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0

관광객의 집단기억과 장소정체성 형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군산시 근대문화유산을 중심으로 -

Title
관광객의 집단기억과 장소정체성 형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군산시 근대문화유산을 중심으로 -
Other Title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Formation of Tourists’ Collective Memory and Place Identity : Focusing on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of Gunsan
Author
이훈
Keywords
모리스 알박스; 집단기억; 장소정체성; 근대문화유산; 현상학 연구; 전라북도 군산시; Maurice Halbwachs; Collective Memory; Place Identity; Modern cultural heritage; Phenomenological Study; Jeonlabuk-do Gunsan-si
Issue Date
2019-11
Publisher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Citation
관광연구논총, v. 31, no. 4, Page. 97-120
Abstract
본 연구는 군산의 근대문화유산을 경험한 관광객의 개인기억이 집단기억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분석하고 변화된 기억이 장소정체성이 형성되는 현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군산시를 사전 방문하기 전에 군산에 대하여 다양한 집단기억을 보유하였다. 하지만 연구 참여자들은 현장에서 사진, 영상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근대문화유산을 직접 경험하면서 ‘수탈’과 ‘항거’ 와 관련된 의도된 기억을 집단기억으로 수용하였다. 이를 통해 ‘수탈’과 ‘항거’와 관련된 매체들이 의도된 집단기억으로 변화시키고, 의도된 집단기억은 군산을 근대문화유산과 관련된 장소로 인식하였다. 학술적 시사점은 Halbwachs의 집단기억 개념을 바탕으로 관광경험을 통해 관광객의 개인기억이 집단기억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경험의 본질을 탐구하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시도하였다. 아울러 관광지 방문 전 과정을 통해 장소정체성 인식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장소정체성 형성에서 관광 경험을 확인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은 관광정책집단이 유산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기억을 선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관광객들에게 집단기억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매체의 선택과 활용 전략이 필요하다. 집단기억의 형성은 지역의 장소정체성을 새롭게 정립시키거나 기존이미지를 강화시킬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analyze the process during which tourists’ individual memories transform into collective memories, and (2) analyze the phenomenon of collective memory transforming into place ident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participants had various collective memories of Gunsan even without visiting the city in advance. However, participants formed collective memories related to ‘exploitation’ and ‘resistance’ through various media of the modern heritage. Moreover, through media like ‘exploitation’ and ‘resistance’, intentional collective memory is formed, and thus intentional collective memory makes tourists recognize Gunsan as a place related to modern heritage.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based on Halbwachs’s concept of collective memory, analyzing the process of tourist’ personal memories transforming into collective memories,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rough which the nature of experiences is usually studied.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process of changing perception of place identity, it was found that tourism experience plays a role in the formation of place identity. As for the practical implication, tourism policy groups should start working on utilizing memory as a tourism resource. It is also important to choose and utilize the right media that has the potential to transform tourists’ memories into collective memories. The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y can reestablish or strengthen the basic image of place identity.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271804&language=ko_KR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5459
ISSN
1226-8054
DOI
10.21581/jts.2019.11.31.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S](사회과학대학) > TOURISM(관광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