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4 0

노인의 이동성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Title
노인의 이동성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Elderly’s Mobility on Social Participation
Author
이삼식
Keywords
the elderly; mobility; social participation; wellness
Issue Date
2019-08
Publisher
한국웰니스학회
Citation
한국웰니스학회, v. 14, no. 3, Page. 101-110
Abstract
본 연구는 노년기 웰니스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이동성이 사회참여(여가문화활동, 평생교육, 동호회활동, 자원봉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이동성은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신체적 이동성(교통수단을 독립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능력), 도구적 이동성(자가 운전), 노인이용시설에 대한 공간적 이동성(집에서 노인종합복지관까지 도보로 이동하는 소요시간)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17년 노인실태조사」원자료를 이용하여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통계학적 및 사회경제적 특성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노인의 신체적 이동성은 여가문화활동, 평생교육 및 동호회활동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자원봉사 참여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구적 이동성은 모든 유형의 사회참여 활동을 촉진시키고 있었다. 노인이용시설에 대한 공간적 이동성은 여가문화활동과 평생교육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동호회활동과 자원봉사 참여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이동성을 보장하고 사회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made attempts to examine how and to what extent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was affected by mobility, which was directly and/or in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ellnes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we defined the mobility of older adults and classified the mobility into three types such as the physical mobility (ability to make independent use of pubic transportations etc.), the instrumental mobility (ability to drive), and the spatial mobility (the time spent moving on foot from home to the Elderly’s Welfare Center). Data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as used for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physical mobility appear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leisure-cultural activities, lifelong education, and club activities. The instrumental mobility appear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participation in leisure-cultural activities, lifelong education, club activities, and volunteer work. The spatial mobility appear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participation in leisure-cultural activities and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policy implication to promote mobility and stimulate social participation for the elderly.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222415&language=ko_KR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2490
ISSN
1975-4051
DOI
10.21097/ksw.2019.08.14.3.10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POLICY SCIENCE[S](정책과학대학) > POLICY STUDIES(정책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