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7 0

1929년 조선박람회와 식민지 근대성

Title
1929년 조선박람회와 식민지 근대성
Other Titles
Chosun Exhibition(1929) and colonial modernity
Author
남기웅
Alternative Author(s)
Nam, Ki-Woong
Advisor(s)
박찬승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총독부가 시정 20년을 기념하여 1929년 9월 12일부터 10월 31일까지 50일간 경복궁에서 개최한 조선박람회를 1920년대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식민지 근대성’을 드러내 보이는데 있다. 일본은 조선박람회를 통해 대중들에게 ‘식산흥업’과 ‘문명개화’의 이념을 전파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일본은 그들의 식민통치로 인해 조선이 얼마나 발달했는가를 보여줌으로써 식민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조선박람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조선총독부는 식민지 규율권력을 강화하고 사회질서를 확립하는데 총력을 기울였다. 경찰은 해외 각 단체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이동경찰제를 실시하여 치밀한 경계망을 쳤다. 그리고 경비본부인 경기도 경찰부는 4백여 명의 경관을 확충하여 경찰력을 강화하였고, 경성에서 대대적인 예비검속을 수시로 실시하여 물 샐 틈 없는 경계를 펼쳐나가게 된다. 일본은 이를 통해 식민통치에 대한 저항의 움직임을 철저히 차단하였다. 뿐만 아니라 일본은 경성을 중심으로 토막민을 철거하고 걸인과 부랑자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에 들어감으로써 박람회가 과시해야할 조선의 근대성에 배치되는 요소들을 제거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방역사업을 실시하고 위생행정을 강화하는 모습에도 드러났다. 부랑성과 비위생성을 보이는 조선인들은 범죄자로 취급되고 그들을 그렇게 만든 경제구조는 은폐되면서 경성은 근대적 도시로 만들어졌던 것이다. 이렇듯 일본은 조선박람회를 통해 근대적 성과를 과시하며 식민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장으로 만들고자 했지만, 결국 식민통치의 취약성만을 드러낼 뿐이었다. 한편 조선총독부는 조선박람회에 관람객을 동원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우선 경성전기회사와 경성부는 경성시내 전차와 버스를 확충하고 박람회에 맞추어 노선을 개설하였다. 그리고 철도국에서는 지방과 경성간의 운송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임시열차를 증발하고 객차확보에 전력을 기울였다. 뿐만 아니라 수송당국은 단체 관람객에게 할인을 해줌으로써 관람객을 유인하였다. 본격적인 선전활동은 경성협찬회에서 담당하였다. 그런데 그들이 전개한 ‘선전 데이’나 마네킹 선전 등을 우두커니 바라보는 조선인들의 모습은 조선박람회에서 소외된 조선인들의 실상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한재와 빈곤에 허덕이던 지방에서의 관람객 동원은 조직적이고 강제적인 성격이 강하였다. 박람회 전시관은 일본의 식민통치 논리가 그대로 투사되어 있었다. 일본은 각 전시관에서 각종 통계숫자를 들어가며 조선의 발전상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했는데, 특히 산미증식계획과 맞물려 ‘米의 관’은 파노라마 전시와 전기조명장치 등이 동원되어 화려하게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렇게 조선박람회에서 보여진 조선의 근대성은 단지 일본에 의해 연출된 것에 불과하였다. 조선인들의 대부분은 일본 식민통치의 근대적 혜택으로 부터 소외되어 있었던 것이다. 박람회를 구경하기 위해 경성에 올라온 시골사람들이 자동차와 전차 소리에 놀라 허겁지겁하는 모습은 이러한 괴리를 잘 보여준다. 그들은 대부분 전시물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했으며 단지 연예관이나 ‘아동의 나라’의 유흥시설만을 즐길 뿐이었다. 종로를 중심으로 한 경성의 조선 상인들은 조선박람회를 조선 상계의 번영을 이룰 큰 기회로 생각하였다. 그들은 빚을 내어가며 물건을 확보하였고, 경품을 걸어 지방손님을 끌어들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근대적 소비문화의 정점에 있던 백화점과 유흥업소만이 호황을 누렸을 뿐, 조선인 상인들은 파산자가 속출하여 경제적 위기를 맞게 되었다. 이러한 사정은 여관을 신설하고 박람회장 안에 매점을 내어 큰돈을 벌어보려 했던 조선인들도 마찬가지였다. 식민지 경제구조의 이중성이 조선박람회를 통해 드러난 것이다. 한편 계속되는 한재와 기근으로 경성을 비롯한 대도시에는 수많은 이재민들이 몰려들고 있었다. 특히 조선박람회로 인한 호경기를 바라보고 경성으로 올라온 실직자들이 많았는데, 그들은 박람회 기간 동안 일시적인 취업은 할 수 있었으나 박람회 폐회 이후로는 또다시 실직자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실직자들을 양산한 농촌의 경제현실 또한 심각한 상황이었는데, 조선박람회를 구경하기 위해 상경한 60여만 명의 지방농민의 대부분이 여비 마련을 위해 금융조합으로부터 빚을 지게 되어 그렇지 않아도 힘든 생활에 더 큰 부담을 지게 되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지방 상계도 손님을 서울로 빼앗기면서 큰 타격을 받게 되었다. 일본은 ‘과격단체’들의 활동을 차단하고 백만 명 이상의 관람객을 유치했다는 점에서 조선박람회를 성공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조선박람회를 기회로 조선의 식산흥업과 문명개화를 꾀하고 식민통치의 정당성을 과시하고자 했던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는 실패했다. 