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6 0

도시공원 이용후 평가에 관한 연구

Title
도시공원 이용후 평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ost-Occupancy Evaluation of Urban Park
Author
최경훈
Alternative Author(s)
Choi Kyoung Hoon
Advisor(s)
김건우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지금까지는 도시공원의 역할이 산책 위주의 정적인 활동이나 단순한 놀이 및 운동이 목적이었다면, 최근에는 전문적 취미활동을 통한 환경체험, 문화, 예술, 등 다양한 여가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공원이용자들은 휴식과 여가활동을 통해서 자기관리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도시공원의 이용시간도 점차 증가하고 있고, 여가 활동의 이용행태도 다양해짐에 따라 도시공원의 공간구성과 시설의 다양성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대두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원 중 쓰레기 매립지를 생태공원으로 사후관리 하여 타 도시공원 보다 다양한 활동이 예상되는 월드컵공원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대상지인 난지도는 15년 동안 비위생적인 방식으로 매립을 지속해와 침출수 유출과 악취와 유해가스 발생으로 주변 한강의 수질과 토양을 오염시키고 지역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심각한 환경문제가 발생하였던 곳이다. 이 후 대상지는 쓰레기 매립지를 친환경공간으로 조성해서 상암동의 오픈스페이스의 역할과 친환경 도시계획 목적에 부합한 곳으로 공간적, 역사적 특이성이 지닌 도시공원 중 하나이다. 따라서 생태적 도시공원인 월드컵 공원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공간구성 및 시설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바람직한 도시공원의 이용환경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평화의 공원, 하늘공원, 노을공원, 난지천공원, 난지한강공원의 5개 테마공원으로 조성된 월드컵공원의 이용행태에 대해 관찰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장소성에 대한 인식 및 공간이용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주 이용대상자별 현황파악을 위하여 이용자 분류체계를 마련하고 구분해서 조사 분석하였고, 공원이용 구성원들과 이용계절, 이용시간, 이용수단 등 다양한 모니터링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도심 생태공원으로 조성된 매립지공원에 대한 공원 이용자의 장소적 특징 이해정도와 공원 내 편의시설, 위생시설, 음수대, 주차장, 체육시설, 대중교통시설 등에 대해 공원 이용자들의 이용에 문제점이 없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공원 이용자의 이용행태를 종합 분석하여 향후 공원이용에 효과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월드컵공원 이용자 설문 결과, 만족스러운 항목은 접근이 용이하고 친환경적 경관을 지닌 대상지 특징을 선택하였고, 불만족 항목은 화장실, 주차장 등 편의시설 부족과 쓰레기매립지의 생태적 환경으로 변모한 대상지의 장소적 특징 및 서식생물들에 대한 해설 자료가 부족하다고 조사되었다.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하는 IPA분석에서는 중요도가 높은데 만족도가 낮은 항목들로 경관미, 주변 환경과의 조화, 공원의 청결도, 시설 안전성, 야간 조명시설, 편의시설 등이 있다. 또한 공원 이용자들이 느끼기에 중요도는 낮으나 만족도에 차이가 나는 것은 생태공원으로 조성된 월드컵공원의 장소적 특징들에 대한 사항들로 난지도의 지리적 흔적 보존 및 매립지의 생태공원화 과정에 대한 인식 등에 대한 항목들이다. 이는 월드컵공원 내 다양한 생태관련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음에도 특정 이용자들만이 참여하고 있고, 월드컵공원이 생태공원으로서의 장소적 특징에 대한 인지적 부각이 되지 못했다는 판단이다. 월드컵공원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연구결과에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환경생태적인 도시공원으로서 아이덴티티를 부여하여 다양한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월드컵공원은 자연과 함께 도시민들이 공원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높여 서울의 아름다운공원으로 이용되어야 한다.; While urban parks were used to do static activity based on walks or simple fun and exercise, more and more people have recently used them to enjoy various leisure activities, including environmental experiences, culture, and art, through professional hobbies. These park users tend to spend much time in self-management through rest and leisure activity. With the gradual increase in duration of using urban parks to meet this tendency and diverse behaviors of using leisure activities, greater emphasis is placed on the importance of diversity of facilities and spatial composition for urban park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World Cup Park which was once a landfill and has been transformed into an ecological park through post-management and which is thus expected to accommodate more diverse activities than other urban parks. Nanjido is the place where landfill had been performed in an insanitary way for 15 consecutive years, consequently causing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of water and soil pollution in neighboring Han River and ecosystem destruction with leachate spill, odor, and harmful gas in the neighborhood. Through the transformation from the landfill into eco-friendly space, it meets the goal of eco-friendly city planning as well as the roles of open space in Sangam-dong and has become one of the urban parks with spatial and historic specifi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sers' awareness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World Cup Park, which is an ecological urban park, present a direction for improving spatial composition and facilities, and suggest a desirable environment for using urban parks. Observation and a survey were conducted on the behaviors of using the World Cup Park composed of five theme parks—Peace Park, Sky Park, Sunset Park, Nanjicheon Park, and Nanji Han River Park—to determine awareness of spatiality and satisfaction with space occupancy. A user classification system was built to deter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main users, and diverse types of monitoring were used to analyze park users and seasons, time, and means for using the park. The users'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fill park transformed into an urban ecological park and if they had any problem in using the convenient facilities, the hygiene facilities, the drinking fountains, the parking lots, the sport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were also analyzed. The users' behaviors of using the park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to present a plan for improving park use effectively. The World Cup Park users were satisfied with accessibility and the site characterized by the eco-friendly landscape and were dissatisfied with the lack of convenient facilities, including restrooms and parking lots, and the insufficient explanation about the inhabitants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ite transformed from the landfill into the ecological environment.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for comparison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und such items with great importance but weak satisfaction as scenic beauty, harmony with the surroundings, hygiene of the park, facility safety, nighttime lighting systems, and convenience facilities. The users felt tha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World Cup Park transformed into the ecological park were of weak importance and varying satisfaction: preservation of the geographical traces of Nanjido and awareness of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landfill into an ecological park. Although various ecology-related programs were run in the World Cup Park, only specific users we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ark failed to be noted cognitively as an ecological park. In an effort to make the World Cup Park more usable, it is desirable to develop plans for solving the problems found in the results, give the park identity as an ecological urban park, and make plans for accommodating diverse activities.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World Cup Park into a beautiful park in Seoul so that citizens experience no inconvenience in using it along with na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24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42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CIVIL AND LANDSCAPE ENGINEERING(건축ㆍ토목ㆍ조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