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삼형-
dc.contributor.author지은희-
dc.date.accessioned2020-04-13T18:03:23Z-
dc.date.available2020-04-13T18:03:23Z-
dc.date.issued2007-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84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949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교육에 있어서 질문을 중요한 교수-학습의 과정으로 보고 문학교육을 위한 질문 전략을 모색하는데 있다. 여기에서 질문은 ‘학습자들의 사고활동을 유발시켜주기 위한 문제제기’ 이다. 본고에서는 질문 유형을 학습자의 사고 단계에 따라 분류하고, 이야기 문학의 주요 요소별로 범주화한 뒤, 실제 문학 수업에 실현하기 위해 적용하였다. 학습자의 사고 체계를 밝히기 위해 질문 유형을 Bloom 등이 분류한 인지적 영역과 Krathwohl 등이 분류한 정의적 영역으로 나누었다. 두 영역은 인지적 영역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의 하위유목 15가지와 정의적 영역 ‘감수, 반응, 가치화, 조직화, 가치 또는 가치 복합에 의한 인격화’의 하위유목 13가지 등, 총 28가지의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질문 유형은 이야기 문학의 주요 요소인 인물, 배경, 구성, 주제별로 각각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 질문을 문학수업에 실현하기 위해 문학텍스트에 적용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문학교육을 위한 질문의 특성을 밝힐 수 있었다. 첫째, 질문 유형에 관한 분류는 질문에 대한 답을 알아내기 위한 학습자의 사고과정에 따른 분류이다. 둘째, 질문은 정의적 영역과 인지적 영역의 한 영역에 속하는 질문도 있지만 대개는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셋째, 실제 수업에서 중요하게 제시되는 질문을 ‘핵심질문’으로 보았을 때 핵심질문의 답을 탐색하기 위한 사고과정을 돕는 ‘단계적 질문’이 필요하다. 단계적 질문은 능숙한 학습자는 학습자의 내적 사고를 통해 발생한다. 넷째, 능숙하지 않은, 혹은 낮은 학년의 학습자를 위해서는 ‘단계적 질문’을 먼저 학습자에게 제시한 뒤 ‘핵심질문’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섯째, 질문은 사고 단계의 낮은 수준에서 높은 수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섯째, 작품의 주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인물 중심의 질문이 바람직하다. 사건 중심 질문과 배경 중심 질문은 작품 속의 여러 요소와 구조를 파악하는 데는 효과적이다. 문학교육에 있어서 질문은 학습자의 사고활동 유발을 위해 인지적 질문과 정의적 질문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문학교육을 위해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돕는 질문 전략을 모색하고, 문학 수업에 있어 질문법을 통해 문학 능력을 향상 시키는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strategic question for literary education. In literary education, a question is an imporant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A question causes a thinking of students. In this study, question type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hinking steps of students. and classify according to important elements of story- literature. And applied to a literature text. In order to make clear the thinking system of students, classified a question to definition scopes of Krathwohl and the cognition scope of Bloom. And applied this question to a literary class. Through these processes we can define a characteristic of a question for literary education. The first, classification regarding a question type is classification regarding a thought of student to find out an answer of a question. The second, a question is one thing scope of definition scope and cognition scope, but appear mostly compositely. The third, a question that is presented momentously in classes needs 'step-by-step question' so that 'essential question ' searches for an answer of a key question. The fourth, it is effective for the students who are not skillful to make 'essential question' after making 'step-by-step question'. The fifth, it is desirable that a question is composed with high levels in low levels of a thought process. The sixth, a question of the person is desirable in order to know the subject. Structure understanding question and background understanding question is effective in knowing to an element of a text and structure. A question for literary education shall be composed for thought processes of student, and Cognition question and definition question shall be connected organically.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seek question strategy which helps thinking process of students and to level up literary ability through questions in a literary clas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문학교육을 위한 질문 전략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a strategic question for literary educatio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지은희-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i, Eun-Hee-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어문학계열-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