단지 일본은 조선박람회를 통해 ‘식민지 규율권력의 강화’와 ‘식민지 경제구조의 이중성’이라는 ‘식민지 근대성’만을 드러낼 뿐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in showing the colonial modernity through analysing the Chosun Exhibition(朝鮮博覽會), which was held during fifty days from 1929.9.12 to 10.31, in the circumstance of 1920's age. Japan intended to spread the ideology of the promotion of industry and the blossom of the civilization through the Chosun Exhibition. And then Japan intended to take the justification of the colony governance by how the Chosun had developed by the colony governance. The Chosun colonial government(朝鮮總督府) tried the most to strengthen the authority of the discipline, and build the social order. The police strengthened the watch over the oversea organization and a made a watch net operating moving police system. Morever, Japan removed the factors contrary to the Chosun modernity which had to be displayed, by demolishing dugout hut people and plunging in controlling the beggar. That figure also appeared in the strength of disinfection and the sanitation. Chosun people vagrant, unhealthy was treated like the criminal and Kyung-Seong(京城) was made modern city that the economic structure was hided. Besides, the Chosun colonial government endeavored as much as it can to mobilize the visitors, but they were just organized and forced. The exhibition was projected the intention of the Japan colonial governance. Japan tried to show the development of the chosun by giving the statistics. However, the Chosun modernity, which appeared in the Chosun Exhibition, was just display by Japan. The most of Chosun people were alienated from the modern benefit of the colonial governance. The chosun merchant, mainly from Chongno(鐘路), regarded the Chosun Exhibition as a chance to make the Chosun business area thrive. However it was the only the department and the entertainment business, which stood in the culprit of the modern spending culture, that were benifited from the Chosun Exhibition. The many of the Chosun merchant bankrupted and faced the economic crisis. In other aspect, the many of the unemployed gathered in Kyung-Seong to expect to get the job in the boom which might had been the Chosun Exhibition. However that kind of job was just temporary. they had to back to the unemployed and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rural areas, which caused the great unmemployment, was also serious. So that the most of six hundred thousand local farmers, who came to Kyung-Seong to view the Chosun Exhibition , had to take more debt from the financial corporation because of the travele cost. It added more burden to their life. Japan evaluated the Chosun Exhibition successfully in the point of barring the radical organization and inducing more than one million people. However Japan failed to attain the original purpose aimed to show the justification of the colonial gvernance and to cause the blossom of the civilization. Japan just revealed the colonial modernity of the economic structural duality and the strengthness of the colonial discipline authority by the Chosun Exhibi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82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25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OCIAL SCIENCE(사회과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