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3 0

조선후기 궁중 연희무대 건축 장인(建築匠人)의 활동과 주요 목수(木手) 연구

Title
조선후기 궁중 연희무대 건축 장인(建築匠人)의 활동과 주요 목수(木手)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ctivities of Architecture Craftsmen and Major Carpenters of Court Palace Performance Sta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uthor
한동수
Keywords
조선후기; 연희무대; 외연; 내연; 장인; 목수; Late Joseon; Playacting Stage; external banquet; internal banquet; craftsmen; Carpenters
Issue Date
2019-06
Publisher
한국건축역사학회
Citation
건축역사연구, v. 28, no. 3, Page. 29-44
Abstract
조선후기 궁중 연희무대를 구축한 건축 장인은 사료의 한계로 숙종 기해진연부터 알 수 있다. 궁중의 외연과 내연에 참여한 장인은 숙종, 영조 시기에는 외연의 장인 수가 많고 헌종시기를 기점으로 내연의 장인 수가 많아진다. 장인의 유형은 숙종, 영조 시기에는 외연에서 다양하며 순조 기축진찬부터 내연에서 다양해진다. 연희무대 장인은 왕실의 주요 의례에 주로 참여하였지만 순조시기를 기점으로 연희무대 제작의 참여가 많아진다. 이는 대비가 주빈인 내연의 설행이 증가된 것과 연관이 있다. 연희무대 건축의 주요 목수로 장인상은 숙종 기해진연을 이끌고 사료로 확인되는 연희무대 최초의 장인이다. 이완득은 정조시기 화성성역, 순조시기 기축진찬의 연희무대를 이끌며 이는 정조시기 목수의 기술이 순조시기로 이어진다. 안순길은 궁중무대의 기틀이 확립되던 순조시기 자경전진작, 무자진작, 기축진찬의 연희무대를 이끈 편수로 효명세자 집권기의 외연과 내연의 성대한 연희무대를 모두 건축한 장인이다. 또한, 중요한 왕실 영건공사에 참여하며 주요 목수들과 가장 많이 교류하며 도편수의 기술력을 헌종, 철종, 고종시기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종운은 계유진작, 정축진찬, 정해진찬, 임진진찬의 연희무대를 조성하며 고종시기 연희무대 확장에 기여한 도편수이다. 주요 목수 흐름을 살펴보면 숙종시기 장인상, 영조시기 전유추, 순조시기 안순길, 헌종시기 윤석신, 고종시기 김윤식, 이종운, 김순길, 서상묵, 한수준으로 이어진다. 또한, 가장 주요한 목수의 기술 전달의 왕실 영건은 철종시기 인정전중수공사(1857)로 순조시기의 안순길, 김명갑 헌종시기 윤석신, 권득량과 고종시기 김순길이 함께 교류하게 되는 계기를 만드는 공사이다. 즉, 인정전중수 공사는 도편수의 최고 기술력이 연희무대 건축으로 반영되어 조선후기 가장 화려한 연희무대인 순조기축진찬(1829), 헌종무신진찬(1848), 고종정해진찬(1887)을 이끈 안순길, 윤석신, 김순길의 흐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궁중 연희무대의 목수는 왕실의 중요한 전각의 영건공사에 참여하고 목수의 뛰어난 기술력은 궁중 연희무대 건축에 반영되었다. 또한, 연희무대 건축에 선두적 역할을 수행한 목수들은 서로 교류하며 뛰어난 기술력을 잘 전승하여 조선후기 가설시설의 궁중 연희무대를 화려하고 수준 높은 궁중무대로 꽃피우게 하는 원동력을 제공하여 주었다. A major performance stage carpenter, Jang Insang led performance stages from the 1719 Sukjong Royal Banquet and was confirmed by historical records to be the first craftsman. Lee Wandeuk led the Hwaseong Fortress performance stages of the Jeongjo period and Gichuk Jinchan performance stages of the Sunjo period. The carpenter techniques he used during the Jeongjo period were succeeded to the Sunjo period. Ahn Sungil was the head craftsman who led the performance stages of Jagyeongjeon Jinjak, Muja Jinjak, and Gichuk Jinchan of the Sujo period, under which the foundation for court palace performances was laid. The progression of major carpenters includes Jang Insang of the Sukjong period, Jeon Yoochu of the Yeongjo period, Ahn Sugil of the Sunjo period, Yoon Seoksin of the Heonjong period, Kim Yoonsik of the Gojong period, Lee Jongyoon, Kim Soongil, Seo Sangmook, and Han Sujoon. In addition, the Major Repair of Injeongjeon Hall (1857) of the Cheoljong period was the most important palace construction project for transferring the carpenters' skills. Through this project, Ahn Sungil of the Sunjo period, Kim Myeonggap, Yoon Seoksin of the Heonjong period, Kwon Deuknyang, and Kim Sungil of the Gojong period were able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hat is, this major repair project of Injeongjeon Hall reflected the major carpenters' best techniques through performance stage construction, showing the progression of Ahn Sungil, Yoon Seokshin, and Kim Sungil, who led the constructions of Gichuk Jinchan of the Sunjo period (1829), Mushin Jinchan of the Heonjong period (1848), and Jeonghae Jinchan of the Gojong period (1887), the most impressive performance stages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carpenters of the court performance stages participated in important construction projects of the royal palace, reflecting the superior technical skills of the carpenters in the construction of court palace performance stages. The carpenters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construction of performance stages were able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transfer their excellent technical skills, providing the driving force that allowed court performance stages to blossom into splendid and high-quality court sta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URI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919341607868.page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1284
ISSN
1598-1142; 2383-9066
DOI
10.7738/JAH.2019.28.3.02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ARCHITECTURE(건축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