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0 0

서울시 기초지방자치단체 사회적경제지원센터의 운영유형별 직무만족도 연구

Title
서울시 기초지방자치단체 사회적경제지원센터의 운영유형별 직무만족도 연구
Other Titles
The research on the job satisfaction at a Social Economy Support Center in a local government under its operational type
Author
전성욱
Advisor(s)
전영수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중간지원조직은 다양한 경제 주체들 사이에서 자조직의 목적 없이 타조직을 지원하기 위한 기관이다. 해외의 중간지원조직은 민간의 필요로 설립됐지만, 한국은 정부 정책의 전달수단으로 수립되었다. 일자리와 사회서비스의 공급 주체로서 사회적경제가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중간지원조직도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서울시는 전 자치구에서 사회적경제지원센터(이하 사경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서울시 자치구별 사경센터는 행정이 직접 운영하는 직영센터와 민간에서 위탁운영하는 위탁센터로 나뉜다. 기초지자체 사경센터는 현장과 가장 밀접하게 접촉하고 소통하는 조직이기 때문에 전반적인 사회적경제의 성공을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들의 근로환경은 전반적으로 열악한 편이며 각 자치구의 운영유형과 상황에 따라 그 수준도 불균등하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민간의 자율성 제고와 전문성 활용을 위해 민간위탁제도가 시행되었음에도, 오히려 직영센터보다 근무환경이 열악한 실정이다. 자치구 사경센터의 역할은 사회적경제와 관련한 정책을 전달하고 여러 이해관계자 사이에서 조율 및 조정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특히 지원범위 지역 내 민간주체들과의 네트워크를 조직하고 운영하며 이를 기반으로 지역자원을 활용하는 업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업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서 지역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운용한 경험 및 관련된 전문역량을 갖춘 담당자가 필요하다. 또 지역 네트워크의 조직 및 운용은 신뢰에 기반을 두는데, 신뢰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다양한 지역주체들과의 밀접한 접촉이 필요하다. 즉 조직의 상근자들이 네트워크 관련 역량을 갖추고 장기간 민간주체들과 신뢰를 쌓아야 한다. 이것이 중간지원조직 상근자들의 장기근속이 중요시되는 이유다. 직무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직무만족도가 낮을 경우 이직률이 상승하고 성과와 효율이 하락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상근자들의 직무만족도를 제고하여 이직률을 낮추고 장기근속을 유도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pector가 개발한 직무만족도조사(JSS)를 이용하여 서울시 자치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상근자의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값을 이용해 내적일관도를 활용,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또 크론바흐 알파계수를 이용한 타당도 검사를 실행하였다. 이에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독립표본 T-검정을 진행하여 서울시 자치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의 직영 혹은 위탁 운영유형별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의 여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직무만족도의 환경적 성분과 보상적 성분, 두 개 요인별 직무만족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보상적 요인의 직무만족도는 직영 센터에서, 환경적 요인의 직무만족도는 위탁 센터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질적인 정보를 수집해 보완하고자 심층인터뷰를 후속 진행하였다. 말미에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위탁과 직영 사회적경제지원센터가 상근자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였다. 위탁센터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행정의 인식개선과 행정과의 관계재정립을 통한 급여 및 복리후생의 증진을 제안한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중간지원조직의 제도적 기반을 별도로 마련하기를 제안한다. 제도적 기반의 내용에는 자치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가 예산에 있어 독립하는 방안이 포함되어야 한다. 직영센터의 경우에는 역량 있는 사회적경제 활동가들을 임기제 공무원으로 다수 고용하고 그들의 업무 자율성을 보장해줄 것을 제안하며, 담당 행정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깊이 있는 사회적경제 교육을 진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행정운영 자체의 특성상 개선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장기적으로는 지역 주체들을 발굴하고 조직화하여 센터운영을 민간에 위탁할 것을 제안한다.; Intermediary organizations are often described as broker, agent and bridging organization, The main characteristic of intermediary organizations are that they operate in between various sectors including public and private sectors to support other organizations rather than having its own purpose. Unlike how intermediaries were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In Korea, Intermediaries were established to deliver the policy from the government to the private actors in the field. Social Economy intermediaries were also established as Social Economy drew attention as a new supplier of social services and jobs in the private sector. In Seoul, the capital city of South Korea, Social Economy intermediaries known as ‘Social Economy Support Center(SESC)’ were established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in every 25 autonomous districts. There are two types of SESCs. One is direct managed(pulbic established, public managing) SESCs and another type is managed under consignment contract(publich established, private managing). For the success of the Social Economy sector, the outcome of SESC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is critical. However, the overall working environment of the SESCs is poor, and the working condition for each SESCs differ depending on their types of operation. SESCs are tasked with communicating related policies and coordinating among various stakeholders, especially the task of organizing and operating networks with private entities within the scope of supporting field, and utilizing local resources based on the network is paramount. These activities require personnel with experience and expertise in building and operating local networks. In additi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local networks are based on trust, and forming a trustful relationship requires close contact with various local entities for a long period. According to earlier studies on job satisfaction, low job satisfaction increases turnover and decreases performance and ef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lowering the turnover rate of full-time employees of the Social Economic Support Center by the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The job satisfaction survey(JSS) developed by Paul.E.Spector was used to investigate the job satisfaction of full-time employees of the SESC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then used to measure reliability by utilizing internal consistency and to conduct validity tests using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y type of management of the SESC in the autonomous district of Seoul.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environmental and compensatory components of the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for compensatory factors was measured significantly and relatively high in direct management center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and significantly high at entrusted centers(consignment manag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urveys, in-depth interviews were also followed to supplement qualitative information. In conclusion, way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for full-time employees at both directly managed and consignment managed SESCs were suggested. In the case of a consignment center, in the short-term, it was proposed to enhance benefits and increase salary by improving awareness of administration and re-establishing relations with the administration. In the long run,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intermediary organizations. It was also argued that the institutional basis would include measures for the SESCs to be independent of the budget. In the case of direct management centers, it was proposed to hire a number of competent Social Economy activists as term-based civil servants and to guarantee their work autonomy. Also providing in-depth education on Social Economy to administrative officials in charge is highly recommended. However, as the nature of the administrative, possibility for improvement is very limited. Therefore it was argued that in long-term, members of the private sector in the community must be identified and organized to entrust the operation .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37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54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S](국제학대학원) > GLOBAL SOCIAL ECONOMY(글로벌사회적경제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