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3 0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 영역간 통합지도에 따른 교과서 분석 연구

Title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 영역간 통합지도에 따른 교과서 분석 연구
Other Titles
고등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Author
정미경
Alternative Author(s)
Chung, Mie-Kyung
Advisor(s)
박인기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과서 제재곡과 감상곡의 학습목표-활동-평가를 대상으로 하여 이해와 활동영역의 통합적 지도에 관한 분석을 통해 각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교수-학습과정으로서의 통합적 지도 방법이 잘 반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첫째, 7차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통합적 지도 부분과 각 이해와 활동영역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둘째, 이해와 활동영역의 통합지도를 지지하는 음악교육 이론들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현 음악교육계의 동향과 통합지도의 근거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끝으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이해와 활동영역의 통합지도에 대한 연구의 진전도와 본연구의 방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론의 내용인 교과서 분석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8종의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제재곡과 감상곡의 학습목표, 학습활동, 학습평가를 근거로 하여 이해와 활동 영역과의 통합, 활동영역간의 통합지도에 대한 비중을 파악하고, 이를 일목요연하게 도표화하여 결과를 각 교과서 별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현행 8종 교과서의 수록된 제재곡을 활동영역별로 분석해보면 가창 영역이 평균 72%, 감상영역 29.5%, 기악영역 27.5%, 창작영역이 18.5%로 나타나 가창영역이 가장 많이 포함되었고, 반면에 창작영역은 제일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해영역을 살펴보면, 천재교과서를 제외한 7종의 교과서가 리듬과 가락, 혹은 가락과 리듬 순으로 제시되어 제재곡은 대부분 이해영역 요소 중 리듬, 가락을 중심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교학사 제재곡 에서는 빠르기, 음색이 한번도 제시되지 않았고, 박영사의 제재곡 에서도 음색은 제시되지 않는 등, 셈여림과, 빠르기, 음색은 대부분의 교과서 제재곡에서 미흡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영역별 통합여부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우선 이해영역 요소들과 활동영역의 통합적 운영이 4가지요소가 가장 많이 연계된 교과서는 태성, 천재, 현대교과서3권으로 나타났다. 3가지요소의 연계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교과서는 세광, 박영사교과서 2권이었으며, 2가지요소의 연계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교과서는 대한, 교학사 교과서 2권이었고, 두산교과서는 제재곡의 영역별 요소 간 연계학습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해와 활동영역간의 빈번히 연계된 요소들로는 리듬과 가락으로서 주로 가창영역과 기악영역과의 많은 연계가 이루어 졌고, 형식은 가창과 창작영역, 빠르기, 셈여림은 가창 영역, 음색은 감상영역과의 연계가 빈번히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활동영역간의 통합은 가창-기악이 가장 많이 연계된 교과서는 태성, 교학사, 세광교과서 3권으로 나타났고, 가창-감상이 가장 많이 연계된 교과서는 천재, 박영사, 현대교과서 3권이며, 가창-창작이 가장 많이 연계된 교과서는 대한, 두산교과서 2권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상 제재곡의 각 영역별 통합운영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6권의 교과서가 대부분 감상 제재곡의 반 이상 수의 악곡을 다른 영역과 연계하지 않고 단순히 감상활동만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상 제재곡의 통합적 운영이 잘된 교과서는 태성과 천재교육 교과서로서, 일반 제재곡과 마찬가지로 구체적으로 학습목표, 활동, 평가를 제시하여 학습과정을 통합적으로 운영 할 수 있도록 조직하였다. 위의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서의 제재곡의 통합적 운영에 있어 전 영역에 대한 균등한 연계가 더욱 요구된다. 고등학교 1학년 음악 교과서 분석 결과, 활동영역과 이해영역 구성요소에 있어 가창영역, 리듬과 가락 등 특정요소에 많이 편중된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전 영역에 대한 균등한 활동과 유기적 연계제시가 요구된다. 둘째, 대체적으로 일반 제재곡은 가창 활동이 위주이기는 하지만, 각 영역간의 통합적 연계가 잘 이루어진 반면, 감상 제재곡은 상대적으로 매우 미흡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통합적 운영 학습이 되기 위한 선행조건인 상세한 학습목표, 활동, 평가에 대한 언급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셋째, 8권의 고등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수록된 곡이 많은 교과서일수록, 교수-학습과정의 조직이 미약하게 제시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유용성과 전이성을 가진 제재곡을 통하여 여러 가지 활동영역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음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음악 수업시수가 점점 줄어드는 현 시점 같은 상황에서 효율적인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교육과정을 학교음악 수업시간에 적용함에 있어서 그 관건은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그중 학교 일선 교육 현장의 교수-학습과정에 사용되는 일차적 교재는 바로 음악교과서이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이 의도하는 바를 잘 나타내기 위한 학습자료 이므로 학교 음악교육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앞으로 제작될 제 8차 교육과정의 음악교과서는 각 영역간의 연계가 더욱 다양하고 유기적으로 이루어져 통합적 학습지도에 체계적으로 적용 될 수 있는 나침반과 같은역할을 할수 있기를 기대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find out whether each text book's integrated learning method using teaching-learning process is fully reflected through analyzing integrated teaching on understanding and activity area with the use of the 7th Music department curriculum text book's main songs and appreciation song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d first, the integrated teaching and understanding and activity area of each part from the 7th music department curriculum. Secondly, this study researched the current tendency in Music education and the foundation of integrated teaching through studying Music education theories that supports integrated teaching of