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3 0

내장공사의 바닥먹매김작업 시 디지털 레이아웃 장비도입 효용성에 관한 연구

Title
내장공사의 바닥먹매김작업 시 디지털 레이아웃 장비도입 효용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Layout Equiments for Surveying Interior Finishing Works
Author
유정현
Alternative Author(s)
Yoo, Jeong Hyun
Advisor(s)
김주형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재 국내 공동주택사업의 설계 및 시공 과정은 2D기반 CAD를 이용해 진행되고 있다. 2D 기반 도면은 입체적 상세표현이 어려워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설계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적인 도면을 작성해야 한다. 이와는 별개로, 설계오류로 인해 누락된 요소를 시공과정상에서 발견하면서 반영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시공 담당 주체가 설계오류를 발견하지 못한 상태에서 공사를 진행할 경우 이후 재작업을 해야 하며, 이는 비용 상승 및 공기지연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최근 BIM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BIM 활용성 향상을 위한 요인들에 관한 연구가 다수이며, 건축시공과 관련된 연구들은 3차원 건축물 모델의 형상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설계 및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쳤다. 따라서 국내시장에 보다 안정적으로 BIM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공정간 연계성을 확보하고 BIM 발주프로세스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 공동주택의 경우 정형화된 형태가 반복되고 수많은 공사실적이 있기 때문에 초기 도면 수준으로도 많은 부분을 예측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주택현장 내장공사 먹매김작업을 대상으로 디지털 레이아웃 장비를 활용하여 파일럿 현장을 통해 정확성과 생산성을 판단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정확성 실험에서는 선행공종(철근콘크리트공사)과 후행공종(마감공사)간 오차를 파악하여 현재 시공프로세스와 장비의 활용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었다. 생산성 실험에서는 작업대상, 작업인원, 작업시간 등을 고려하여 비교 가능한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도출데이터를 표본으로 하여 디지털 레이아웃 장비의 내장공사 도입 시 손익분기점을 파악하고 파일럿 현장에 디지털 레이아웃 장비를 도입하였을 때의 성과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과 성과평가를 통해 두 작업방식의 한계점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시공프로세스와 디지털 레이아웃 장비의 개선방향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Currently, the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ss of the domestic apartment housing constuction project is being conducted using 2D-based CAD. 2D-based drawings are difficult to express in detail, so additional drawings should be created to help understand the design details during the project. Apart from this, there is a difficulty in reflecting the missing elements due to design errors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If the construction contractor does not find any design errors, the construction must be reworked afterwards, which is a major cause of cost increase and air delay. Looking at the recent BIM-related research trend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factors for improving BIM utilization, and studies related to construction have been presented only to suggest a method of designing and selecting formwork using the shape of a 3D building model. Therefore, in order to introduce BIM more stably in the domestic market, it is necessary to secure inter-process linkage and provide clear standards for the BIM ordering process. In the case of multi-family houses, the standardized form is repeated and there are numerous construction records, so it is possible to predict many parts even at the initial drawing level. For this reason, this study set the targeting of the interior finishing works of the apartment complex. The pilot site was set up a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accuracy and productivity through digital layout equipment experiments. In the accuracy test of the equipment, the errors between the preceding type (reinforced concrete) and the succeeding type (finishing works) were grasped to determine the current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availability of equipment.In the productivity experiment, comparable data were drawn in consideration of the work object, work personnel, and work time. Using the derived data as a sample, the break-even point was identified when the finishing works of the digital layout equipment was introduced, and a performance evaluation was conducted when the digital layout equipment was introduced to the pilot sit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suggesting the limitations of the two methods of finishing works through experiments and suggesting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digital layout equipment in the fu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22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39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DEPARK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건설관리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