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6 0

권장행동과 금지행동에 대한 아동의 가치판단과 칭찬ㆍ처벌의 효과

Title
권장행동과 금지행동에 대한 아동의 가치판단과 칭찬ㆍ처벌의 효과
Other Titles
Children's Value Judgment and Praise and Punishment Effects on Prescriptive and Proscriptive behaviors
Author
전혜경
Alternative Author(s)
Chon, Hye-Kyung
Advisor(s)
장성수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도덕적 행동인 권장행동과 금지행동에 대해 아동의 가치판단이 도덕적 행동의 실천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부모로부터 경험하는 칭찬과 처벌이 도덕적 행동의 실천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가치판단 및 칭찬과 처벌은 도덕적 행동을 하고 난 후의 정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 3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 · 여 학생 모두 권장행동이 가치있는 행동이라고 판단하는 아동은 권장행동을 더 많이 하고, 권장행동을 하고 난 후의 정서도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금지행동의 경우 남학생은 금지행동에 대해 나쁘다고 판단하는 것이 실제 행동과는 상관이 없었지만 금지행동을 한 후에는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학생은 금지행동에 대해 나쁘다고 판단할수록 금지행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금지행동을 한 후에는 부정적 정서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치판단은 그 행동이 권장행동인지 금지행동인지에 따라, 남· 여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칭찬을 많이 받은 남학생은 권장행동을 더 많이 하고 권장행동을 하고 난 후의 정서도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칭찬을 많이 받은 여학생은 권장행동을 한 후에 더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였다. 그러나 처벌을 많이 받은 남학생은 오히려 금지행동을 더 하는 경향성을 보였고, 금지행동을 하고 난 후에는 부정적 정서를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은 처벌을 받을수록 금지행동후에 부정적 정서를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권장행동의 빈도와 정서에 미치는 권장행동에 대한 가치판단과 칭찬경험의 영향력을 회귀분석한 결과, 두 변인 모두 권장행동의 빈도와 정서에 대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지행동 빈도와 정서에 미치는 금지행동에 대한 가치판단과 처벌의 영향을 회귀분석한 결과, 두 변인 모두 금지행동 빈도와 정서에 대해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도덕적 행동을 하는데 있어 인지발달론적 입장에서 본 가치판단이 도덕적 행동을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성 발달에 있어 정의적인 면, 행동적인 면이 서로 상호작용한다고 하지만 인지발달이 기초가 되지 않고서는 도덕성의 발달이 행위로까지 이어지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칭찬이나 처벌경험을 조사한 결과 칭찬은 권장행동을 많이 하도록 하는 요인이 되지만 처벌의 경우는 상황에 따라, 대상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여야 한다는 행동수정의 원리가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벌 보다는 칭찬을 통해 권장행동을 더 많이 하도록 하는 것이 금지행동 빈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아이들을 가르치는 사람이라면 알고 있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권장행동, 금지행동, 칭찬과 처벌, 도덕적 정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value judgment of children on moral behaviors, or prescriptive & proscriptive behaviors, and the practice of moral behaviors, and to the relation of the praise and punishment by parents with the practice of moral behaviors. Also, the effects of the value judgment and experiences of praise and punishment on the emotions after the children did moral behaviors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7 fifth graders, and they were required to answer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male and female children who judged prescriptive behaviors to be valuable did more prescriptive behaviors and showed more positive emotion after doing prescriptive behaviors. However, the male children failed to have a connection between judging proscriptive behaviors to be bad and doing some moral behaviors in practice, and they experienced negative emotion after doing proscriptive behaviors. Meanwhile, the female children did less proscriptive behaviors when they judged proscriptive behaviors to be bad, and had negative emotion after doing proscriptive behaviors. The effects of value judgment were different for males and females, based on whether an behavior was prescriptive or proscriptive. Second, the male children who had a lot of praise did prescriptive behaviors more and had more positive emotion after doing prescriptive behaviors, and the females experienced more positive emotion after doing prescriptive behaviors. However, the males who had a lot of pun ishment tended to do proscriptive behaviors even more and felt negative emotion after doing proscriptive behaviors. The more the females had punishment, the more they showed negative emotion after doing proscriptive behavior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value judgment and praise experience on prescriptive behaviors on the frequency and emotion of prescriptive behaviors, both variables were proven to be used as an explanation for the frequency of prescriptive behaviors and emo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value judgment and the punishment experience on proscriptive behaviors on the frequency and emotion of proscriptive behaviors showed that both variables were proven to be used as an explanation for the frequency of proscriptive behaviors and emotio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imilar to those of a preliminary study in which the value judgment from cognitive developmental viewpoint is related to doing moral behaviors. It is said that affective aspect and behavioral aspect are co-related in the development of morality, but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morality was hard to be led to practical behaviors without cognitive development as its base. The results of finding out praise &punishment experiences showed that praise served as a factor to motivate prescriptive behaviors. However, as for punishment, the principle of behavior modification in which punishment should be properly used according to situations and subjects was applied. Those who teach children should know that motivating prescriptive behaviors by praise rather than punishment is able to be a means to reduce the frequency of proscriptive behaviors. Keywords: prescriptive behaviors, proscriptive behaviors, praise and punishment, moral emo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79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76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