understanding and activity area. Lastly, progress of research on integrated teaching in understanding and activity area and direction of this study is examined through analyzing preceded researches. Text book analysis in the main text analyzes importance of combination of understanding and activity area as well as integrated teaching between activity areas based on learning objective, activity, evaluation of main songs and appreciation songs from eight music text books for high school 1st graders. This result is drawn in a table, analyzing each text book's resul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using this method is as follows: First, through analysis of activity area on main songs in eight current text books, singing consists 72%, appreciation 29.5%, instrumental 27.5% and composition 18.4%. Singing is included most whereas composition is at an insufficient level. Second, on comprehension, seven text books excluding Chonjae present in the order of rhythm and melody or melody and rhythm, resulting in main song's education mostly based on rhythm and melody of comprehension area. However, tempo and timbre is never presented in Kyohak's main songs and Parkyoung's main songs never present timbre. This demonstrates that accent, tempo, timbre is dealt at an insufficient rate in most text book's main songs. Third, looking at the result of analysis on each factor's integration, text books that integrated the most, which was four, learning factors of understanding area and activity area wereTaesung, Chonjae and Hyundai. Text books that integrated three learning factors were Saekwang and Parkyoung.Daehan and Kyohak integrated two learning factors. Doosan text book did not integrate learning factors of main song's different areas Activity factors that are frequently integrated were rhythm and melody, which shows that mainly singing and instrumental area is integrated. On formality, singing, composition, tempo and dynamic is frequently integrated with appreciation area. On activity area, most integration of singing and instruments could be found from three text books, Taesung, Kyohak and Saekwang, and most integration of singing and appreciation was shown in Chonjae, Parkyoung and Hyundae. Lastly, Daehan and Doosan were text books with most integration of singing and composition. Fourth, the result of appreciation main song's integrated practice of each area shows that six text books only suggest simple appreciation activity that does not integrate with other areas in more than half of its main songs. Text books that have well integrated practice with appreciation main songs were Taesung and Chonjae. These text books concretely indicate objective, activity and evaluation as general main songs do, so that learning process can be organized with integration. Based on this conclusion, I suggest the followings. First, on integrated organization of text book's main songs, equal integration on all area is required. When analyzing High school 1st grade's music text books, tendency of overemphasis is on singing, rhythm and melody among activity and comprehension organiza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suggest equal activity over all areas as well as closely related integration. Second, mostly general main songs are based on singing activity and are well integrated with other areas; however, appreciation main songs are relatively insufficient in this matter. Therefore, comments on detail objective, activity and evaluation, which are prerequisites for integrated education, are required. Third, according to analysis of eight High school 1st grade's music text books, the ones with most songs show weak organization of teaching-learning process. Therefore, through providing opportunities to experience numerous activity areas through main songs with efficiency and transition, comprehension of principle and concept should be the method to increase learning effectiveness at the present situation when music class times are being cut down Many factors are crucial when applying education process to class rooms. Since the most direct method in schools' teaching-learning process is music text book, it is greatly influential and it is the teaching material that reflects objective of education clearly. Therefore, the 8th Music department curriculum text books that will be produced in the future are expected to better integrate every area in a various and more integrated way so that it can be systematically applied to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serves a role as a navigator in music educ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90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45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