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9 0

쇼그렌증후군 환자의 구강 질환 유병률과 진료 현황 (국민건강보험 표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 이용)

Title
쇼그렌증후군 환자의 구강 질환 유병률과 진료 현황 (국민건강보험 표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 이용)
Other Titles
The prevalence and treatment status of oral diseases in patients with Sjogren's syndrome (Using Korean Health insurance sample cohort database)
Author
이정화
Alternative Author(s)
Lee, Jung hwa
Advisor(s)
박보영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요지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쇼그렌증후군 환자 중에서도 구강건조증 증상이 나타난 환자들은 구강 질환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선행논문에서도 타액선 기능 저하에 따른 쇼그렌증후군 환자와 대조군을 대상으로 구강 질환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특정 병원으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으로 전 국민을 대표하는 자료를 이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민의 2%의 모집단으로 이루어진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 코호트 자료를 이용하여 타액선 기능 저하에 따른 대표적 질환인 쇼그렌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성인 연령대의 유병률을 확인하고 더 나아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타액선 기능 저하로 올 수 있는 대표적인 구강 질환(치주 질환, 구내염, 치아 우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자료는 건강보험가입자 및 의료급여 수급권자로 구성된 5천만 국민의 2%인 대상으로 2002년부터 2015년까지 14년간 시행한 표본 코호트 자료를 이용하여, 총 1,108,369명에서 20~70세 이상의 연령에서 쇼그렌증후군 환자 457명, 대조군 710,299명으로 선정되었다. 이 연구의 통계 분석 방법은 쇼그렌증후군 환자와 대조군에 따른 구강 질환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Chi-Square test)을 진행하고, 성별과 연령을 보정하기 위하여 간접 표준화율을 진행하고 쇼그렌증후군 환자와 대조군의 성별, 연령, 거주지, 소득 분위를 1:1 매칭 후 구강 질환의 위험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로지스틱 회귀 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타액선 기능 저하의 대표적인 질환인 쇼그렌증후군 환자의 유병률은 0.066%이며, 성별의 비율은 1:9 로 여자가 높게 나타났고, 연령의 경우 쇼그렌증후군 환자는 평균 52세±13인 것을 확인하였다. 쇼그렌증후군 유무에 따라 구강 질환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고 상병명으로 정의하였을 때는 두 군과의 유병률 및 위험도의 차이가 없었지만 쇼그렌증후군 환자의 치과 진료 내원 일수와 치과 진료 비용이 더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구강 질환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진료 내원 일수와 진료 비용으로 민감도 분석을 진행하였고, 민감도 분석한 결과 쇼그렌증후군 환자가 대조군에 비해 구강 질환 중 치아 우식의 위험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결과적으로 쇼그렌증후군 환자가 대조군에 비해 구강 질환 중 치아 우식의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진료 내원 일수와 진료 비용 부담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 쇼그렌증후군 환자는 정기적인 구강 검진과 쇼그렌증후군 환자를 위한 구강 질환 예방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283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56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S](보건대학원) > MEDICAL SCIENCE(의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