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5 0

다차원적 골프 퍼팅 훈련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다차원적 골프 퍼팅 훈련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for Multi-Dimensional Golf Putting Training Tool
Author
이명랑
Alternative Author(s)
Lee, Myung Rang
Advisor(s)
권태원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실제 그린 환경 위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경사를 수행할 수 있는 다차원적 기법을 활용한 골프 퍼팅 도구 개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골프코스의 그린 경사에 대한 표준성을 파악하여, 최종 경기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트레이닝 관련 정보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기존의 퍼팅 도구를 벗어나 다양한 경사를 통한 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도움을 주는 것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2월 충청 · 경기 지역의 국내 골프장(정규코스) 5곳을 선정하여 측정 거리와 방향을 설정하였으며, 측정 거리 기준은 홀에서부터 30cm, 1m, 2m 거리, 그리고 방향은 사분면으로 설정하여 총 1,080개의 그린 경사를 측정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 골프장의 그린 탐색을 통해 표준화된 퍼팅 도구 개발이 가능한가를 위한 접근 방법으로 골프장 5개의 집단 간 30cm, 1m, 2m 거리에 따른 사분면의 경사 차이(One-way ANOVA) 분석과 골프장 5개의 집단 간 경사 라인에 대한 차이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에 대한 결과는 집단 간 각 거리에 따른 사분면의 경사 차이가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경사 라인에 대한 차이 분석으로는 총 8개의 경사 라인 중 내리막 슬라이스(p<.040)와 스트레이트 내리막(p<.009), 옆 라인 슬라이스(p<.004)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골프코스 그린 현장에 맞는 도구 개발을 위한 접근 방법으로 골프장 5개의 18홀 그린 30cm, 1m, 2m 거리에 따른 사분면의 각 방향에서 얻어진 8개 라인의 총합을 통해 거리와 경사의 내적일관성(Cronbach‘α)을 분석하였으며, 그에 대한 결과로 30cm 거리는 제Ⅰ, Ⅱ, Ⅲ, Ⅳ 사분면 모두 나타나지 않았으며, 1m 거리에서는 제Ⅲ사분면의 알파계수만 .56으로 나타났다. 또한 2m 결과로는 제Ⅱ사분면만 .83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차원적 퍼팅 도구 개발을 위해 골프장 5개의 골프코스 18홀 그린 30cm, 1m, 2m 거리에 대한 8개의 경사 라인 데이터를 통해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분석하였으며, 30cm 거리에 대한 결과로 내리막 훅 1.6°±.83, 내리막 슬라이스 1.8°±.88, 스트레이트 내리막 2.1°±.94, 스트레이트 오르막 1.8°±.81, 오르막 훅 1.8°±.99, 오르막 슬라이스 1.7°±.80, 옆 라인 훅 1.5°±.87, 옆 라인 슬라이스 1.4°±.83으로 나타났으며, 1m 거리로는 내리막 훅 1.7°±1.0, 내리막 슬라이스 1.9°±.82, 스트레이트 내리막 2.2°±1.1, 스트레이트 오르막 2.0°±1.1, 오르막 훅 1.9°±.92, 오르막 슬라이스 1.6°±.79, 옆 라인 훅 1.5°±.74, 옆 라인 슬라이스 1.6°±.69로 나타났다. 마지막 2m 거리에 대한 결과로는 내리막 훅 1.9°±1.1, 내리막 슬라이스 2.1°±1.0, 스트레이트 내리막 2.5°±1.1, 스트레이트 오르막 2.2°±1.1, 오르막 훅 2.1°±1.0, 오르막 슬라이스 1.8°±.73, 옆 라인 훅 1.6°±.74, 옆 라인 슬라이스 1.8°±1.1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차원적 퍼팅 도구 개발을 위해 난이도를 설정하였으며, 그린 경사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통해 거리에 따른 경사 난이도 25% 초급, 50% 중급, 75% 고급으로 구성하여 백분위(PR)로 분석하였으며, 그에 대한 30cm 거리의 25% 결과로는 내리막 훅 0.9°, 내리막 슬라이스 1.2°, 스트레이트 내리막 1.4°, 스트레이트 오르막 1.1°, 오르막 훅 0.9°, 오르막 슬라이스 1.1°, 옆 라인 훅 0.7°, 옆 라인 슬라이스 0.8°로 나타났으며, 50%의 결과로는 내리막 훅 1.5°, 내리막 슬라이스 1.7°, 스트레이트 내리막 2.0°, 스트레이트 오르막 1.8°, 오르막 훅 1.7°, 오르막 슬라이스 1.7°, 옆 라인 훅 1.7°, 옆 라인 슬라이스 1.3°로 나타났다. 그리고 75%의 결과로 내리막 훅 2.2°, 내리막 슬라이스 2.4°, 스트레이트 내리막 2.7°, 스트레이트 오르막 2.2°, 오르막 훅 2.5°, 오르막 슬라이스 2.2°, 옆 라인 훅 2.1°, 옆 라인 슬라이스 2.0°로 나타났다. 1m 거리의 경사에 대한 25% 결과, 내리막 훅 0.8°, 내리막 슬라이스 1.4°, 스트레이트 내리막 1.2°, 스트레이트 오르막 1.4°, 오르막 훅 1.3°, 오르막 슬라이스 1.0°, 옆 라인 훅 1.0°, 옆 라인 슬라이스 1.0°로 나타났으며, 50%의 결과로는 내리막 훅 1.6°, 내리막 슬라이스 1.8°, 스트레이트 내리막 2.1°, 스트레이트 오르막 1.9°, 오르막 훅 1.8°, 오르막 슬라이스 1.5°, 옆 라인 훅 1.4°, 옆 라인 슬라이스 1.5°로 나타났다. 그리고 75%의 결과로 내리막 훅 2.3°, 내리막 슬라이스 2.6°, 스트레이트 내리막 3.1°, 스트레이트 오르막 2.7°, 오르막 훅 2.5°, 오르막 슬라이스 2.1°, 옆 라인 훅 2.0°, 옆 라인 슬라이스 2.0°로 나타났다. 마지막 2m 거리의 경사에 대한 25% 결과, 내리막 훅 1.1°, 내리막 슬라이스 1.3°, 스트레이트 내리막 2.0°, 스트레이트 오르막 1.5°, 오르막 훅 1.5°, 오르막 슬라이스 1.3°, 옆 라인 훅 1.1°, 옆 라인 슬라이스 1.0°로 나타났으며, 50%의 결과로는 내리막 훅 1.8°, 내리막 슬라이스 2.0°, 스트레이트 내리막 2.3°, 스트레이트 오르막 2.0°, 오르막 훅 2.0°, 오르막 슬라이스 1.7°, 옆 라인 훅 1.5°, 옆 라인 슬라이스 1.9°로 나타났다. 