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8 0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식생활 단원에 대한 교육 및 식생활 태도에 관한 연구

Title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식생활 단원에 대한 교육 및 식생활 태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Middle School's Nutritional Education of Technology-Home Economics and Students' Dietary Behavior
Author
강혜경
Alternative Author(s)
Kang, Hye-Kyung
Advisor(s)
박명자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과목의 식생활 단원 교육 및 학생들의 식생활 실태를 알아보고 학생들의 흥미도, 활용도, 학습요구도를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식생활 단원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정 식생활 단원 교육을 모두 마친 경기도 성남시와 고양시의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자료수집은 설문지 응답방식으로 하였으며 총 401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식생활 단원의 수업실태와 학생들의 식생활 태도를 조사하고, 둘째, 식생활 단원에 대한 흥미도, 활용도, 학습요구도를 조사한 후 흥미도에 따른 활용도와 학습요구도를 분석하고, 셋째, 식생활 단원의 활용정도와 학생들의 식생활 태도와의 관계를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단원의 수업 실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수업은 이론 중심으로 진행되는 편이였고 교사의 다양한 학습자료의 이용여부는 보통의 수준이였으며 수업시간에 학생들의 참여나 발표의 기회여부도 보통의 수준이였다. 실제 수업은 이론 중심으로 진행되는 편이지만 학생들은 수업을 이론중심이 아닌 실기위주로 배우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리 실습의 횟수를 늘렸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식생활 태도는 평균점수 3.17점으로 학생들의 평소 식생활 태도는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식생활 태도를 5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서 영역별 점수를 조사한 결과 ‘식사예절’, ‘식사의 규칙성’, ‘간식 및 다이어트’, ‘영양’, ‘식사준비’ 영역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식생활 단원의 흥미도는 평균 3.12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활용도는 평균점수가 3.27점으로 활용도가 높지 않았다. 활용도도 5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영역별 점수를 조사한 결과 ‘식사준비’, ‘식사의 규칙’, ‘식사예절’, ‘간식 및 다이어트’, ‘영양’ 영역의 순서로 점수가 높았다. 이 중 ‘영양’ 영역은 식생활 태도 점수, 활용도 점수 모두에서 하위 2번째 영역으로 학생들이 식생활 단원에서 배운 영양에 관한 지식을 잘 활용하지 못하고, 평소에도 식행동으로 실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 단원의 학습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요구도 수준이 높은 항목별 상위 10개 항목은 음식만들기(M=4.06), 질병에 따른 식이요법(M=3.70), 건강 음식에 관한 지식(M=3.62), 다양한 외국음식(M=3.56), 올바른 식품 선택 및 구매(M=3.44), 음식조리의 기초지식(M=3.42), 적절한 식습관과 식생활(M=3.28), 식품 위생 및 식중독(M=3.27), 올바른 식사예절(M=3.25), 손님의 초대와 행사(M=3.18)순으로 나타났다. 학습요구도를 5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서 영역별 높은 순위를 조사한 결과는 ‘건강식품과 음식’, ‘식사예절과 문화’, ‘식사계획과 조리’, ‘영양과 식습관’, ‘식품관련 산업과 환경’의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흥미도 고·저 집단에 따른 활용도와 학습요구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활용도를 알아본 결과, 흥미도가 높은 집단은 41.85%로 활용도 점수가 3.39점이고 흥미도가 낮은 집단은 58.15%로 활용도 점수가 3.09점으로 흥미도가 높은 집단이 식생활 단원에 대한 활용도가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t=-5.62, p<0.001) 학습요구도를 알아본 결과, 흥미도에 따라 학습요구도의 큰 차이를 보인 항목은 ‘영양의 중요성과 영양의 기능’, ‘적절한 식습관과 식생활 태도’, ‘건강 음식에 관한 지식’, ‘식품의 올바른 보관방법’, ‘음식조리의 기초지식’, ‘음식만들기’의 항목으로 모두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였다. 넷째, 활용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간의 식생활 태도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활용도가 높은 집단은 49.48%로 식생활 태도 점수가 3.38점, 낮은 집단은 5.52%로 식생활 태도 점수가 2.96점으로 활용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식생활 태도에서 유의한 차이로(t=-11.68, p<0.001) 좋은 습관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는 식생활 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잘 활용하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평소의 식생활 태도와 식행동도 우수하다는 것으로 학교의 식생활 단원 교육이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있는 결과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의 식생활 단원 교육은 이론위주로 진행되고 학생들은 실기 위주의 교육을 원하며, 식생활 단원에 대한 흥미도가 높은 학생집단의 활용도와 학습요구도가 높게 나타났고 식생활 단원의 활용정도에 따라 학생들의 식생활 태도가 차이가 있어 식생활 단원 교육이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보다 효과적인 식생활 단원 교육을 위해서 학생들의 요구와 교과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실기수업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한 흥미도에 따라 활용도와 학습요구도가 높아지므로 식생활 단원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교사는 다양한 학습자료를 활용하고 흥미로운 수업으로 교육효과를 높여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developmental plans and basic information for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In detail, this study were (1) to review students' dietary behavior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a lesson for food and nutrition uni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at middle school (2) to analyze students' interest, practical use and need of learning on general nutritional education and to clarify differences the practical use and the need of learning in relation to the interest (3) to clarify differences dietary behavior in relation to the practical u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on gener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recognition and need of a lesson for food and nutrition, factors related with dietary behaviors. The targete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1 the thir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Gyeonggi area.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SPSS program, a social, scientific and statistical processing program, and analyzed the data using the statistical methods of averages and percentage along with t-test. The result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1. The lessons for food and nutrition unit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at middle school are not focused on practice and based on students' participation or presentation. Even though the lessons are carried out in a theoretical way, most of students have the strong requirement of cooking practice. The average score of students' dietary behavior shows students have unsatisfactory eating behavior in their daily life. 2. The interest and practical use of lesson for food and nutrition unit show ordinary. According to students' learning need, several contents in food and nutrition unit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are selected such as cooking, dietary treatment, information of healthy food, various kinds of foreign food, right choice and purchase of food, basic knowledge of cooking, proper eating behavior, food poisoning, table manners, and invitation and treatment. The students who had high marks for the interest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f the practical use and need of learning. Therefore, the practical use and need of learning of students are positively influenced by their interest in the lesson for food and nutrition unit. 3. The students who had high marks for the practical use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e dietary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e application of the lesson for food and nutrition unit is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dietary behavior in their daily life. As a consequence, this research confirms that nutritional education of Technology-Home economics was suggeste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dietary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life. There was positively relation between the practical use and dietary behavior of students, which shows the nutritional education at school is practically effective. To enhance effectiveness of nutritional education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s and educational organs should make efforts to raise students' interest in the lesson for food and nutrition unit developing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media. In addition, more lessons based on practice and the content based on students' need should be arranged in a clas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83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51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VOCATIONAL EDUCATION(실업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