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0 0

직업기초역량교육과 현장실습 경험이 전문대학 졸업자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공-직무 일치의 매개효과

Title
직업기초역량교육과 현장실습 경험이 전문대학 졸업자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공-직무 일치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Basic Job Competency Education and Field Placement Experience on Labor Market Outcomes of College Graduates :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job-major (mis)match
Author
조은희
Alternative Author(s)
Cho, Eun-hee
Advisor(s)
함 승 환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전문대학 졸업자들의 재학 중 경험한 직업기초역량교육과 현장실습이 졸업 후 노동시장의 양적 성과인 임금과 질적 성과인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아울러 전공-직무 일치가 직업기초역량교육, 현장실습 경험과 노동시장 성과 간의 영향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노동시장 성과 이론과 학교 효과성 이론을 유기적으로 적용하여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 영향 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교육고용패널(KEEP)의 중3 코호트 7차년도(2010)∼12차년도(2015)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노동시장 이행 경로에 차이가 있는 무급 종사자와 자영업자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3년제 전문대학 졸업자 중 임금근로자 505명을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졸업자들이 경험한 교육 내용 중 보다 보편적인 근무 역량이자 직장인으로서의 기본 소양 교육에 해당하는 직업기초역량교육(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상호협력능력, 자기 주도 학습능력, 분석방법 습득 능력)은 노동시장의 양적 성과인 임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질적 성과인 직장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대학 졸업자들이 경험한 교육 내용 중 전공 역량과의 연관성이 보다 중시되는 ‘전문·특수 역량’에 해당하는 현장실습 경험은 노동시장의 양적 성과인 임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질적 성과인 직장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일반적 영역인 직업기초역량교육과 전문·특수 영역인 현장실습 경험은 노동시장 성과에 각각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전문대학 졸업자들의 재학 중 경험한 현장실습은 전공-직무 일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직업기초역량교육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공-직무 일치는 전문대학 졸업자의 임금과 직장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문대학 졸업자들이 지각하는 전공-직무 일치는 현장실습 경험이 노동시장의 양적 성과인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를 통해 전문특수 역량에 가까운 현장실습 경험이 전공-직무 일치를 매개로 노동시장에서 높은 양적 성과를 거두는데 유효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전문대학에서 제공하는 직업기초역량교육과 현장실습을 충실하게 참여한 졸업자들은 노동시장에 보다 향상된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두 종류의 교육을 상호 보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일반 역량과 특수 역량이 이상적으로 조화된 ‘준비된’ 졸업자들을 배출하는 데 전문대학의 교육 목표와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에 특화된 관점에서 전문대학 졸업자들을 위한 교육 내용(즉, 일반적 역량과 전문적 역량을 유기적으로 연계한 교육)과 그것이 노동시장에서 발휘하는 효과를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그를 기반으로 전문대학 직업 교육의 발전 방향성을 제언한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결과와 결론, 논의 등이 전문대학의 교육 발전과 질적 성장을 이끌고 전문대학 졸업자들의 노동시장 성과 향상에 도움을 주는 기초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job competency education and field placement experience of college graduates on wage level which is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and the job satisfaction which is the qualitative performance of the labor market after graduation. Also, this study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job-major (mis)mat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eld placement experience and labor market performa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tudy is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Survey(KEEP), specifically from the 7th to 12th year (2010-2015) of the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 panel. First, basic job competency educ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mutual cooperation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ability of analysis method) did not affect the wage level, which is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of the labor market, bu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which is the qualitative performance of the labor market. Second, field placement experience that corresponds to the 'professional and special competency' which is more related to major competencies of college graduat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age level which is quantitative performance of the labor market, but had no affect on job satisfaction. From the results above, it is thought that basic job competency education in the general areas, field placement experience and major competency education in the special areas have different effects on labor market performance. In other words, field placement experience, which focuses on cultivating professional and special competencies, has a positive effect on wage improvement, whereas basic job competency education, which emphasizes universal and general compet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educational goals and competencies of colleges should be focused on producing 'fully prepared' graduates who have the ideal balance of general competency and special competency by performing two types of education(that is special field placement experience and general basic job competency education). In the future, colleges should develop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education competency and system that is not focused on either basic job competency education or field placement. Third, field placement experience of college graduat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major (mis)match, but basic job competency education did not. While field placement experience focuses on fostering special major competencies, basic job competency education focuses on reinforcing universal and general competencies, so this can be seen as a natural and rational result. Fourth, the degree of job-major (mis)match perceived by college graduates was verified to partially mediate the effect of field placement experience on wage level which is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of the labor market.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demonstrates the balanced and harmonious contents of education for colleges graduates(ie, education that organically combines universal competency and special competency) from the 'specialized point of view of colleges' and demonstrates the effect of this in the labor market.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provi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future-oriented development dire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in colleg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empirical results, conclusion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oretical and practical guidelines and basic reference materials that will lead the development and qualitative growth of colleges and help improve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college graduat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48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76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