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3 0

대풍류 피리선율 비교 연구

Title
대풍류 피리선율 비교 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f the tonal structure of melody with piri in ‘Dae-Pungryu’
Author
김성준
Alternative Author(s)
Kim, Sung Joon
Advisor(s)
안 성 우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전승되는 국립국악원과 이충선, 지영희, 김점석 대풍류들의 악곡 구성과 출현음, 음계, 장단수와 마루수, 그리고 요성의 위치와 출현 횟수 그리고 선율 진행을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국악원의 대풍류 악곡 구성은 긴염불, 반염불, 삼현타령, 느린허튼타령, 중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 굿거리, 자진굿거리, 휘모리-당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충선의 대풍류 악곡 구성은 긴염불, 반염불, 삼현도드리, 별곡타령, 느린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 굿거리, 당악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영희의 대풍류 악곡 구성은 염불타령, 반염불, 삼현타령, 느린헛튼타령, 중허튼타령, 잦인허튼타령, 느린굿거리, 잦인굿거리, 휘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김점석의 대풍류 악곡 구성은 염불타령, 반염불, 삼현도도리, 염불도드리, 타령, 별곡타령, 늦은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 굿거리, 자진굿거리, 당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주자별로 대풍류의 악곡 구성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출현음은 이충선의 반염불, 자진굿거리, 지영희의 자진굿거리, 김점석의 긴염불, 반염불, 삼현도드리, 굿거리가 다른 연주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출현음을 사용하여 연주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국립국악원의 느린허튼타령, 자진굿거리, 당악이 다른 연주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출현음을 사용하여 연주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음계는 네 명의 연주자 모든 악곡 중 이충선의 별곡타령과 지영희의 삼현타령을 제외한 모든 악곡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충선의 별곡타령 제 9~22장단과 지영희의 삼현타령 제 9~22장단을 제외한 네 명의 연주자 모든 악곡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넷째, 장단수와 마루수는 반염불과 느린허튼타령, 중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에서 국립국악원과 지영희가 동일하게 나타났고 국립국악원과 지영희의 나머지 악곡과 이충선, 김점석의 모든 악곡의 장단수와 마루수는 다르게 나타났다. 다섯째, 요성의 위치와 출현 횟수는 모두 다르게 나타났고 이를 통해 주로 요성하는 음정을 알아본 결과 긴염불만 모든 연주자가 공통적으로 F음을 요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악곡들은 모두 연주자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여섯째, 대풍류의 선율 진행에서 모든 연주자의 선율 진행이 유사한 악곡은 긴염불과 반염불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연주자들의 느린허튼타령, 중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에서 F-A♭음의 도약 선율 진행이 악곡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느린허튼타령, 중허튼타령은 국립국악원과 이충선, 지영희의 선율만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충선과 김점석의 자진굿거리, 당악은 국립국악원과 지영희와는 각기 다른 독자적인 선율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립국악원은 악곡을 마무리할 때 특정한 선율 반복이나 음정 유지 없이 다음 악곡으로 넘어가는 반면, 이충선(반염불, 당악)과 지영희(긴염불), 김점석(긴염불, 반염불, 별곡타령, 느린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 굿거리, 자진굿거리, 당악)은 악곡을 마무리할 때 각 악곡의 처음 한두 장단의 선율을 반복하거나 마지막 음정을 두세 박 이상 유지하며 악곡을 마무리하였음이 나타났다. 또한 국립국악원에는 없는 쇠는 가락이 이충선(반염불, 삼현도드리, 별곡타령)과 김점석(반염불, 삼현도드리, 별곡타령)의 선율에서 나타났다. 시김새에서는 국립국악원은 네 명의 연주자가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혀치기, 시루와 루러만을 사용하였고, 이충선은 혀치기, 시루와 루러 외에 추가로 서침을 사용하였고, 지영희는 혀치기, 시루와 루러 외에 겹목튀김 추가하여 사용하였고 김점석은 혀치기, 시루와 루러 외에 추가로 서침과 겹목튀김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ly examine the currently performed daepungryu (bamboo wind instrument) music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some individual musicians, such as Lee Chung-seon, Ji Yeong-hee and Kim Jeom-seok, focusing on its music structure, used sound, scale, jangdan number, maru number, yoseong (vibrating sound)'s position and used number, and melodic progress. Study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the music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consists of gin-yeombul (long Buddhist prayer),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samhyeon taryeong, gutgeori, jajin gutgeori, huimori and Dangak. The daepungryu music of Lee Chung-seon consists of gin-yeombul (long Buddhist prayer),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samhyeon dodeuri, byeolgok taryeong, neurin (slow) heoteun taryeong, jajin heoteun taryeong, gutgeori and Dangak. The daepungryu music of Ji Yeong-hee consists of yeombul