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 0

상담전문가의 소명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Title
상담전문가의 소명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Other Titles
Phenomenological Study of Professional Counselor’s Calling
Author
안혜진
Alternative Author(s)
An, Hye Jin
Advisor(s)
김태선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상담자의 소명에 대해 이해하고 구조를 밝힘으로써, 경험의 본질적 요소를 규명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현재 상담관련 박사과정을 마쳤거나 학회 혹은 국가에서 발급한 1급 이상의 상담자격증을 보유하였으며, 상담전문가 동료의 추천을 받고, 자신의 일을 소명으로 인식하고 있는 자로 선정하였다. 참여자들은 상담경력 7년 ~ 23년에 해당하는 숙련상담자로, 30대 후반부터 50대 초반의 연령에 속하는 6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월부터 3월까지며, 참여자별로 1회에서 2회에 걸쳐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질문지를 사용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모든 면담 내용은 녹음하여 필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Colaizzi (1978)가 제시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따랐으며, 이남인(2010)의 연구방법을 참고하여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는 32개의 주제(Theme), 16개의 주제군(Theme cluster)으로 도출되었으며, 4개의 범주(Category)인‘소명의 기원’,‘소명의 형성 과정’,‘소명의 형성 결과’,‘소명의 변화’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를 각 범주 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명의 기원은 초월적 존재의 인도와 개인 내면에서의 발현이 함께 작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상담자들은 인간을 넘어선 신 혹은 우주의 절대자에 의한 강한 이끌림을 느꼈으며, 내적 성찰을 통한 깨달음으로 소명을 인식하기도 하였다. 둘째, 소명의 형성 과정은 그 경로나 방법이 복잡하고 다양하게 경험되었다. 상담자들은 상담을 통한 치유와 성장의 경험이 있었고, 이는 상처 입은 치유자로서의 이타심으로 발전하였다. 이들은 상담에 강한 흥미와 호기심, 재능을 느끼며 숙달하고자 하는 욕구로 열정적인 몰입을 보였다. 또한 진로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하고 시행착오를 겪는 등 일에서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우여곡절을 경험하였다. 셋째, 소명의 형성 결과 상담자들은 일과 삶에서 많은 충만함을 경험하였다. 특히, 상담 장면에서의 절정경험을 통해 강한 효능감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일을 통해 자신과 타인의 치유와 성장뿐만 아니라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담자들은 일에서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고, 자아실현을 향해 나아갈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소명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제가 변화하고 확장되는 지속적인 과정으로, 촉진과 저하를 반복하기도 하였다. 상담자는 치료적 도구로서의 자신을 관리하며 소명을 촉진하고 강화하였으며, 시간과 체력의 한계에 따른 소진으로 인해 소명의 저하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상담자의 소명에 대해 참여자들의 생생한 진술을 바탕으로 본질적 요소를 분석한 첫 시도라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소명의 다양한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는 상담자로 진로를 선택하려는 자 혹은 소명을 경험하였거나 인식하고자하는 상담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담자의 소명에 대한 특징과 본질적 요소에 대해서도 운을 떼었다는 점에서, 추후 관련 이론의 개발과 연구의 기반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상담자들의 소명을 촉발하고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meaning of experiences in the professional lives of the individuals as counselors, who take their career as a calling and search for the essence of the particular and universal phenomena occurring in experiences.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on the basis that they finished the Ph. D courses in counselling or had a certificate of counselling higher than the first degree issued by the nationally accredited organization or the academic society, and they were recommended by their colleagues, recognizing their work as a calling. The participants were six people; all of them were skilled counselors with 7 to 23 years of counselling credentials and the age group ranged from in their late 30’s to the early 50’s. The period for collecting the data was from January to March 2020,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ce and twice for each participant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 of the individual.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every interview was recorded and written down.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research method of phenomenological quality presented by Colaizzi (1973) and complemented by referring to the research method of Lee Namin (2010). The research results were drawn into 32 themes and 16 themes clusters, and were broken into 4 categories such as ‘the origin of calling', 'the formation process of calling', 'the results of calling' and ‘the change of calling'. The results of each study result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origin of calling can be traced to a result of a combination of the some guidance of transcendental beings and the self-reflection. The counselors identified their career as something of a destiny conferred by transcendental power and recognized the calling through internal reflection. Second, the formation process of calling is experienced in a wide variety of the courses and methods. The counselors have experienced healing and growth through counselling, which led to the growth of altruism as a wounded healer. They felt a strong sense of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counselling, passionately immerging themselves in desires to improve their skills. In addition, they have experienced ups and downs to find meaning in life, such as intensely agonizing over career path and trial and error. Third, they have experienced a high degree of a sense of fulfillment in their works and life as the results of the formation of calling. In particular, they have been able to recognize strong efficacy through the peak experience in the counseling scene, and through work they was able to exert good influence on the world as well as the healing and growth of themselves and others. Therefore, counselors were able to find the meaning of life in their work and move toward self-realization. Last, calling is a continuous process in which the subject changes and expands over time, and facilitates and degrades have been repeated. The counselors promoted and enhanced their calling by taking care of themselves as a therapeutic tool, and experienced a decline in calling due to exhaustion due to limitations in time and physical strengt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essential elements of the counselor’ s calling based on the vivid description of the participants. This study provides opportunities to shed light on investigating particular details of calling and can supply useful materials to those who want to follow the course of the counselor or have experienced or want to recognize the calling. Furthermore, just touching on the aspects of the characteristics and essential elements of the counselor’s calling will pave a way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ories related and research and can be used as materials to develop programs geared to encourage and enhance the sense of calling of the counselo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285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535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