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1 0

김승옥 소설의 공간 연구

Title
김승옥 소설의 공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ace in Kim Seung-Ok's Novels
Author
김상미
Alternative Author(s)
Kim, Sang-Mi
Advisor(s)
이재복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김승옥은 1960년대를 대표하는 작가이다. 그 시기는 도시화와 근대화라는 변화 속에 독특한 성격의 공간을 형성해 낸다. 이 논문에서는 김승옥 소설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인 공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소설 안에서 중시되는 ‘문학적 공간’을 분석하여, 이 요소가 소설에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으며 시대적인 문제를 담아내는지에 주력하였다. 김승옥 소설에서의 ‘공간’은 단순한 배경으로서의 상징이라기보다 그 시대의 공기를 담고 있다. 주인공과 같이 호흡하면서 의식에 적극 참여하여 내면화된 형식적 특성을 가진다. 즉 반영론적 입장에서 소설 속의 공간과 사회 구성의 의미를 연결 지어 구성하는 것은 물론이고, 개인 내부의 의미를 창출하여 내면 공간을 만들어 간다. 결국 소설 속의 의미와 작가의 생각이 집약되어 주인공의 내면 공간 안에 파고든다. 그의 소설에서는 특히 인물의 내면을 보여주는 공간이 여러 소설 속에 같은 모습으로 나타나는 예가 많다. 인물의 내면세계와 추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공간 안에서 일어나는 개인의 내면 심리와 변화양상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주인공이 고민하는 특정한 문제나 사건들은 서사적 세계를 구성하고, 그 서사적 세계는 공간 안에 투영되어 필연적인 의미를 형성한다. 작가는 말하고 싶은 바를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인물이 처한 공간적 상황과 인물의 사고를 통해 간접적으로 반영한다. Ⅰ장에서는 연구목적과 연구사 검토를 통하여 의의를 밝히고,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김승옥 소설 안에 등장하는 일상적인 공간에서 주인공들이 자아를 발견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김승옥의 초기 소설 속 인물들은 부정적인 현실 인식을 가진다. 이런 부정적인 현실과의 갈등을 겪는 인물은 자기 세계의 탐구에 몰입하며 위악적인 태도를 드러낸다. 인물들은 근대화의 체험 속에서 일상성의 문제를 인식하며 일상으로부터 벗어나려고 환상과 환멸을 가슴에 품는다. 하지만 다시 일상으로 복귀할 수밖에 없는 현대인의 모습이 드러난다. 그 환상의 출발점에는 부정되고 억압된 자아가 존재한다. 또 인간 존재의 가치가 허망하게 물화되는 냉정한 현실 속에서 인간은 고독과 소외를 경험한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겨울의 서울 밤거리는 눈부신 경제 성장을 이루기 시작한 1960년대 사회의 또 다른 얼굴을 반영하는 축소판이다. 작품 전반에 근대화와 자본주의의 속성인 돈, 그리고 극단적인 개인주의에 침윤된 도시인들의 우울한 분위기를 그려낸다. 결국 이러한 현실 속에서 주인공은 환상을 경험하고 자신의 일상을 재인식하게 된다. 주인공은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어서 끊임없이 환상을 만들어가지만 물신화된 도시적 일상성에서 벗어날 수 없는 초라한 존재이다. Ⅲ장에서는 탈일상으로서의 공간에서 자아가 어떤 방식으로 자신을 확장시키는지가 전개된다. 김승옥의 소설에서 주인공들은 이상과 현실의 괴리감 속에서 고뇌하고 방황한다. 소설은 괴리감을 극복하지 못한 채 좌절해 가는 양상을 드러내거나, 그것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추구하는 행동을 보인다. 이로부터 내면적인 갈등이 시작된다. 이제 주인공들은 갈등을 풀어가기 위해 애쓴다. 그 중 하나가 과거로의 회귀이다. 김승옥 소설들은 가난한 과거와 어린 시절의 고통으로 아프게 빛난다. 회상은 단순한 모사가 아니라 또 하나의 구성이다. 현재를 지탱해주는 의미로서의 과거는 되찾은 시간이며, 형태와 고정감을 갖춘 순화된 공간이다. 이렇게 규범으로 순화된 과거는 현대를 살아가는 근대인에게 결정적인 확실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해준다. 김승옥 소설을 특징짓는 가장 두드러지는 요소는 서로 다른 가치를 저울질하는 경계 인식이다. 소설 속에서 서로 다른 문화적 가치는 끊임없이 협상되고 정체성은 계속적으로 의심된다. 그렇게 주인공들은 자기만의 내면 공간을 구축하려고 애쓰지만 표면적으로 경계되어 나타나는 두 세계 중 어느 것에도 손들어 줄 수 없다. 따라서 소설 속 주인공들은 내면공간을 만들고 경계 넘기에 힘쓴다. 이렇게 수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소설이 도달하는 지점은 환멸이다. 환상을 품고 이상적인 삶을 꿈꾸지만 결국 환멸을 경험하고 일상으로 돌아간다. 그의 소설에서 이상적인 삶의 형태와 현실의 모습은 큰 차이를 보인다. 현실의 모순을 가져오는 것은 자본의 논리에 지배당하고 있는 이중적 근대성과 도시성이다. 그렇기 때문에 방향성을 상실한 인간에게는 환멸만 남는다.; Kim Seung-ok is a famous writer who represents the age of 1960s. That period went through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characterizing unique 'space'. This thesis tries to analyze the literary space which stands out in his novels. The study of space focused on how the space reveals social problems of the specific period, 1960s. It also tries to analyze and explain recognition of space by characters in the text and to set a new path to understand Kim Seung-ok's nov디s. The space in Kim Seung-ok‘s novel symbolizes not just simple background but atmosphere of society. In addition, space is deeply related with the emotion of main characters and their lives in the novel. His other novels also include space which shows the inner suffering of characters. Virtual characters' problems and accidents in the novel construct the plot and the plot implicate significant meanings. What Kim Seung-ok want to say is indirectly reflected in his literary characters and space. Chapter Ⅰ brings up some problems about his literature based on antecedent and makes clear the purpose, range, and the method of study. Chapter Ⅱ looks at the way of novel's characters who deal with reality by building up their own world. Figures in Kim Seung-ok's early novels have negative attitudes toward lives. Characters experience Conflicts from their realities and absorb in looking for the breakthrough. His characters recognize problems from industrialization and try to escape from reality. There are overwhelmed egos, who finally fall into his imaginary world. Men experience solitude and isolation in the cold reality of society where human lost his value. Seoul in his novel mirrors rapid economic development of 1960s. Materialism and extreme individualism are sharply described. Tragically, the characters can not escape from reality despite their efforts. Chapter Ⅲ shows characters' efforts to growing up themselves despite limitation and frustration. However their effort only results in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One way to cope with the conflict is the return to the past. The past is filled with the poverty and childhood suffering. It is not just a simple description of what they were but it is co-related with what they are. After all. the undeniable truth that main characters confront is that his fantasy world can not be realized. There only exist men who are los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84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79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