taryeong,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samhyeon taryeong, neurin (slow) heoteun taryeong, jung heoteun taryeong, jajin heoteun taryeong, neurin (slow) gutgeori, jajin gutgeori and huimori. And the daepungryu music of Kim Jeom-seok consists of yeombul taryeong,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samhyeon dodeuri, yeombul dodeuri, taryeong, byeolgok taryeong, neuzeun (delayed) heoteun taryeong, jajin heoteun taryeong, gutgeori, jajin gutgeori and Dangak. Therefore, the structure of daepungryu music is different by its performers. Second, regarding used sounds, Lee Chung-seon's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and jajin gutgeori, Ji Yeong-hee's jajin gutgeori, and Kim Jeom-seok's gin-yeombul (long Buddhist prayer),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samhyeon dodeuri and gutgeori use relatively broad sounds. Whereas the National Gugak Center's neurin (slow) heoteun taryeong, jajin gutgeori and Dangak use relatively narrow sounds. Third, regarding scales, all the four performers use the same scale in their music, except Lee Chung-seon's byeolgok taryeong and Ji Yeong-hee's samhyeon taryeong. Lee Chung-seon's byeolgok taryeong and Ji Yeong-hee's samhyeon taryeong use different scales in their 9~22th jangdans, respectively. Fourth, regarding jangdan number and maru number,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Ji Yeong-hee are the same in their ban-yeombul (semi Buddhist prayer), neurin (slow) heoteun taryeong, jung heoteun taryeong and jajin heoteun taryeong. Whereas other music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Ji Yeong-hee, and all the music of Lee Chung-seon and Kim Jeom-seok are different in the number of jangdan and maru. Fifth, regarding yoseong's position and used number, all the songs of the four performers are different. Regarding the tune in which yoseong (vibrating sound) is used, all the performers commonly use yoseong in the F sound of gin yeombul (long Buddhist prayer), whereas their other songs use it in different positions. Sixth, regarding the melodic progress of daepungryu (bamboo wind instrument) music, all the performers are similar in the music of gin yeombul (long Buddhist prayer) and ban yeombul (semi Buddhist prayer). In addition, all the performers generally use the take-off melodic progress of F-A♭ sound in their neurin (slow) heoteun taryeong, jung heoteun taryeong and jajin heoteun taryeong. The melodic progress of neurin (slow) heoteun taryeong and jung heoteun taryeong is similar in the music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Lee Chung-seon and Ji Yeong-hee. The melodic progress of jajin gutgeori and Dangak of Lee Chung-seon and Kim Jeom-seok is different from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Ji Yeong-hee. At the finish of a song, the National Gugak Center proceeds to other songs without repeating a certain melody or maintaining a certain tune, whereas Lee Chung-seon (ban yeombul and Dangak), Ji Yeong-hee (gin yeombul) and Kim Jeom-seok (gin yeombul, ban yeombul, byeolgok taryeong, neurin heoteun taryeong, jajin heoteun taryeong, gutgeori, jajin gutgeori and Dangak) either pepeat the melody of initial one or two jangdans, or maintain two or three baks of the last tune. In addition, soegarak, which is not presented in the music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is used in the melody of Lee Chung-seon (ban yeombul, samhyeon dodeuri and byeolgok taryeong) and Kim Jeom-seok (ban yeombul, samhyeon dodeuri and byeolgok taryeong). Regarding sigimsae, the National Gugak Center only uses hyeochigi (tongue beating), siru and rureo, which are commonly used by the other three performers, whereas Lee Chung-seon additionly uses seochim; Ji Yeong-hee additionaly uses gyeopmok (double-necked) tuigim; and Ji Yeong-hee additionaly uses seochim and gyeopmok (double-necked) tuigi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48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41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