12.29.4.39-
dc.relation.page39-70-
dc.relation.journal산업관계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아영-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상민-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Ah-Young-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Sang-Min-
dc.relation.code2019034149-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GRADUATE SCHOOL[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dc.identifier.pidlees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