그리고 75%의 결과로 내리막 훅 2.7°, 내리막 슬라이스 2.9°, 스트레이트 내리막 3.3°, 스트레이트 오르막 3.0°, 오르막 훅 2.8°, 오르막 슬라이스 2.4°, 옆 라인 훅 2.2°, 옆 라인 슬라이스 2.6°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5개의 골프장 18홀 그린 경사를 탐색으로 다차원적 퍼팅 도구 개발을 위해 그린 경사 라인을 다각도로 접근한 결과, 대체적으로 골프장마다 특색을 가지고 있지만 전체적인 경향으로 골프장마다 설계 구도에 대한 기준의 노력으로 경사 라인 형태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에 그린 탐색을 통해 얻어진 8개의 경사 라인 데이터를 토대로 다차원적 퍼팅 도구 개발이 가능하였다. 이번 연구의 의의는 퍼팅을 수행하는 데 있어 한 공간이 아닌 다른 공간상의 위치가 변하게 되는 상황들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 다차원적 퍼팅 훈련 도구는 그린 경사에 대한 기술 감각 수준을 최적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작용하여 수행능력 향상에 더 중요하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다차원적 퍼팅 도구 개발은 실제 그린 위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경사를 수행할 수 있는 매우 가치 있는 도구 개발을 제시할 수 있다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esent a golf putting tool that utilizes a multi-dimensional technique that performs more effectively on the slopes of the green.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tandards of the green slopes on golf courses and expand specific and systematic information on training that can ultimately affect performance while playing golf. In this regard, the researcher intends to fi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helping improve golf performance on various slopes that go beyond the existing putting tools. Accordingly, in February 2020, a total of 1,080 green slopes were measured in five golf course (regular courses) located in Chungcheong and Gyeonggi in South Korea by setting the distance criteria of 30 cm, 1 m and 2 m from the hole and the direction on a coordinate plane.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a standardized putting tool can be developed by exploring the greens of Korea golf course, one-way ANOVA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differences in the coordinate plane depending on the 30 cm, 1 m and 2 m distances and in the slope lines between the five golf course. Consequent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lopes for the coordinate plane according to each distance between groups; however, three out of the eight slope lin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downhill slice (p<.040), straight downhill (p<.009) and sideline slice (p<.004). Second, as an approach to develop a tool suitable for the green of golf course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distances and slopes was analyzed using Cronbach‘ α with the sum of eight lines obtained in each direction of the coordinate plane according to the distances of 30 cm, 1 m and 2 m in the 18-hole greens of the five golf course. As a result, the distance of 30 cm did not appear in any quadrants Ⅰ, Ⅱ, Ⅲ and Ⅳ, the 1 m distance showed an alpha coefficient of .56 only in quadrant Ⅲ, and the 2 m distance had an alpha coefficient of .83 only in quadrant Ⅱ. Third, the average (M) and standard deviation (SD) were analyzed with the data on the eight slope lines for the distances of 30 cm, 1 m and 2 m in the 18-hole greens of the five golf course in order to develop a multi-dimensional putting tool. The results for the 30 cm distance were shown as downhill hook 1.6°±.83, downhill slice 1.8°±.88, straight downhill 2.1°±.94, straight uphill 1.8°±.81, uphill hook 1.8°±.99, uphill slice 1.7°±.80, sideline hook 1.5°±.87 and sideline slice 1.4°±.83. As for the 1 m distance, the results include downhill hook 1.7°±1.0, downhill slice 1.9°±.82, straight downhill 2.2°±1.1, straight uphill 2.0°±1.1, uphill hook 