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정철-
dc.date.accessioned2020-08-25T02:03:34Z-
dc.date.available2020-08-25T02:03:34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citation백산학보, No. 114, Page. 5-34en_US
dc.identifier.issn1225-7109-
dc.identifier.uri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738858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2477-
dc.description.abstract중부내륙에 속하는 충주분지 일대 구석기 유적은 주수계인 남한강과 그 지류 일대에 분포하는 구릉대와 산록대에 입지한다. 대부분의 구석기 유물은 구릉대 하안단구 상부와 산록대 산록완사면의 상부에 형성된 퇴적물에서 출토되고 있다. 구석기 유물이 출토되는 퇴적층은 하안단구 관련 유적에서는 비교적 안정된 퇴적 과정을 거쳤던 것으로 보여지며, 산록완사면 관련 유적에서는 반복적인 사면퇴적의 영향이 빈번하게 확인된다. 층위상으로 구석기 유물은 쐐기구조가 발달된 암갈색과 적갈색 점토층에 집중되고 있다. 한편 일부 유물은 사면퇴적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조립질의 퇴적층에서 출토되는데, 이 경우 유물의 재이동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충주분지 일대의 핵심적 구석기 유물층은 세 매로 구분되며, 이를 바탕으로 편년 단계를 설정하였다. 이중 Ⅰ과 Ⅱ단계는 중기 구석기시대, Ⅲ단계는 후기 구석기시대에 속한다. 중기 구석기시대에 속하는 단계에서는 찍개를 중심으로 하는 석기공작이 확인되며, 남한강유역 구석기공작의 특징 속에서 양평-여주-충주를 잇는 공간적 범위의 설정에 의미 있는 것이다. 후기 구석기시대에 속하는 단계에서는 석영계 돌감에 기반한 소형석기 제작이 일반적으로 보여지지만, 이 시기의 특정 시점에는 돌날기법과 그에 기반한 슴베찌르개가 일부 확인된다. 돌날기법은 남한강 상류에 위치하는 단양을 중심으로 그 주변인 제천까지 확인되었지만 충주분지 일대에서도 출토되어 향후 돌날기법의 출현과 전개에 대한 가설의 구축과 논의에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aleolithic sites of Chungju basin are located on the hill and mountain ranges, which are distributed around the Namhan River and its tributaries. Most of Paleolithic artifacts are excavated from the sediments formed above the fluvial terrace of the hill and the pediments of the mountain. The sedimentary layers excavated from the Paleolithic artifacts seem to have comparatively stable deposition process in the terrace related sites and the effects of repeated slope deposits in the pediment related sites. Through the stratigraphic comparisons, the paleolithic artifacts are concentrated in dark brown and reddish brown clay layers with developed soil wedges. And some artifacts are observed in sedimentary layers strongly affected by colluvium. In this case, there is a possibility of relocation of artifacts. Therefore, the paleolithic artifact layers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a chronological stages are set up based on them. The stage I and II are belong to Middle Paleolithic, and the stage III is the representing Upper Paleolithic. In the stage of Middle Paleolithic,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industry in the Namhan river area around the chopper-chopping tools are confirmed. Especially, this stage is related to the spatial range of Yangpyeong-Yeoju-Chungju. In the stage of Upper paleolithic, small stone tools making based on quartz-quarzite material are generally observed, but some tanged-points based on blade technique are partly found. However, this study reveals blade technique is also found around Chungju basin and is important data in setting up and discussing the hypothesis about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blade technique in the future.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백산학회en_US
dc.subject충주en_US
dc.subject구석기시대en_US
dc.subject입지en_US
dc.subject편년en_US
dc.subject석기공작en_US
dc.subjectChungjuen_US
dc.subjectPaleolithicen_US
dc.subjectLocationen_US
dc.subjectChronologyen_US
dc.subjectStone Industryen_US
dc.title중부내륙 충주분지 일대의 구석기 연구en_US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Paleolithic of Chungju Basin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114-
dc.relation.page5-34-
dc.relation.journal백산학보-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정철-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Jungchul-
dc.relation.code2019033794-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HANYANG UNIVERSITY MUSEUM[S]-
dc.identifier.pidsogulee-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연구정보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