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 한 종-
dc.contributor.author임용진-
dc.date.accessioned2020-08-28T17:03:34Z-
dc.date.available2020-08-28T17:03:34Z-
dc.date.issued2020-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247-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550en_US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의 인구구조는 저출산과 고령화에 의해 가족구성원이 소형화 되고 있으며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개인의 삶을 중시하는 라이프 스타일과 비혼주의 성향의 가치관이 형성되면서 사회적으로 1~2인가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주택시장은 현 사회적 인구구조를 고려하지 않은 채 합리적 규모의 공급이 이루어 지지 않아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소형규모주택 공급이 필요한 수도권의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비혼주의자 그리고 노인가구가 주를 이루는 1~2인 가구는 불안정한 주택시장에서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는 악순환을 겪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와 건축학계에서는 주택시장의 체질과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모색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세대구분형 공동주택이다. 세대구분형 공동주택은 세대의 일부 공간을 할애해서 1~2인 가구에게 깨끗한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주택형태이며 주택소유자에게 일정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세대구분형 공동주택은 우리나라 주택여건상 1~2인 가구의 증가와 주택시장의 불균형으로 인해 공급이 시작되어 이제 막 발걸음 떼기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주택시장의 안정을 꾀하고 과밀화된 수도권에 깨끗하고 합리적 가격의 주택을 공급하며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세대구분형 공동주택에 대한 연구와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는 1980년대 3대 가족형 공동주택의 시작을 바탕으로 생겨난 세대구분형 공동주택 단지 사례의 평면특성을 7가지로 분류·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개선점을 통해 세대구분형 공동주택이 우리나라 주거환경개선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불안정한 주택시장의 1~2인가구 및 취약계층에게 매력적인 주거 모델로 발전하기를 기원한다.; Korean population structure has been changed because of low birthrate and aging,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is getting smaller. In the 2000s, since a new lifestyle that concerns individual life has formed and younger generations have emphasized unmarried values,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including only 1 or 2 members has increased socially. However, nowadays the housing market did not consider current population structure and produced unreasonable sized supplies, so it caused imbalances in supply and demand. The households including only 1 or 2 members, which mainly consist of social beginners, newly married couples, people emphasizing unmarried values, and the elderly, who need small-sized housing, are experiencing a vicious cycle of being exposed to the poor environment in the unstable housing market.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the governments and architecture have been seeking various ways to improve housing market constitutio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and one of them is multi-household units. The multi-household units is a type of housing that could provide clean housing environments for the households including only 1 or 2 members by dedicating some space in the household, and it has an advantage that could produce opportunity for homeowners to gain a certain profit. It is not an exaggeration that the multi-household units have just begun to start its distribution because the households including only 1 or 2 members increased and the housing market became unstable, depending on a domestic housing condition.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review thoroughly the multi-household units that could derive a stable housing market, provide clean and reasonably priced housing to the overcrowded metropolitan areas, and meet the social needs. This study categorized and analyzed planning characteristics from cases of multi-household unit apartments, which occurred in the 1980s, depending on three generation family apartment complexes into 7 types, and then based on the results it suggested improvements. This study expected that through the given improvements the multi-household units could positively affect domestic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s and be developed as an attractive residential model for single person or two person households and vulnerable classe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세대구분형 공동주택 평면특성 및 개선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Research of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of Multi-household unit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임용진-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공학대학원-
dc.sector.department건축ㆍ토목ㆍ조경공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