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6 0

OTT서비스 방송규제의 정당성과 방송프로그램 편성규제 도입 방안 연구

Title
OTT서비스 방송규제의 정당성과 방송프로그램 편성규제 도입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Justification of the Broadcasting Regulations of the OTT Service and the Introduction of Broadcasting Programming Regulations
Author
김호수
Advisor(s)
이호용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유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콘텐츠 소비가 늘어나면서 방송 미디어 환경에 주목할 만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OTT서비스는 범용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한 스마트기기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OTT의 영향력이 전통적인 방송 매체를 위협할 정도로 성장하면서 기존 방송사업자와의 비대칭 규제,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에 대한 규제공백, 규제 중복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 때문에 국내외에서는 OTT서비스에 대한 법제화를 위한 다양한 논의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제20대 국회에서 OTT서비스를 방송법 또는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에 포함하여 방송규제체계로 편입하려는 개정법률안이 제출되기도 하였다. 두 법률안 모두 현행법상 통신규제체계에 속하는 OTT서비스를 방송규제체계의 영역으로 포섭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해외 주요 국가들은 이미 OTT서비스를 유형에 따라 방송에 준하여 규제를 하고 있거나 규제를 준비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OTT서비스에 방송규제가 적용될 경우 OTT서비스에도 방송편성규제의 필요성과 타당성이 있는지 검토하고 편성규제 도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그 과정에서 방송·통신이 융합되고 있는 시대적 배경과 헌법상 방송·통신의 개념 및 규제체계를 고찰하고, OTT서비스 방송규제 적용의 정당성과 국내외 규제동향을 살펴보았다. OTT서비스에 대한 방송 규제의 적용은 헌법상 방송 개념이 시대적·기술적 상황에 따라 열려 있고, OTT서비스가 1:다수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가지고 집단의 수용자에게 광범위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정당성이 있다고 보았다. 그런데 OTT서비스에 대한 방송편성 규제의 적용은 해외에서도 국산물 편성쿼터제와 같은 일부 사례만이 적용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OTT서비스에 방송편성규제의 적용은 즉시 시행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여러 문제들이 있기 때문에 단계적 추진을 제안하였다. 첫째, OTT서비스의 법률적 지위를 확립하고 그 유형과 영향력에 대한 현황 파악을 위한 자료 제출을 의무화하여야 한다. 둘째, 해외 OTT사업자에 대한 규제 적용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방송규제 담당 기관을 일원화하여 방송과 방송 유사 영역에 관한 종합적이고 합리적인 정책 추진을 도모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OTT서비스에 대한 개별 방송프로그램 편성 규제 적용 타당성을 고찰하고 OTT서비스 유형을 실시간 방송 OTT서비스, 유사 방송 주문형 OTT서비스, 개인방송형 OTT서비스로 구분하였다. OTT서비스 유형에 따라 개별 방송프로그램 편성규제의 이념 실현의 타당성과 실효성을 검토하여 구체적인 규제 방안을 제시하였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increased consumption of content using smart devices, there have been notable changes in the broadcasting media environment. In particular, OTT service is growing fast in that it can be used with a variety of smart devices based on the general-purpose internet network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However, as the influence of OTT has grown to threaten traditional broadcast media, there have been issues raised such as asymmetric regulation with the existing broadcasters, regulatory holes or redundant regulations agains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services. Such issues have triggered various discussions at home and overseas for the legalization of OTT services. At home, a revised bill was submitted to the 20th National Assembly to incorporate OTT services to the broadcasting regulatory system by including them into the Broadcasting Act or Internet Multi-media Broadcasting Business Act. Both bills contain the content that incorporates OTT services, which belong to the telecommunication regulatory system under the current law, as part of the broadcasting regulatory system. The review of overseas legislative cases confirmed that some countries have already regulated or prepared to regulate OTT services equivalent to broadcasting according to their typ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introducing broadcasting programing regulations when broadcasting regulations are applied to OTT services and to explore ways to introduce programing regulations. In the process, the study reviewed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are converged and the concepts and regulatory systems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under the Constitution and examined the justification of the broadcasting regulations over OTT services. The application of the broadcasting regulations over OTT services was considered to be justified in that the constitutional concept of broadcasting is open depending on the historical and technical circumstances and the 1: many communication method of OTT services can exert a wide influence over group users. In the case of broadcasting programming regulations over OTT services, only the programming quota system for local programs are applied even overseas. In Korea, the application of broadcasting programming regulation over OTT services would have practical issues for immediate implementation, the phased implementation was proposed.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egal status of OTT services and to obligate the submission of data to understand their types and influences. Second,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the application of regulations to overseas OTT business providers. Third, the agency responsible for broadcasting regulation should be unified to promote comprehensive and rational policies for broadcasting and pseudo broadcasting areas. Lastly, the study examined the feasibility of applying programing regulations to individual broadcasting programs and divided OTT service types into real-time broadcasting OTT service, pseudo broadcasting on-demand OTT service, and personal broadcasting OTT service. By reviewing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ideological realization of the programming regulation of individual broadcasting programs according to the OTT service type, specific regulatory measures were propos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20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22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LEGAL AFFAIRS(법무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