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8 0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정체성 연구

Title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정체성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Women's Identity in the Novels of Park Wan Soe
Author
김현아
Alternative Author(s)
Kim, Hyun-A
Advisor(s)
서경석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박완서의 소설에서는 여성문제를 많이 다루고 있는데, 특히 여성이 정체성을 찾아가는 여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박완서는 유교문화의 영향으로 인한 가부장제도와 여성억압에 대한 문제를 정면으로 돌파하려고 한다. 그는 작품에 여성들의 삶을 냉철하게 묘사하려 했고 그것을 인간문제로 승화시켰다. 박완서 소설의 여주인공들은 자의식이 강한편이다. 그래서 가정내에서 자행되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희생과 역할에 순응하지 않는다. 그들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길들여져 있지만 결정적인 계기를 통해서 결국 자아를 발견하고 억압된 삶에서 탈피하고자 한다. 『휘청거리는 오후』에 나타나는 세 명의 여자 주인공은 결혼을 대한 주체적 인식을 갖지 못한채 사회관습적으로 정해진 규범의 한계로만 인식한다. 하지만 자신의 주체적인 인식 없이 결혼을 결심한 후, 혼란을 느끼면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한다. 자신의 주체적인 인식 없이 결혼을 결정했다면 그 과정은 순조롭지 못한 결과를 가져 온다. 여성이 주체적이고 자립적이지 못한 채 결혼을 시작한다면 결혼생활 역시 남자에게 의존하게 되어 바르게 설 수 없는 것이다. 결혼 이후에도 자신의 삶의 분명한 정체성이 없다면 『살아있는 날의 시작』이나『서 있는 여자』의 주인공처럼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할 것이다. 『살아있는 날의 시작』에서는 부덕과 미풍양속으로 강요되는 현모양처 이데올로기에 속박된 주인공이 그 탈을 벗어가는 과정을 탁월한 묘사를 통해 적절히 드러내 주었다. 주인공 청희는 자신의 본성을 누르고 사회적 관습에 맞추어 살다가 그 껍질을 깨나가는 과정을 겪는다.『서있는 여자』역시 어머니 세대와 딸 세대의 결혼 생활을 통하여, 전통적인 가부장제 사회에서 강요하였던 여자들의 인내와 희생이 세대가 바뀌어도 같은 모습으로 반복되어 있고, 이를 깨닫고 여성이 각성하기까지 힘든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는 좀 더 적극적으로 이혼녀가 혼자서 아들을 낳고 사회의 편견과 싸워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불리한 법제도에서 자신의 권리를 지키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주체성 있는 여성의 당당한 삶을 묘사했다.『꿈꾸는 인큐베이터』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여성의 존재론적 문제를 제기한다. 이전까지의 소설들이 남녀관계에 있어 극단적인 남녀 대립 구조를 보였다면 이 소설에서는 남녀가 화해의 길을 모색하는 모습을 보인다. 나아가 작가는 이러한 남녀 구별 자체보다 인간에 대해 먼저 생각한다. 이렇게 볼 때 그의 여성문제 인식의 본질은 ‘인간평등사상’, ‘생명존중사상’에서 온다고 볼 수 있다. 박완서의 소설은 ‘현모양처 이데올로기’ 나 ‘이혼의 공포’, ‘남녀평등사상’ 등에 의해 여성주인공이 억압당하고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시련을 통하여 여성주인공들이 자아를 발견하고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Park Wan Soe's novels show the process of a women finding her identity. She tries to breakthrough the patriarchal system and oppression of women that has been influenced by Confucianism. Throughout her work, she describes the mothers and women of the period and applies it to the problems of the humankind. Female characters of Park's novels have too strong self-consciousness to be living under patriarchal system. They keep questioning the lives they were forced to live as a women. These women were used to the ideology, however, after decisive incident they realize their identity and break away from the suppressed life. In 『휘청거리는 오후』, three female characters see marriage as a canon bounded by social usage. After deciding to get married without subjectivity, they experience confusion and agonize about their identity. When marriage is established without subjectivity, it will not go on smoothly. A woman who starts a marriage without independence will rely on the husband and cannot stand up straight on her own. Just like the main characters in 『살아있는 날의 시작』 and 『서 있는 여자』, a married women without clear conscious of who she is will experience confusion. 『살아있는 날의 시작』describes a character who frees herself from a good wife figure described by the lack of virtue, social morals and customs. Ghung-Hee represses her instinct and follows the social rules but later breaks out from repression. 『서있는 여자』 is about marriages of a mother and a daughter. It shows that the patriarchal system and sacrifice of women exist even when generations change. The process of women realizing and changing themselves is truly painful.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shows more active divorcee who raises a son by herself and fights against the prejudice society. Especially against the disadvantageous law, she is a independent woman who fights for her rights. 『꿈꾸는 인큐베이터』 takes one step further and questions the existence of a woman. Previous novels described extreme opposition of man and woman. This novel tries to seek a way to reconciliate man and woman. Furthermore, the writer think about the humankind before dividing man and woman. From this we can see that Park sees that the essential problem comes from equality of both sexes and respecting the life. Park Wan-Soe writes about women repressed by the good housewife ideology, fear of divorce and equality of both sexes. However, through these difficulties, the writer shows us the process of female characters finding their ego and establishing identities of their ow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86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96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