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7 0

어머니 정서 표현성 및 정서 수용태도가 유아의 성격특성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머니 정서 표현성 및 정서 수용태도가 유아의 성격특성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receptive attitudes towards the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child's personality and the child playfulness
Author
정은주
Alternative Author(s)
Jung, Eun-Joo
Advisor(s)
이현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및 정서 수용태도가 유아 성격특성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정서수용태도 는 차이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정서수용태도는 유아의 성격특성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가? 3.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정서수용태도는 유아의 놀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4. 유아의 성격특성과 놀이성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특별시 위치한 유치원 5곳에 재원 중인 6세, 7세 원아와 그의 어머니 287쌍의 4개의 연구도구(어머니 정서표현성, 정서수용태도 자기표현 질문지, 유아성격특성 1:1면접질문지, 교사 체크용 유아 놀이성 체크리스트)의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Cronbach's α와, 변인간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의 차이는 어머니의 연령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정서를 많이 표현하며,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정서표현(긍정적 정서, 부정적인 정서)을 적극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수용태도의 차이에서 어머니의 연령이 높을수록 유아 혐오감에 대해 엄격한 수용을 하며, 학력이 높고, 취업을 한 어머니 일수록 유아 행복에 대해 허용적인 수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성격특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가 부정적 정서표현을 많이 할수록 유아의 성격특성 중 정서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정서 수용태도가 유아의 성격특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녀 불안정서에 대해 어머니가 애정적인 수용을 할수록 유아의 학문성과 정서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 두려움에 대해 어머니가 허용적인 수용을 할수록 가족성이 높아지며, 유아 혐오감에 대해서는 어머니가 엄격, 통제적으로 수용할수록 유아 사회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표현이 많을수록 유아 놀이성 중 즐거움표현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어머니 정서 수용태도가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 불안에 대해 어머니가 애정적인 수용을 할수록 사회적 자발성과 즐거움표현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두려움에 대해서는 어머니가 엄격하게 수용할수록 신체적 자발성이 높아지며, 유아 혐오감에 대해 어머니가 엄격, 통제적으로 수용할수록 유아 놀이성 전체 하위변인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유아의 성격특성과 유아 놀이성의 상관관계에서, 유아의 성격특성 중 학문성과 사회성이 높을수록 유아의 놀이성의 모든 하위 영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 성격특성 중 정서성이 높을수록 즐거움 표현과 유머감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아의 바람직한 성격특성과 놀이성 발달을 위하여, 어머니는 긍정적인 정서표현을 많이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유아 혐오감, 불안 그리고 두려움에 대한 어머니 정서수용태도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유아의 정서표현과 상황에 따라 때로는 애정적인 태도로, 때로는 엄격한 태도를 취해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receptive attitudes towards the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child's personality and the child playfulnes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framed with the purpose. 1. Is there a difference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receptive attitudes towards the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depending on mother's population sociological factors? 2. How do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receptive attitudes towards the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ffect the personality of the child? 3. How do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receptive attitudes towards the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ffect the child's playfulness? 4.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personality and playfulness? There were 287 participants of a child and his or her mother paired up who were selected in five kindergartens in Seoul City. The ages of children were six and seven. Four instruments for study- self-questionnaires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receptive attitudes towards the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questionnaire of 1:1 personal interview with a child, and teacher's checklist for a child's playfulness) were analyzed. SPSS program were applied to the collection of data for measuring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deviation, Cronbach's α. Pearson's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for finding the influence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on the subj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ccording to mother's population sociological factors, older mothers expressed more positive emotion than younger mothers, and highly educated mothers expressed more active expression of emotions (positive and negative). Secondly, on the subject of mother's receptive attitudes according to mother's population sociological factors, older mothers showed stricter acceptance of the child's abomination. Highly educated and working mothers showed more permissive acceptance of the child's happiness. Thirdly, on the subj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effect on the child's personality, emotional personality became lower as mothers expressed negative emotions. Fourthly, on the subject of mother's emotion receptive attitude's effect on the child's personality, the more affectionate acceptance mothers showed, the higher academic personality and emotional personality were appeared. The higher family personality was appeared as mothers showed more permissive acceptance of child's fear. The social personality of the child was higher when mothers accepted child's abomination in more controlled and stricter way. Fifthly, on the subj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effect on the child's playfulness, expression of happiness among child's playfulness traits was higher as the mother's emotion was expressed more. Sixthly, on the subject of mother's receptive attitudes' effect on the child's playfulness, the social spontaneity and the expression of happiness was higher as the mother showed more affectionate acceptance. The physical spontaneity was higher as mother showed stricter acceptance towards the child's fear, and every subcategories of child's playfulness was higher as the mother accepted the child's abomination in more controlled and stricter way. Seventhly, on the subject of corelation between child's personality and the child's playfulness, every subcategories of child's playfulness was higher as academic personality and social personality among other personalities were higher. The expression of happiness and the sense of humor were higher as emotional personality was higher. Thinking collectively, mothers should not only positive emotion for the child's development of personality and playfulness, but they should show both affectionate and strict attitudes depending on the child's emotion expression and the context, considering the mother's receptive attitudes towards child's abomination and fear.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81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19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