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호경-
dc.date.accessioned2020-09-10T02:51:36Z-
dc.date.available2020-09-10T02:51:36Z-
dc.date.issued2019-09-
dc.identifier.citation법학논총, v. 36, no. 3, Page. 31-52en_US
dc.identifier.issn1225-228X-
dc.identifier.issn2713-6140-
dc.identifier.urihttp://hylaw.hanyang.ac.kr/html/02-collection/board?tb_name=law_collection-
dc.identifier.uri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70439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721-
dc.description.abstract사이버안보법 체계를 정립하기 위해서는 국경이 없는 사이버공간의 특성상 외국 법제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반영해나가지 않을 수 없다. 이 연구는 프랑스 사이버 안보 법제를 정보시스템 보호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프랑스 법제에 관한 연구는 최근에 들어서야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데, 2008년 프랑스 국방백서의 발간 이래로 프랑스는 정보시스템보안 문제에서 능동적인 방어전략을 취해 왔고, 크고 작은 테러가 빈발했던 2015-2016년을 기점으로 다시금 법체계를 정비하였다는 점에서 검토할 가치가 있다. 이 연구의 초점은 사이버안보 영역에서의 행정법적 쟁점이다. 즉, 공익활동수행의 주체로서의 국가가 정보와 정보시스템을 어느 범위까지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과거에는 국가가 수집한 정보 그 자체와 국가의 정보시스템을 보호하고자 노력하였다면, 통신망이 점점 더 촘촘하게 연결되고 그에 대한 의존도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국가의 정보와 정보시스템뿐 아니라 국가의 존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보시스템을 관리하는 기업도 보호하고 관리할 필요가 생겨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사이버안보 관련 법적 논의의 대상을 ‘정보시스템에 대한 보호’에 한정하고, 이러한 쟁점을 프랑스가 어떻게 바라보고 풀고 있는지를 찾고자 한다. 그리고 그 관점에서 법체계의 연혁 및 현황을 개관하고, 관련된 쟁점으로 국가정보시스템보안청(ANSSI)과 같은 통제 내지 지원 주체와 필수기반시설운영자(OIV)와 같은 협력주체 내지 지원 객체 간 법적 관계를 검토한다. Afin d'etablir un systeme legal sur la cybersecurite, il est inevitable de comprendre et d'appliquer les tendances de la legislation etrangere en tenant compte de la caracteristique du cyberespace qui n'a pas de frontiere. Parmi ces legislations etrangeres, la legislation francaise retient de plus en plus l'attention. Depuis le Livre Blanc de 2008, la France a adopte des strategies de defense actives en matiere de protection des systemes d’information. En outre, la France a reorganise ses systemes juridiques apres avoir connu des terreurs en 2015-2016. L'un des problemes lies a la cybersecurite en droit administratif concerne la maniere de definir la limite de la portee de contrôle et de gestion de l'information par l'Etat. En raison de la densite croissante des reseaux de communication, les Etats doivent s’efforcer non seulement de proteger les informations qu’ils ont collectees, mais egalement de proteger les systemes d’information des grandes entreprises. Cet article limite l’objet de l’argumentation juridique a la «protection du systeme d’information» et cherche a determiner comment la France et l’Union europeenne resolvent le probleme. Et dans cette perspective, l'article vise a donner un apercu du systeme juridique actuel en matiere de cybersecurite en France ainsi que de son histoire. Des questions connexes, telles que la relation juridique entre le contrôleur et le contrôle du systeme d’information, seront examinees en detail.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이다 (NRF-2017S1A5B4055753)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en_US
dc.subject사이버안보en_US
dc.subject정보시스템보안en_US
dc.subject프랑스 국가정보시스템보안청en_US
dc.subject필수기반시설운영자en_US
dc.subject주요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en_US
dc.subject집적정보통신시설 사업자en_US
dc.subject기간통신망en_US
dc.subject정보시스템비상대응en_US
dc.subjectcybersecuriteen_US
dc.subjectAgence nationale de la securite des systemes d'informationen_US
dc.subjectoperateur d’importance vitaleen_US
dc.subjectCERT-FRen_US
dc.title프랑스 사이버안보 법제— 정보시스템 보호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en_US
dc.title.alternativeLe cadre juridique de la cyber-sécurité en France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3-
dc.relation.volume36-
dc.identifier.doi10.18018/HYLR.2019.36.3.031-
dc.relation.page31-52-
dc.relation.journal법학논총-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우경-
dc.contributor.googleauthor정호경-
dc.contributor.googleauthorPark, Woo Kyung-
dc.contributor.googleauthorJUNG, Ho-Kyoung-
dc.relation.code2019034562-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SCHOOL OF LAW[S]-
dc.sector.departmentHanyang University Law School-
dc.identifier.pidjunghk-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LAW[S](법학전문대학원) > Hanyang University Law School(법학전문대학원)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