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용 다목적 홀에서 배너 가변에 따른 음향 환경 변화
- Title
- 방송용 다목적 홀에서 배너 가변에 따른 음향 환경 변화
- Other Titles
- Effects of changes in banner size on acoustic environments in multipurpose halls for broadcasting
- Author
- 전진용
- Keywords
- 방송용 다목적 홀; 배너; 컴퓨터 시뮬레이션; 음향 지표; 무대 반사판; 전기 음향 시스템; Multipurpose hall for broadcasting; Banner; Computer simulation; Acoustic parameters; Acoustic shell; Electro-acoustic system
- Issue Date
- 2019-09
- Publisher
- 한국음향학회
- Citation
- 한국음향학회지, v. 38, no. 5, Page. 558-567
- Abstract
- 스피치, 국악, 뮤지컬, 대중음악과 콘서트까지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이루어지는 방송용 다목적 홀의 경우 공연에 필요한 전기, 건축 음향적 요구 조건이 다양하다. 하지만 실제 음향 환경 가변을 위한 효율적인 운용 방법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무대 반사판의 설치 유ㆍ무와 전기 음향 사용 조건하에서 배너의 가변에 따른 홀의 음향 환경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벽체 면적의 15 %에 해당하는 배너를 설치한 실제 측정에서 잔향 시간(Reverberation Time, T30) 은 최대 0.12 s, 초기감쇠시간(Early Decay Time, EDT)은 0.15 s, 음악 명료도(Clarity, C80)는 0.76 dB, 음성 명료도 (Definition, D50)는 6.43 % 변하였다. 배너의 면적을 확장시킨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체 벽체 면적의 40 %에 해당하는 배너를 설치할 경우 잔향 시간은 0.11 s에서 최대 0.55 s까지 가변되는 것을 확인했다. When used for broadcasting, multipurpose halls need to accommodate various types of programs such as speeches, Korean traditional music, musicals, pop music, and concerts. Therefore, multipurpose halls must meet a wide range of electric and architectural acoustic demands. However, there are few ways to alter acoustic environments for multipurpose halls, given these different demand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banners on acoustic environments in the presence of an acoustic shell or electric acoustic system.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stallation of a 15% banner of wall area could vary the range of reverberation time (T30) by 0.12 s, EDT (Early Decay Time) by 0.15 s, clarity of music (C80) by 0.76 dB, and clarity of speech (D50) by 6.43 % under different measurement circumstances. A computer simulation that enlarges the banner size to 40 % of the wall area varies the reverberation time from 0.11 s to 0.55 s depending on the room environment.
- URI
-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929565689443.page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883
- ISSN
- 1225-4428; 2287-3775
- DOI
- 10.7776/ASK.2019.38.5.558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공학부) > Articles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