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5 0

경제시조와 석암제시조의 비교분석-평시조 한산도가를 중심으로

Title
경제시조와 석암제시조의 비교분석-평시조 한산도가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Comparison of Gyeongjae sijo and Seokamje sijo : Focused on Pyeong Sijo Hansandoga
Author
김경은
Alternative Author(s)
Kim, Kyung Eun
Advisor(s)
조주선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시조(時調)는 전통성악 중 가곡(歌曲), 가사(歌詞)와 함께 정가(正歌)에 포함되는 장르로 초장, 중장, 종장의 3장 형식으로 된 시조시를 일정한 장단에 가락을 얹어서 느리게 부르는 노래이다. 시조는 노래로서 향유되어 조선시대 수백년을 통해 지금까지 전해져 오는 독특한 전통 양식의 정형시(定型詩)로서 서구의 소네트, 중국의 한시, 일본의 하이쿠등과 그 대등한 문학사적 지위를 갖는다고 할 수 있겠다. 조선 전기 대표적인 시조 작가인 이황(李滉:1501-1570)은‘도산십이곡발(陶山十二曲跋)’에서 한시는‘읊조릴 수는 있지만 노래할 수는 없다(歌詠而不可歌也)’고 하여, 우리말 노래인 시조가 한시로써는 소화할 수 없는 욕구를 해소하는 수단이라는 것을 분명하게 밝혀놓기도 하였다. 따라서 시조는 음악적으로나 문학적으로도 중요한 우리만의 특별한 전통양식이라고 할 수 있겠다. 게다가 시조는 당대 조상들의 삶, 사건, 역사의 기록물로 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고 있어 가창자에게 또는 시를 향유하는 사람에게도 각각의 다른 시조의 내용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가 됨을 부인할 수 없다. 고려말 이래 조선 건국으로부터 창업의 노래, 강호의 노래, 절개의 노래, 자연과 태평을 구가하는 노래, 유교이념, 연군의 노래등 시대의 현황이 가장 잘 드러나는 작품들이 구전, 혹은 곡집에 실림으로서 그 시대를 대변해 오고 있다. 그 중 조선 500년 왕조가 전, 후기로 나뉘어지는 역사적 큰 흐름속 7년 전쟁 시기에 당시 맹활약을 떨쳤던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시조 <한산도가>는 오래전 여러 가집들에도 수록되어 전해져 오고 있다. 시조 <한산도가>는 현재 서울·경기지역에서 불리는 경제시조와 그 외 지역을 중심으로 불리는 향제시조에서 전승되고 있다. 정가(가곡, 가사, 시조) 분야 종목에서 문화재가 지정된 것은 1969년인데‘가곡’이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1971년‘가사’가 국가무형문화재 제41호로 지정되고 최초 보유자는 故이주환 선생이 인정되었다. 이후 제자 故이양교선생이 1975년 보유자로 지정되고, 같은해 故정경태 선생도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12가사는 물론 시조분야에서도 전승이 활발했던 바 지금까지 경제와 석암제시조 전승의 중심에 계셨던 분들이다. 같은 해 문화재 지정 이후 지금까지 전승되는 두 보유자의 시조를 경제와 향제로 대별하고, 평시조 <한산도가>를 중심으로 시조악곡의 음악적 분석을 통해 전승되고 있는 경제와 석암제시조를 비교하였다. 먼저 두 보유자의 <한산도가> 가사말이 다른 부분이 있어 조선시대 3대 가집인『청구영언』,『해동가요』,『가곡원류』그리고『악학습령』에 수록된 시조 <한산도가> 가사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양교 보유자의 <한산도가> 가사는 국악원본 『가곡원류』의 가사와 유사하고, 정경태 보유자의 <한산도가>가사는『청구영언』의 가사와 유사했다. 경제와 석암제 <한산도가>시조의 음악분석에 있어 출현음이나 선율진행은 거의 같다. 따라서 경제와 석암제의 음악적 차이는 출현음이나 선율진행에 있지 않고 주로 가사 말붙임새, 노래하는 목쓰임새, 여음박의 길이 등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전통음악 속에 자리하는 시조 <한산도가>를 살펴보고자 현대 명인들의 시조집에 실린 <한산도가>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명인 5명의 경제시조보에서 악보로 수록된 <한산도가>는 단 한건에 불과했고 그에 반해 향제명인들의 시조보에서는 내포제, 영제, 석암제 거의 모든 시조집에 <한산도가>가 악보로 실려있었다. 심지어 석암제 시조보에서는 <한산도가> 시조 1수를 가지고 4가지 형식의 악보로 편집해 수록하고 있다. 즉 시조 <한산도가>는 경제시조에서보다 향제시조계에서 더 많이 연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충무공의 한시를 한역하고 난중일기등에서의 사실을 근간하여 시조창작과 교육을 하는 특별한 사례를 소개하여 현 정가계에서 보다 더 인식되어야 마땅한 시조<한산도가>의 가치를 언급하고자 한다.; 'Sijo' is a genre of traditional vocal music that belongs to the category of 'Jeongga' along with 'Gagok' and 'Gasa' and sings Sijo poems in the three-part format of early, middle and final part at a slow tempo by adding melodies to certain beats. 'Sijo' has been enjoyed as songs, being poetry with a fixed form in a unique traditional style that has been transmitted for hundreds of years since Joseon. It holds equal statu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o 'sonnets' of the West, 'Chinese poetry' of China, and 'Haiku' of Japan. One of the greatest Sijo writers representing Joseon in its former part, Lee Hwang(1501-1570) stated in his 'Dosansipigokbal(陶山十二曲跋)' that "You can recite Chinese poems, but you cannot sing them(歌詠而不可歌也)," which clearly indicates that Sijo, songs in Korean words, was a means of fulfilling the desire that could not be fulfilled with Chinese poems. Sijo is a unique traditional style to Korea that holds its importance both musically and literally. In addition, 'Sijo' works are records of ancestors' lives, events, and history in their own periods, reflecting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times. There is no denying that different Sijo contents serve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singers or those who enjoy poems. Works of 'Sijo' reflecting the current states of the times best, which include the songs of founding a nation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stablishment of Joseon, those of rivers and lakes, those of integrity, those about nature and peace, those about Confucian ideas, and those of longing for a monarch, were transmitted or included in collections of songs, representing the times. , Chungmugong Lee Sun-shin's Sijo work, was published in many different collections of poems for many years. Admiral Lee was vigorously engaged in the war for seven years in the big flow of history that divided the Joseon Dynasty of 500 years between the former and latter part. His Sijo work is transmitted as part of 'Gyeongje Sijo' sung in current Seoul and Gyeonggi regions and 'Hyangje Sijo' sung in the other regions. It was in 1969 that a work of Jeongga(Gagok, Gasa and Sijo) was appointed as a cultural asset for the first time. "Gagok" was appointed as No. 30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1971, "Gasa" was appointed as No. 41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Late 'Lee Ju-hwan' was recognized as its first holder. Late 'Lee Yang-gyo', one of his pupils, was designated as its holder in 1975, when late 'Jeong Gyeong-tae' was also designated as its holder. They were active in the transmission of Sijo as well as 12 Gasa works, being at the center of transmitting Gyeongje and Seokamje Sijo. This study set out to divide Sijo works by these two holders that had been transmitted since they were appointed as Cultural Asset in the same year into Gyeongje and Hyangje and analyze Sijo songs musically with a focus on the 'Pyeong Sijo' , thus examining the Gyeongje and Seokamje Sijo in transmission. The present study also aimed to promote the value of , which deserves better recognition, by looking into the Sijo work holding a place in current traditional music.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48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32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