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8 0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교육을 위한 시각문화미술교육 지도방안 연구

Title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교육을 위한 시각문화미술교육 지도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for Body Image Education of Adolescents :Focused on Commercial Advertisement Semiotic Analysis
Author
김민정
Alternative Author(s)
Kim, Min Jung
Advisor(s)
김선아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 사회는 유난히 준수한 외모와 날씬한 신체 등 외적으로 보여 지는 심미적인 가치에 대한 관심이 크다. 이러한 사회체계의 영향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자신의 신체외모에 대한 만성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 더 이상 신체는 고정된 것이 아닌, 선택적으로 변형 가능한 존재양식으로 인식되어 소비의 대상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풍조는 사회적으로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는 대중매체가 형성한 시각문화, 특히 상업광고를 통해 더욱 고조되었다. 자본주의 경제의 극단적인 상업화로 인하여 현대의 상업광고는 이미지의 생산과 그 표현에 있어 특정한 신체상을 집중적으로 부각시켜 대중으로 하여금 광고이미지에 나타나는 신체외모처럼 되고 싶은 욕구와 감정을 자극하고, 이를 통해 이윤을 창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외적인 모습에 이목을 집중시킨 상업광고는 수많은 매체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어 인터넷·스마트폰의 사용이 잦은 청소년들에게 여과 없이 전해지고 있다. 이에 자아개념이 미성숙한 청소년은 매체가 제시하는 기준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자신이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하는 이상향으로 생각하게 된다. 또한 청소년은 다른 시기보다 급격한 신체성장을 겪으면서 자신의 변화된 신체와 외모를 지각하고 새로운 신체이미지를 형성하게 되는데, 은연중에 노출되는 신체에 대한 무분별한 이미지가 그릇된 미의식을 초래하며 신체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편파적인 미적기준을 생산하는 상업광고를 시각문화미술교육을 통해 비판적인 안목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여, 청소년 스스로 자신의 신체이미지를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로 형성하도록 하는 교육적 발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제 2장에서는 신체이미지의 개괄적인 개념을 토대로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특징, 영향요인을 고찰해 봄으로써 신체이미지 교육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또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의 등장배경과 정의, 전개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을 통해 신체이미지와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연관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 3장에서는 상업광고의 정의와 기능, 상업광고에 등장하는 모델의 속성과 유형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상업광고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기호학을 활용하고자 기호학의 정의와 활용에 따른 의의를 탐색하였다. 이후 구체적인 기호학적 분석 방법으로 Barthes의 외연과 내연이론을 고찰하였고, 이를 토대로 구성된 기호학 매트릭스에 대해 추가적으로 논의하였다. 제 4장에서는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교육을 위한 시각문화미술교육 지도방안을 설계하고자 총 6차시의 ‘시각문화와 신체이미지’ 단원을 계발하였다. 수업은 상업광고 분석활동을 중심으로 신체이미지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체험, 표현, 감상의 통합형 학습을 고려하여 각 영역에 부합하는 활동을 종합적으로 마련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신체이미지와 상업광고의 영향관계를 시각문화미술교육의 거시적인 관점으로 바라봄으로써 신체이미지 교육을 미술교육 차원에서 구현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사회 속에 퍼져있는 수많은 외부자극으로 자신만의 유의미한 가치를 상실하지 않는 청소년 학습자의 인식과 태도를 함양하는데 도움이 되는 하나의 교육적 지침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35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77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