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7 0

민족적 특성을 지닌 한국과 중국의 예술가곡 비교연구

Title
민족적 특성을 지닌 한국과 중국의 예술가곡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Art Song Tradition in Different Ethnic Characteristics: with Emphasis on Contemporary Works from the Late 20th to the 21st Centuries
Author
하려문
Alternative Author(s)
HE LIWEN
Advisor(s)
정록기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예로부터 중국과 한국은 지리적 특성상 역사적/문화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어 왔으며, 유교 및 불교문화의 영향으로 사상과 예절 등에서도 서로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양국의 전통음악에 사용되는 음률인 ‘오음십이율’은 음악적 공통점으로 볼 수 있다. 한국과 중국에 서양 예술가곡 양식이 유입된 시기는 약 100년이 넘지 않지만, 양국의 예술가곡은 민족적/문화적으로 자국적인 특색을 지닌 스타일로 발전했다. 연구자는 한 나라의 역사 발전 과정에서의 중대한 사건들이 예술가곡의 발전 방향에 영향을 끼칠 수 있고, 그 일맥상통하는 예술가곡 스타일도 구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시기별 민족적 특성을 지닌 예술가곡들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양국 예술가곡의 발전사의 공통점과 차이점들을 발견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 현대까지 한국과 중국의 중요한 역사적 사건들을 경계로 예술가곡의 발전시기를 네 시기로 구분하였다. 즉 한국 예술가곡 발전사는 태동기(1920~45년), 과도기(1945~53년), 발전1기(1953~79년), 발전2기로(1980년~), 중국은 태동기(1920~49년), 도약기(1949~66년), 주제특화기(1966~76년), 발전기(1978년~)로 구성하였고, 양국의 근현대 사회적 배경에 따라 예술가곡이 어떻게 발전되었는지 그 과정에 대해 구체적인 근거들을 제시하였다. 각 시기의 민족적 특성이 포함된 예술가곡 총 여덟 곡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작곡가들의 생애, 작품세계, 가사에 대한 해석과 음악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한국 예술가곡 대표작품은 김동진의 《가고파》, 김순남의 《진달래꽃》, 최영섭의 《그리운 금강산》, 이영조의 《정선 엮음 아리랑》이며, 중국의 예술가곡 대표작품은 황쯔(黄自)의 《사향(思乡)》, 로어쫑시엔(罗宗贤)의 《바위에 물방울이 떨어지다(岩口滴水)》, 셩마오&탕크(生茂、唐诃)의 《심원춘·눈(沁园春·雪)》, 쉬찡씬(徐景新)의 《춘강화월야(春江花月夜)》이다. 이 중 비슷한 시기의 양국 예술가곡들을 네 그룹으로 나눈 후, 각 작품의 시대적 배경, 음악적 양상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양국 예술가곡의 공통점과 차이점들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계기로 한국과 중국의 민족적 특성을 지닌 예술가곡들이 보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지길 바라며, 본 논문이 양국의 예술가곡 연구에 대한 문헌적 가치가 있는 자료로써 사용되어 향후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From the ancient time, China and South Korea have been maintaining a close relationship historically and culturally, because of their geographical location, Influenced by Confucianism and Buddhism they also have been sharing cultural ideology in common. Moreover, they widely used particular musical idioms in their traditional music, which are represented in the twelve-pitch scale and the pentatonic scale, and unique ornamentations. Through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turmoils for last hundred years, the art song tradition of China and Korea has been developed in their distinctive national styles with their own ethnic characteristics. In conducting research on the art song tradition of two countries, I assured that political and social incidents in history considerably impact on their cultural developments including the stylistic development of art song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document is to fin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art song tradition in China and South Korea by musically and poetically analyzing selected art songs from different time periods in those two countries. Four distinguished stages in the development of art song tradition are proposed based on historically significant events from the late 20th to the 21st centuries. For the history of Korean art song tradition, there are the beginning period of 1920~45, the transition period of 1945~53, the 1st developing period of 1953~79, and the 2nd developing period from 1980 to the present. For the history of Chinese art song tradition, the beginning period of 1920~49, the jump-up period of 1949~66, the specialized theme period of 1966~76, and the new developing period from 1978 to the present. Then the developing processes of the art song are concretely provided along with distinctive social circumstances in each period. For the musical examples in detail, eight art songs from the four different periods in two countries are considerately selected, all of which are representative of national characteristics. Selected songs consist of 《I Wish to Go》by Dong-Jin Kim, 《Azalea Flowers》by Sun-Nam Kim, 《Yearning for Gumgang Mountain》by Young-Seop Choi,《Complied Arirang from Jeongseon Province》by Young-Jo Lee, 《Homesickness》by Zi Huang, 《Water Dripping on the Rocks》by Zongxian Luo, 《Snow-To the Tune of Qin Yuan Chun》by He Tang and Mao Sheng, and《Spring Blossoms on a Moonlit River》by Jingxin Xu. Researches on composers’ life, their own compositional styles, musico-poetic analyses of each song follows. This document is intended to be used as a valuable reference for studying art song tradition of China and South Korea in the fu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13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48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