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남경숙-
dc.contributor.author김남호-
dc.date.accessioned2020-08-28T16:53:53Z-
dc.date.available2020-08-28T16:53:53Z-
dc.date.issued2020-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081-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619en_US
dc.description.abstract현재 대한민국은 급속한 사회 발전으로 인하여 소득 수준의 증가, 의료 발전 등으로 삶의 질이 향상되었고 GDP 세계 11위, 인터넷 보급률 1위 등으로 계속해서 발전해나가는 중이다. 하지만 이와 모순되게 인구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출산율 저하, 초혼 연령 지체 등 사회문제는 지금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는 문제가 되었다. 또한, 치열한 교육 경쟁과, 일자리 시장의 경쟁구조 등으로 교육, 취업, 정책 등이 수도권 대도시에 집중됨으로써 본가와 떨어져 독립가구를 형성하는 1인 가구의 형태가 대도시를 중심으로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계속해서 증가되고 있는 각 연령층 별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별 주거공간 선호도 및 서비스 디자인 발전 방향을 연구하기에 앞서 연구 내용과 연구의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인 가구의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하므로 문헌조사를 통하여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과 주거선호도 가구의 특성별 주거 선호 유형에 관하여 고찰하였으며 통계청 자료를 활용한 장래가구 특별 추계, 1인 가구의 증가율에 등 1인 가구에 관한 자료를 알아보았다. 또한 현재 연령층 별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별 조사가 어디까지 진행되었는지에 대한 사항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주된 목적 중 하나인 연령층 별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별 주거공간에 대한 선호도와 요구 사항, 만족도를 수집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본 연구는 전 연령, 1인 가구,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값을 추출하기 위한 설문조사는 설문지와 인터넷 설문조사를 통한 질문 방식의 설문지 법으로 이루어졌다. SNS의 이용률이 높은 청년층들을 고려하여 SNS를 이용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설문에 들어가기 앞서 예비 설문을 진행하여 설문에 대한 내용과 분석이 정확한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파악 후 본 설문을 진행하였다. 인터넷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글 설문지) 총 287부의 설문이 진행되었으나 불성실하거나 한 지문에 다중 하여 선택한 설문자 14명을 제외한 27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인터넷 이용률이 적은 중년층과 노년층을 위한 오프라인을 통한 설문지를 제작하여 경기도 광주시 노인정 5곳을 대상으로 배부하였고 150부를 그중 72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율 48%), 부실 기재한 것을 제외한 총 61부를 실제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 for Windows Program을 사용하여 전산 처리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 분석과 기술 통계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후 주거선호도의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성 분석과 타당도의 분석을 위하여 KMO와 Bartlett의 검정 값과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다. 라이프스타일 역시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성 분석과 타당도의 분석을 위하여 KMO와 Bartlett의 검정 값과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다. 라이프스타일과 특성에 따른 집단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Duncan의 검정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공간 선호도를 Pearson 상관분석 실시 후 상관관계가 유의한 항목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연령층 별 주거선호에 따르면 내부시설 기능적 요소에 60세 이상이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 주거선호에 따르면 외부 시설 및 프라이버시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가장 높았다. 또한 조사 대상자의 군집분석을 통한 라이프스타일 분포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르면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큰 차이는 없었다. 다만 외향적 사교생활 추구형의 경우 남성의 비율이 좀 더 높았으며 자기중심적 생활 추구형, 고급 추구형은 여성의 비율이 높았다. 연령별 라이프스타일 분포를 살펴보면 주거 애착 추구형의 경우 40세~59세의 비중이 높았고 60세 이상의 비중이 가장 낮았다, 또한 이는 Smart Digital 추구형에도 같은 형태를 띠고 있었다. 