1.9°±.92, uphill slice 1.6°±.79, sideline hook 1.5°±.74 and sideline slice 1.6°±.69. Lastly, the results for the 2 m distance include downhill hook 1.9°±1.1, downhill slice 2.1°±1.0, straight downhill 2.5°±1.1, straight uphill 2.2°±1.1, uphill hook 2.1°±1.0, uphill slice 1.8°±.73, sideline hook 1.6°±.74 and sideline slice 1.8°±1.1. Fourth, in order to develop a multi-dimensional putting tool, the difficulty levels of slopes were divided into beginner (25%), intermediate (50%) and advanced (75%) according to the distance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green slopes, and they were analyzed by percentile (PR). The results for the 30 cm distance are shown as downhill hook 0.9°, downhill slice 1.2°, straight downhill 1.4°, straight uphill 1.1°, uphill hook 0.9°, uphill slice 1.1°, sideline hook 0.7° and sideline slice 0.8° for 25%; downhill hook 1.5°, downhill slice 1.7°, straight downhill 2.0°, straight uphill 1.8°, uphill hook 1.7°, uphill slice 1.7°, sideline hook 1.7° and sideline slice 1.3° for 50%; and downhill hook 2.2°, downhill slice 2.4°, straight downhill 2.7°, straight uphill 2.2°, uphill hook 2.5°, uphill slice 2.2°, sideline hook 2.1° and sideline slice 2.0° for 75%. As for the 1 m distance, the results include downhill hook 0.8°, downhill slice 1.4°, straight downhill 1.2°, straight uphill 1.4°, uphill hook 1.3°, uphill slice 1.0°, sideline hook 1.0° and sideline slice 1.0° for 25%; downhill hook 1.6°, downhill slice 1.8°, straight downhill 2.1°, straight uphill 1.9°, uphill hook 1.8°, uphill slice 1.5°, sideline hook 1.4° and sideline slice 1.5° for 50%; and downhill hook 2.3°, downhill slice 2.6°, straight downhill 3.1°, straight uphill 2.7°, uphill hook 2.5°, uphill slice 2.1°, sideline hook 2.0° and sideline slice 2.0° for 75%. Lastly, the results for the 2 m distance include downhill hook 1.1°, downhill slice 1.3°, straight downhill 2.0°, straight uphill 1.5°, uphill hook 1.5°, uphill slice 1.3°, sideline hook 1.1° and sideline slice 1.0° for 25%; downhill hook 1.8°, downhill slice 2.0°, straight downhill 2.3°, straight uphill 2.0°, uphill hook 2.0°, uphill slice 1.7°, sideline hook 1.5° and sideline slice 1.9° for 50%; and downhill hook 2.7°, downhill slice 2.9°, straight downhill 3.3°, straight uphill 3.0°, uphill hook 2.8°, uphill slice 2.4°, sideline hook 2.2° and sideline slice 2.6° for 75%. In order to develop a multi-dimensional putting tool, the study approached the slope lines of the 18-hole greens of the five golf course from different angles, and it was discovered that each golf course showed their own characteristics, but they generally had similar slope lines due to the effort to standardize the design structure. Accordingly, this study was able to develop a multi-dimensional putting tool based on the data of the eight slope lines obtained by exploring the greens. For golf putting,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situations where the position can change not only in one space but in different spaces. In this regard, it is expected that the unique multi-dimensional putting training tool will help achieve the optimal skills and performance for green slopes, further contributing to performance improvement. In summary, the multi-dimensional putting tool can be a valuable tool that helps players perform more effectively on green slop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05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40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PORT SCIENCE(스포츠과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