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5 0

생태 유아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및 자연물을 이용한 생태 유아 프로그램

Title
생태 유아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및 자연물을 이용한 생태 유아 프로그램
Other Titles
A Study on Parents' Perception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n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Using the National Objects
Author
정영님
Alternative Author(s)
Jung, Young-Lim
Advisor(s)
이현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의 일환으로 생태 지향적 유아교육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생태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생태유치원 학부모와 일반유치원의 학부모의 인식과 생태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어느 정도인지를 살펴보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생태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제로 적용시켰을 때 유아의 탐구능력이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일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유치원 유아와 생태유치원 유아의 탐구사고 능력을 비교하여 제시해보았다. 본 연구는 학부모들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구리시 위치한 Y원의 학부모 대상으로 196부 중 163부를 수거하였고, 서울시 상계동에 위치한 H원의 학부모 대상으로는 150부 배포 중 124부를 수거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유아들의 탐구능력에 대한 부분은 대상을 구리시 Y원 만 5세와 서울시 송파동 B원의 만 5세를 대상으로 탐구분야 중 6가지 부분을 검사하여 자연물을 이용한 생태 프로그램의 실천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각의 빈도와 비율(%)과 교차분석 및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 유아교육에 관한 학부모들의 인식 측면에서는, 유아교육을 생태유아교육으로 방향을 전환을 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양쪽 원 다 평균 4점이 넘게 높게 나타났다. 생태유아교육 정보습득으로는 주로 유아교육기관 방문과 대중매체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태 유아교육의 실시시기는 유아기부터 실시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았다.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운영방향에 관한 인식과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인식은 상당히 효과가 있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일반원의 학부모들에게 생태 유아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할 경우 학부모의 반응은 긍정적인 측면에서 높은 반응을 보였다. 둘째, 생태 유아교육 실천을 위한 선결요건 및 적용시의 문제점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부분이다. 생태 유아교육 실천을 위한 선결요건으로 생태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을 들었으며, 유아교육기관의 주변 환경 개선과 자녀가 다니고 있는 원에서 생태유아교육을 반영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인식 수준이 낮은 측면을 보였다. 생태 유아교육 프로그램 현장 적용 시 예상문제점으로는 생태교육에 대한 관심과 정보 부족 등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들의 탐구 사고 부분에 관한 결과에서는 일반원의 유아들보다 생태원의 유아들이 관찰, 예상, 생물부분에서 더 나은 측면을 보여 주었다. 이는 자연과 자연물을 접하는 유아들이 자연 안에서 탐색하고, 자연물의 성장과 변화 과정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여 진다. 넷째, 생태 지향적 유아교육의 실천을 위한 자연물을 이용한 프로그램의 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 평가 등에 관한 것이다. 자연물을 이용한 프로그램 목적은 유아가 자연 생태계 안에서 생명적 가치를 느끼고, 다른 생물과의 유기적 관계, 순환성, 상호의존성, 다양성을 함양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자연물을 이용한 프로그램을 통해 자연과의 상호관계를 경험하고 생태적 감수성을 기르는 데 목표를 둔다. 교육내용은 생태 유아프로그램 내용을 기초로 연간계획안, 주간교육계획안, 일일교육계획안을 예제로 제시하였다. 교육방법으로는 상호작용 접근법에 근거하여 경험과 놀기의 단계, 토의와 표현단계를 제시하였다. 평가 부분에서는 일화 기록법, 포트폴리오 등을 통하여 과정평가와 상호주관적 평가를 바탕으로 한다. 경험부분에서는 탐구활동, 자연물을 이용한 창의활동, 미술에서 표상활동 등을 통하여 자연물을 이용한 프로그램이 실내외 공간의 통합과 영역간의 통합을 이루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유아를 기르고 있는 부모들은 주변 환경여건 부족과 생태교육의 정보부족으로 인해 자연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으나 자녀의 교육에서 특별히 생태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인식은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적극적인 생태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홍보, 구체적인 생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학교 및 사회생활 연계된 교육과정의 개발,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부모교육이 요구된다.; Now when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being highlighted as a paradigm shif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of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between parents with their children attending ordinary kindergartens and those with their children attending eco-centered kindergartens, and thereupon, compare two group children's ability of exploratory thinking to test the effects of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First of all, in order to survey parents for their perception of and demands for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earcher sampled 196 parents with their children attending an eco-centered kindergarten in Guri city and 150 parents with their children attending an ordinary kindergarten at Sanggyue-dong, Seoul. 163 parents of the former group and 124 ones of the latter group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mpare kindergarten children's ability of exploratory thinking, the researcher sampled the 5-year-old children from the above kindergarten in Guri city and another ordinary kindergarten in Songpa district, Seoul and then, tested their ability of exploratory thinking in 6 areas and thereby, tested the effects of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using the natural object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processed for frequencies, percentages, cross tabulation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parents groups scored 4 point on average on the scale for parents' perception of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Namely, parents felt much th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redirected towards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parents were found to rely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and mass media for information about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le they felt that their children should be subject to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y perceived that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would be considerably effective. And those parents with their children attending the ordinary kindergarten were most positive towards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parents' perception of the requirements for implementation of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ts potential problems, it was found that many parents suggested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programs as requirements for the eco-centered education, while few parents emphasized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kindergartens or reprogramming of existing kindergartens in favor of eco-centered education. The most frequently addressed problem of the program was lack of concern and information about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rd, as a consequence of testing younger children's ability of exploratory thinking, it was disclosed that the test group children attending the eco-centered kindergarten were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ones in terms of observation, anticipation and biology. Such a finding suggests that the test group children exposed to nature and its objects more wer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explore the nature, being affected more by growth and changes of the natural objects. Fourth, the researcher analyzed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in terms of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test. First of all, the objective of the program is to help children feel a value of life within the natural eco system and thereby, understand the organic relationship among lifes as well as the cycle, mutual dependency and diversity of natural lifes. Specifically, the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help children experience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and nature and develop their sense of the eco system. Thus, the researcher suggested a model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with weekly and daily learning schedules.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s, the researcher relied on the mutual approach theory to design the program by stage: experience, play, discussion and expression. Then, children's performances need to be tested with anecdote recording or portfolio technique for their learning process and mutually subjective rating. In terms of experiences, the researcher observed children's creative activities using the natural objects and their drawing activities and thus, confirmed that the program using the natural objects was designed to integrate indoor and outdoor spaces as well as relevant learning area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parents were aware of importance of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but that due to lack of its information, they were less conscious of the needs for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Hence, in order to activate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ollowing reform measures were deemed required: positive PR for the eco-centered education,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education programs,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associated with children's school and social life, education of parents on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lik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80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07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