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2 0

저작 기능 상실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Title
저작 기능 상실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icatory Function los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uroQol-5 Dimension) :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Author
박세은
Alternative Author(s)
PARK, SEEUN
Advisor(s)
김미경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연구배경 : 구강건강의 주요한 지표인 치아상실 수는 저작능력을 저하시켜 음식 섭취 및 영양공급에 영향을 주며 이는 전신적 건강 문제와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즉 건강 상태를 평가함에 있어서 구강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현존 자연치아 수는 저작 기능을 좌우하는 요소로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최근 현존 자연치아 수와 건강관련 삶의 질(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계속 보고됨에 따라 현존 자연치아 수는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현존 자연치아 수만으로는 저작 기능 상실 정도를 평가하기 어려우므로 이 연구에서는 담버그씨의 「치아기능 점수법」을 이용하여 저작 기능 상실을 평가한 후 건강관련 삶의 질(EuroQol five dimension scale)과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치아상실 외 저작 기능을 저하 시키는 요인으로는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지 않거나, 구강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치아통증의 경험 등이 있어 이를 추가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이 연구는 제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만 40세 이상 80세 미만의 성인 중 구강검사를 실시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EQ-5D) 변수에 결측이 없는 최종 대상자 8,052명이다. 담버그씨의 「치아기능 점수법」을 이용하여 치아상실 개수에 따라 저작 기능 상실 정도를 평가하였다. 저작 기능 상실은 2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치아상실 평균값을 구한 결과 세 개 그룹 (Group 1=100, Group 2=99-71점, Group3 = 70-0점)으로 구분하였고 둘째, 연령의 저작 기능 상실 분포를 보고 전체 대상자 하위 25%인 두 개 그룹(Group 1=100-80, Group 2=79-0점)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는 EQ-5D INDEX 이용하였으며 중앙값이 1인 경우 삶의 질이 ‘높다’라고 정의하였고 1이하인 경우는 삶의 질이 ‘낮다’라고 재범주화 하였다. 저작 기능 상실 군별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교란변수를 보정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 교란변수를 보정한 결과 저작 기능 상실 1(Group3)과 건강관련 삶의 질(EQ5-D<1)에서 관련성(OR:1.32, 95% CI:1.11-1.57)과 경향성이 보였다(p for trend <0.0024). 저작 기능 상실 2(Group2)에서도 관련성(OR : 1.18, 95% CI:1.03-1.36)과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p for trend < 0.0214). 추가적으로 치아통증, 치과보철 수복 유무를 층화한 결과 치과보철물이 없었을 때 저작 기능 상실 점수가 낮아짐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EQ5-D<1)과의 관련성(OR=1.44, 95% CI :1.07-1.93)과 경향성이 보였고(p for trend<0.0147), 치아통증이 동반할 경우 건강관련 삶의 질(EQ5-D<1) 과의 관련성(OR=1.61, 95% CI :1.03-2.53)과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p for trend<0.0428). 결론 : 이 연구는 저작 기능 상실(Masticatory Function loss)의 점수가 낮을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Euro Qol five dimension scale) 또한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관련성을 보였다. 추가적으로 알아 본 치과보철 수복 여부와 치아통증 유무에 대한 결과는 치과보철 수복을 하지 않은 군과 치아통증이 동반된 군에서 관련성이 나타났다. 향후 저작 기능 상실의 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을 다각적으로 고려한 후속 연구와 이를 적용한 종적 연구로 검증이 필요하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283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70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S](보건대학원) > MEDICAL SCIENCE(의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