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5 0

가야금을 활용한 초등학교 가창수업 지도방안

Title
가야금을 활용한 초등학교 가창수업 지도방안
Other Titles
Teaching scheme of vocal classes by utilizing a Kayagum in the elementary school : principally based on folk songs for 3rd to 6th grade
Author
박진영
Alternative Author(s)
Park, Jin-Young
Advisor(s)
양연섭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7차 교육과정이 6차 교육과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국악교육의 비중이 증가됨에 따라 학교 교육과정에 있어서 주요관심은 국악교육이다.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교사들은 국악교육의 중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지도 부분에 많은 미흡한 점이 있다. 그 중에서도 가창수업은 국악교육부문 중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이다. 하지만 교수법은 서양음악 중심인 기존의 틀을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국악교육이 효과적으로 행해지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학교교육에 있어 국악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은 수업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국악에 대한 이해와 국악기 연주경험 등이 부족하여 국악수업의 대부분을 장구 반주 일변도에 의존하거나 민요 가창수업 시 민요 선율을 피아노나 멜로디언으로 대신하여 민요의 특징이 결여된 채 수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 아무리 반복하여 학습한다고 해도 학생들에게 국악은 재미없고 지루한 음악이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밖에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민요가창 수업 시 서양악기가 아닌 가야금을 수업시간에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직접 보고 느낄 수 있어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수업을 할 수 있으며, 가야금 연주와 가창수업을 병행 할 경우 메기는 부분을 노래로 하고 받는 부분을 가야금으로 연주하여 가야금병창 형태로 수업 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화음을 맞추는 반주 역할도 할 수 있고, 가락을 따라가지 않고 시나위처럼 따로 연주하여 곡의 흐름과 느낌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가야금의 활용 가치는 높다. 학생들이 국악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고 국악을 흥미롭게 느끼고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행해졌던 교육에서 벗어나 좀 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수법이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민요가창 수업 시 우리나라 국악기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가야금을 도입하여 민요의 시김새를 살려 우리민요의 맛과 멋을 올바르게 지도함으로써 학생들이 가야금을 통해 국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고, 체계적인 지도를 위해 기존의 교과서에 실린 3~6학년 민요 12곡의 지도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첫째, 제7차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서는 개정중점방향, 음악과 성격, 음악과 목표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초등학교 3~6학년 음악교과서 국악부문 분석에서는 국악 가창곡의 비율 분석표, 국악 가창부문 제재곡 분석, 민요의 토리별 제재곡을 분석하였다. 셋째, 효과적인 민요수업을 위해 민요의 개념 및 분류방법, 민요의 지역별 특징, 민요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서술하였다. 넷째, 민요가창수업 시 가야금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섯째,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민요가창수업 지도를 위해 3~6학년 교과서에 실린 민요 12곡의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야금뿐만이 아니라 여러 국악기를 수업시간에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국악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고 우리 국악의 우수성을 체감케 하여 한국적인 심성과 긍지를 지녀 우리 국악을 계승하고 발전시켰으면 하는 바람이다.; A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crease in the 7th Curriculum compared with the 6th Curriculum, the main concerns in the school?curriculum is educ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lthough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re is much insufficiency in the practical lecturing. Moreover, vocal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sec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but teaching methods don't free from Western Music?centered frame, s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sn't conducted effectively. The most serious problem is that teaching is conducted without traits of folk songs. Because teachers lack of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experience in performance therefore, they depend on accompaniment of only a Jang?gu or substitute a piano or a melodeon for the melody of folk songs. Through these kind of teaching methods, Korean Traditional Music can be an unpleasant and boring music to students. This study suggest that teachers can utilize a Kayagum to lead students to voluntarily and cleverly participate in the classes. In case that accompaniment of a Kayagum and vocal education are simultaneously conducted, teachers can lead students to sing in the song?part and to accompany the song with a Kayagum. With a Kayagum, students can accompany a song to accord chords and play the Kayagum separately like Sinawi to change flow & feeling. In accordance with those views and reasons above, this study set up the purpose of utilizing a Kayagum in the vocal education of folk songs to let students practice Sigimsae and suggesting scheme of teaching the twelve folk songs in the 3rd~6th grade schooler's textbooks.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researched main direction of Curriculum revision, traits of the music classes and targets of music classes in the revision of the 7th music classes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Second, analyzed ratio table of folk songs, material songs of vocal section, material folk songs classified according to Tory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ection of 3rd~6th grade schooler's textbooks. Third, described the concept of folk songs & measures of classification, traits of folk songs according to area and necessity of folk songs education. Fourth, researched educational utilization of a Kayagum when teaching folk songs in the vocal classes. Finally, suggested teaching scheme of the twelve folk songs in the 3rd~6th grade schooler's textbooks for effective and systematic teaching of folk songs. I hope that teachers can utilize more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 as well as a Kayagum when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es so that students may get rid of preconception of it and know worldwide recognition of it thus, Korean Traditional Music will be developed and succeed to our descendants foreve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87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62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