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송영수-
dc.contributor.author박상욱-
dc.date.accessioned2020-08-28T17:09:46Z-
dc.date.available2020-08-28T17:09:46Z-
dc.date.issued2020-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479-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481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 대기업 내에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팔로워십 역량 모형 및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이론적, 실천적 영역에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밀레니얼 세대에게 요구되는 팔로워십 역량모형은 무엇인가? 둘째, 밀레니얼 세대의 팔로워십 역량은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 연구 수행을 위해 팔로워십 역량과 밀레니얼 세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헌연구을 실시하였고, 대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리더 집단과 밀레니얼 세대팔로워 집단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여 밀레니얼 세대 구성원의 팔로워십 역량 구성 요인을 도출하였고 역량모형을 완성하였다. 이어서 밀레니얼 세대 팔로워십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도출된 구성요인을 바탕으로 예비문항을 개발하여 국내 대기업 밀레니얼 세대 구성원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와 본 조사를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밀레니얼 세대 팔로워십 역량 구성요인은 3개 영역, 14개 요인으로 정의되었다. 개인영역(individual)은 개인이 직무 수행 상 필요한 역량을 인지하여 스스로 조절, 강화할 수 있은 역량으로 학습민첩성, 자기성찰, 자발성, 도전정신, 긍정적 태도, 실행력, 윤리적 사고 등 7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관계영역(relation)은 리더, 동료 구성원과 개인 혹은 업무적으로 원활한관계 형성을 위해 필요한 역량으로 공감, 협력, 의사소통, 리더지원 등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조직영역(organization)은 조직의 환경, 목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으로 조직목표추구, 변화감지, 문제해결 등 3개 요 인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역량 구성요인을 바탕으로 요인 간의 관계를 구조화하여 재정립한 밀레니얼 세대 팔로워십 역량 모형은 리더와 팔로워의 쌍방향 관계(dyadic relationship) 형성에 초점을 둔 역할형성이론(role-making theory)을 기반으로 리더와 팔로워의 4단계 역할형성생애주기(role-making life cycle)를 제시하였다. 둘째, 밀레니얼 세대 팔로워십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14개 역량구성요인을 바탕으로 59개의 예비문항을 선행연구로부터 구성하였다. 예비문항을 바탕으로 국내 대기업 밀레니얼 세대 구성원 171명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4개 구성요인과 14개 문항이 제거되었다. 이어서 본 조사는 국내 대기업 밀레니얼 세대 구성원 2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1개 문항을 추가적으로 제거하고 모델적합도, 집중타당성, 판별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 선행연구에서타당성이 확보된 팔로워십 측정 변인과 LMX 측정 변인을 대상으로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공인타당성을 확인하였고, 잡 크래프팅을 예측 변인으로 설정하여 예측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측정동일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Harman의 단일요인검증을 실시하여 동일방법 편의 오류의 가능성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처 밀레니얼 세대 팔로워십 역량 측정도구는 10개 역량 구성요인, 44개의 측정 문항으로 최종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사회적, 문화적 변화의 중심축이 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팔로워십 역량 구성요인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둘째, 체계적인 통계 절차를 통해 타당성이 검증된 팔로워십 역량 측정도구가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향후 팔로워십 역량 측정도구의 추가 개발 및 기존 도구를 고도화하는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세대 특성을 고려하고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팔로워십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기업 HRD 현장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팔로워십 역량 개발 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음에 실천적 의의가 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밀레니얼 세대 구성원의 팔로워십 역량 모형 및 측정도구 개발: 국내 대기업 집단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of a Followership Competency Model and Measurement Tool for Millennial Generation: Focusing on Large Korean Corporate Employee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상욱-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Sang Wook-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교육공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교수체제설계 및 기업교육연구 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