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자훈-
dc.contributor.author사운주-
dc.date.accessioned2020-08-28T16:39:48Z-
dc.date.available2020-08-28T16:39:48Z-
dc.date.issued2020-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2830-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428en_US
dc.description.abstract2000년후에 세계적으로 도시재생의 최종목표를 기존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는 것이라고 많이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최종목표를 이루기 위해 도시재생사업이 주민이 원하는 도시재생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요구하는 부분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지속가능한 주민참여가 도시재생의 초점으로 주목되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 개발이 사회적인 유대관계를 변화시키며, 거주민의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심을 상실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이에 대해 중국학계에서는 도시재생사업에 전반적인 변화보다는 개체로서 지역사회 애착 등 사람의 심리변화를 중요시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이루기 위해 지역사회 애착의 역할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가져 도시재생사업에서 전체 만족도의 영향요인과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사회 애착과 주민참여의도의 영향요인과 영향관계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2010년대 초에 중국에서 지역 주민의 거주문화를 보호하기 위해 '미재생'사업이 새로운 주거지 재생유형으로서 등장하였고 근 10년 동안 진행되어 왔으며 여러 지역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대상지는 '미재생'사업이 진행중인 중국 베이징시(北京市) 동사남지역(东四南历史文化街区)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상지 거주민의 개인특성을 살펴보면, 중국 베이징시 동사남지역의 거주민은 주로 50, 60대 기혼의 2-4인 가구가 많았다. 인구유동성이 베이징시 다른 주거지역보다 매우 낮은 편이며 거주기간이 15년을 넘은 경우가 많다. 도시재생사업에 대해 참여수준은 정보를 요청하거나 의견 제시하는 단계에 해당되는 거주민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였다. 중국 베이징시 동사남 지역의 거주민은 도시재생사업들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물리적 환경개선, 사회문화 프로그램, 공동체 역량강화 순으로 비교적 고른 분포의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애착 정도는 정체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존성이 2순위를 차지하였다. 주민참여 필요성 인식은 대부분의 응답자가 '필요'와 '매우 필요'에 응답하여 주민참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중국 베이징시 동사남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거주민의 전체 만족도의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전체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물리적 환경개선 부문의 골목길 환경개선, 사회문화 프로그램 부문은 여가활동, 취미양성활동, 실버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전체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사회문화 프로그램 부문의 대외적인 활동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애착과 참여의도간의 영향요인 모델에서는 지역사회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로서 사회문화 프로그램, 공동체 역량강화와 개인특성으로 나타났다.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로서는 물리적 환경개선 한 가지만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애착과 참여의도간의 영향관계 모델에서는 요인으로서 도시재생사업 각 부문에 대한 만족도와 개인특성에 관한 결과는 지역사회 애착과 참여의도의 영향요인 모델과 큰 차이가 없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지역사회 애착은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 애착은 참여의도의 영향관계 모델에서 매개효과가 없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지재생사업을 진행하는데에 있어 경제적인 효과와 관광적인 효과를 추구함으로 인해 대외적인 활동은 거주민의 만족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니 신중하게 전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지역사회 애착을 높이기 위해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진행되는 사회문화 프로그램과 지역사회 공동체 강화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셋째, 거주문화나 건축형태를 보호하기 위한 물리적 환경개선 부분의 한계가 있는 경우 주민참여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애착을 높일 수 있는 사회문화 프로그램과 공동체 역량강화 등 사업의 증진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도시재생사업 만족도가 지역사회 애착 및 주민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on Community Attachment and Intention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an Urban Regeneration Area - Focusing on Dongsi Nan, Beijing, China --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사운주-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HI YUNSHU-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도시대학원-
dc.sector.department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도시재생·설계전공-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