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5 0

노인식사돌봄서비스의 유용성과 효과성 : 국가간 비교연구

Title
노인식사돌봄서비스의 유용성과 효과성 : 국가간 비교연구
Other Titles
Availability and Effectiveness of Meal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 A Comparative Study among Countries
Author
김가영
Alternative Author(s)
Kim, Ka Young
Advisor(s)
엄애선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급속한 경제성장과 사회구조 변화를 겪으며 고령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노인 부양의식이 약화되었고, 가족 간의 유대감이나 친밀감 대신 소외감과 외로움, 차별적인 사회적 시선으로 인한 우울증, 인간관계 단절에서 비롯된 고독사증가 등 심각한 사회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이 시급하며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인복지서비스 역시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혼자 힘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노인들의 보호의 필요도나 욕구에 의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을 목표로 하는 노인돌봄기본서비스와 가사 및 활동 지원을 제공하여 안정된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돌봄과 관련한 노인복지서비스는 장기요양서비스 대상 노인의 증가, 가족의 전통적인 구조와 기능의 해체 및 변화로 그 중요성이 날로 더해지고 있다. 신체‧정신적으로 독립된 생활을 영위하며 가족의 부담을 덜고 사회‧경제적 기반을 조성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노인돌봄서비스의 궁극적인 목표를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고, OECD 국가를 중심으로 노인 돌봄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시도 되었지만 우리나라 노인식사돌봄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일본, 스웨덴 3개국과 한국의 국가비교를 통해 노인식사돌봄서비스의 유용성과 효과성을 진단하여 향후 노인식사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위한 식사돌봄의 개선방향이 무엇인지 고찰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결과 영양 및 식사돌봄에 대한 보편적인 정의가 부족하였고 노인실태조사에서 노인들의 영양관리 문제가 꾸준하게 요구되는 것은 서비스 이용자의 프로그램 접근방법의 어려움 및 서비스 수용의 인식과 태도, 제공인력의 부족 등의 문제로 식사 관련 서비스 제공이 단편적이거나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어 노인들의 불충분한 식사 섭취로 인해 영양관리 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노인식사돌봄서비스의 유용성과 효과성을 국가간 비교분석하여 향후 노인식사돌봄서비스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문헌적 고찰에 의한 연구 방법으로 인한 방법론적인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영양돌봄에 이은 식사돌봄 문제는 건강악화의 예방적 차원에서 노인돌봄서비스의 중요한 서비스 중 하나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 생각되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노인의 식생활과 영양섭취 상태를 파악하는 실태 조사와 더불어 노인 영양 및 식사의 전반적인 수준을 고려한 노인식사돌봄서비스에 대한 심층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Korea, which has entered the aging society through rapid economic growth and social structure changes, has weakened the sense of support for the elderly, instead of feelings of alienation and loneliness, depression due to discriminatory social gaze, instead of family ties or intimacy, increases in loneliness resulting from disconnection of human relationships, etc. The elderly welfare service has been continuously expanded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urgent need to solve serious social problems. Among them, the basic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aiming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for the elderly who have difficulty in daily life on their own and th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to provide a stable retirement life by providing household and activity support is a long-term care service. The importance is increasing day by day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eligible for service, and the disintegration and change of the traditional structure and functions of the family. The ultimate goal of caring for the elderl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by conducting a physically and mentally independent life, reducing the burden on the family, and creating a social and economic basis was confirmed through previous studies. Various researches on caring for the elderly have been tried in OECD countries. Research on elderly meal care services in Korea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iagnose the avail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elderly meal service in Korea through national comparison with the three countries of the United States, Japan, and Sweden, and to consider the future direction of meal care for the elderly meal service us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as a lack of universal definition of nutrition and meal care. The steady demand for nutrition management problems of the elderly is the difficulties in the service users’ approach to the program,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service acceptance, and lack of manpower to provide the servic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provision of meal-related services is not fragmentary or smooth and it is seen as a constant occurrence of nutritional management problems due to insufficient meal intake by the elder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 avail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elderly meal care service were compared and analyzed among countries and proposed measures to improve the elderly meal care service in the future. However, this study has methodological limitations due to research method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the problem of dietary care following nutritional care will be established as one of the important services for the elderly care service in orde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health. Future research will require an in-depth and continuous study on th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considering the overall level of nutrition and meals, as well as a survey on the status of grasping the diet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Key-Words : meal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meal care, nutrition care, elderly nutrition, availability, effectiveness, international study among countri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46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40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CTIVE AGING INDUSTRY(고령산업융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