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9 0

Program Annotation: 졸업연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A. Vivaldi, W. A. Mozart, A. Dvorak, F. Poulenc, D. Argento의 성악작품 해설

Title
Program Annotation: 졸업연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A. Vivaldi, W. A. Mozart, A. Dvorak, F. Poulenc, D. Argento의 성악작품 해설
Other Titles
Program Annotation: A Study on Vocal Music of A. Vivaldi, W. A. Mozart, A. Dvorak, F. Poulenc, D.Argento
Author
손민정
Alternative Author(s)
Son, Min Jeong
Advisor(s)
정록기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필자의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연주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로 작곡가들의 생애와 작품의 특징 및 시대적 배경과 음악분석을 통해 실제 연주를 할 때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데 목적을 두어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바로크 시대부터 20세기 시대에 걸친 5명의 작곡가의 작품을 선정하여 연구하였으며 이탈리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 총 4개의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 오페라 《바자제트》(Bajazet, RV703)는 아고스티노 피오베네(Agostino Piovene, 1671-1733)의 대본으로 작곡되어진 비발디(Antonio Vivaldi, 1678-1741)의 대표적인 오페라 작품이다. 티무르제국에 바자제트와 그의 딸 아스테리아가 포로로 잡혀들어가게 되고, 이레네와 약혼한 사이인 티무르의 황제 타메를라노는 아스테리아와 결혼을 결심하게 된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이레네는 배신감과 슬픔에 잠겨 비참한 마음으로 아리아 '나는 멸시받는 신부라네'(Sposa son disprezatta)를 노래한다. 이 곡은 바로크 대표 성악양식인 다카포 아리아로 A-B-A'형식을 나타내며 A'부분에서는 화려한 멜리즈마와 장식음을 사용하는 연주자의 즉흥연주 능력이 요구된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는 시와 음악을 결합시키는 능력이 뛰어났고 그의 대표적인 이탈리아가곡 '고요함은 미소짓네'(Ridente la calma, K.152)와 '기쁨의 충동'(Un moto di gioja, K.579)은 이탈리아 양식의 오페라 아리아 분위기가 나타나며 모차르트만의 단순하지만 아름다운 선율을 통해 가사의 의미가 표현되었고 서정적인 성악 선율은 반주가 함께 노래되면서 나타난다. 드보르작(Antonin Dvorak, 1841-1904)의 연가곡 《집시의노래》(Zigeunerlieder, Op.55)는 체코의 서정시인인 아돌프 헤이둑(Adolf Heyduk, 1835-1923)의 7편의 시로 작곡된 곡으로 민족주의적 음악 특징이 나타나며 집시들이 연주하였던 악기인 침발론과 트라이앵글, 탬버린 등의 효과를 내는 등 집시음계를 사용하여 집시들의 자유롭고 방랑한 삶에서 오는 이야기를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풀랑크(Francis Poulenc, 1899-1963)의 연가곡 《노래되는 선율들》(Airs chantés, FP46)은 장모레아스(Jean Moreas, 1856-1910)의 『절가』(Le Stance)에서 발췌되어 1927년에 작곡되었다. 풀랑크의 음악은 신고전주의,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받아 제1기-4기로 나뉘며 《노래되는 선율들》은 그의 초기가곡으로 고전음악형식을 사용하면서 불협화음, 불규칙한 악센트 사용, 잦은 전조 등을 보여준다. 이 연가곡집은 자연과 인생, 사랑을 노래한 작품으로 총 4곡으로 구성되어있다. 아르젠토(Dominick Argento, 1927-2019)의 《엘리자베스 시대의 6개의 노래》(Six Elizabethan Songs)는 자연적 소재와 죽음과 찬미를 주제로 구성된 연가곡집으로 엘리자베스 시대에 활동했던 5명의 시인들의 시에서 발췌하여 작곡된 작품이다. 《엘리자베스 시대의 6개의 노래》는 성악선율과 반주부를 복잡한 리듬형태로 템포와 박자에 변화를 주어 나타내었고 현대적 화성을 사용하여 유연하게 연결시켜 표현한 작품이다. 본 연구 결과 작곡가들의 시대에 대한 역사적, 문화적 배경이 그들 작품의 음악적 특징과 깊은 연관성이 있으며, 예술가곡에 있어서는 각 시어에 대한 정확한 번역과 해석이 음악과 연관된 관점에서 분석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각 곡의 면밀한 고찰을 통하여 연주자는 작곡가의 정확한 의도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주관적인 해석을 통해 효과적으로 재창조할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13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24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