외향적 사교생활 추구형의 경우 20세~39세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자기중심적 생활 추구형의 경우 20세~39세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40세~59세의 비중이 가장 낮았다. 고급 생활 추구형의 경우 60세 이상이 50%를 넘는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40세~59세의 비중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주거 선호도의 회귀분석을 통한 상관관계 분석에 따르면 첫 번째 주거 애착 추구형에서는 정리하면 방음과 가스배관의 노출, 조명의 색상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Smart Digital 추구형에서는 일조량, 조명의 색상, 초고속 인터넷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외향적 사교생활 추구형에서는 승강기, 실내공간의 청결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자기중심적 생활 추구형에서는 개별난방, 일조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고급 추구형의 경우 방의 밝기, 일조량,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인 가구 라이프 스타일별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디자인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통적인 선호 유형으로는 주거공간 출입에 대한 보안, CCTV, 보안시설, 주차장의 여부가 있었다. 이는 주거공간의 프라이버시 및 안전성과 주차 공간에 대한 효율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1인 가구 주거계획에 있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요인으로 생각된다. 둘째. 주거 애착 추구형의 경우 일조량, 방음, 커튼의 유무, 방의 밝기 등에 선호도가 높았다. 또한 라이프스타일 문항에서는 주거공간에서 여가생활을 보내거나 개인업 무등을 한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손님을 맞을 수 있는 공용공간(접대 공간)을 제공하고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업무를 방해받지 않는 공간을 제공하며 비즈니스 지원 서비스 (행정서류대행 서비스)와 배달앱과 연계를 통한 음식 배달 대행 및 서비스 홈 코노미 상품 제안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주거 애착 추구형의 만족도가 높은 공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셋째. Smart Digital 추구형의 경우 초고속 인터넷 등 최신식 문물에 선호도가 높았다. 또한 라이프스타일 문항에서는 집에 최신식 설비를 갖추는 것에 관심이 많았다. 따라서 기본 옵션으로 Ai인공지능 스피커 과 Smart TV 등 스마트 전자기기를 제공하고 전동커튼 블라인드 System 및 자동화 System 서비스, 실외 원격제어 System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Smart Digital 추구형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이다. 넷째. 외향적 사교생활 추구형의 경우 외부 요인과 불화를 최소화하거나 없애는 것과 사회적 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또한 라이프스타일 문항에서는 휴가시 에는 여행이나 레저활동을 많이 하려고 하며, 집은 반려동물이 함께 생활하기에 적합해야 하는 공간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주 전 사전점검 서비스 제공하고 도로 정체 등과 같은 실시간 상황, 대중교통을 이용한 최단시간 이동 경로 제공, 여행상품, 호텔 정보 등과 연계한 서비스 제공, 지도 기반 각종 모임을 위한 카페 위치, 맛집 위치 서비스 제공, 렌터카 업체 연계를 통한 렌터카 서비스, 애완동물 보호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다섯째. 자기중심 생활 추구형의 경우 개인주의가 강한 항목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고 라이프스타일 문항에서는 가정을 이루기보다 혼자만의 삶을 추구하였다. 따라서 모닝콜 및 심부름 서비스, 보안시설 및 프라이버시 비상시 경비실 연결 서비스, 개인물품 보관실(창고) 제공 등 개인에 만족도를 높이는 서비스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여섯째. 고급 추구형의 경우 방음을 통한 외부 소음 제거, 건물외부의 고급화 등 경제적인 부분을 크게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프론트 데스크 서비스와 호텔형 서비스 제공(조식, 발렛, 세탁, 청소) 등을 고려하여 설계한다면 만족도가 높은 공간이 되리라 판단한다. 앞서 계획되었던 획일화된 1인가구 거주지 공급이 아닌 계속해서 변화하고 발전하는 연령층별 1인가구 라이프스타일에 요구수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공급이 현시점에서는 가장 필요한 사항이라 판단하고, 본 연구가 1인가구의 주택공급 및 발전에 작게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연령별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 요인별 주거공간 선호도 및 서비스디자인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preference of residential space and direction of development of service design by lifestyle factors of single households by ag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남호-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Nam Ho-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실내건축디자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