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6 0

K은행 팀제 운영실패에 관한 실증적 연구

Title
K은행 팀제 운영실패에 관한 실증적 연구
Author
김경선
Alternative Author(s)
Kim, Kyung-Sun
Advisor(s)
정기수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많은 조직들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조직혁신 방법을 시도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현실적으로 많이 채택되고 있는 것이 팀제이다. 팀제는 본래의 취지에 맞게 조건을 구축하고, 제대로 운영되면 많은 효과를 가져다 준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많은 조직들이 팀제의 기본적인 운영조건에 대한 이해와 이를 확립하려는 의지가 없이 시행함으로써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선행 연구를 통해 팀제의 효과성 기준과 효과적 팀제를 위한 운영조건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팀제 운영에 실패한 조직의 사례를 통해 팀제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보완사항을 검토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본 연구대상 기관은 팀제의 효과성 기준 중 고객 기준이 충족되지 못했다. 특히 업무의 혁신적 프로세스 구축을 나타내는 전략의 적합성 부분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효과적 팀제 운영을 위한 다섯 가지 조건 중 지원 시스템 조건이 제대로 구축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고, 생동하는 구조와 전문적 코칭 리더십 조건은 보통 수준의 구축 정도로 보완이 필요한 세부 사항들이 발견되었다. 셋째, 팀제의 효과성과 효과적 팀제를 위한 운영조건의 평가에 대한 직급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충족되지 못한 팀제의 효과성 고객기준과 생동하는 구조, 지원 시스템, 전문적 코칭 리더십 조건 사이의 유의미한 정(正)의 상관관계를 확인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팀제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검토사항을 정리했다. 생동하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팀의 역할 및 과제의 명확화, 팀 과제 및 권한 부여, 팀 학습을 위한 피드백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원시스템 조건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팀 단위의 보상체계 확립, 사용자 요구에 맞는 정보시스템 구축, 연수기회 확충, 원활한 물적자원 지원체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문적 코칭리더십 조건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코칭 기회의 확대, 지원적 코칭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se days, adapting themselves to business environment changing perpetually, many organizations attempt various organization reform processes among which a team system is frequently adopted in actuality. The Team system brings a lot effect if it is constructed to original purposes and managed as it is. However, many organizations do not obtain its effect because they operate the team system without understanding its fundamental management conditions and volition of establishing them. Hereupon this research arranged effectiveness criteria of the team system and the management conditions for the effective team system by leading studies. Also, this research sought the condition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eam system with a case that an organization had failed to manage the team system and confirmed following results by research purposes of examining complementary facts. First, the target organization of this research did not satisfy a customer criterion among the effectiveness criteria of the team system. In particular, it is found out that the suitability of a strategy, shows the construction of an innovative process of one’s work, wielded negative influence. Second, it is discovered that a supportive system condition among the five conditions for effective team system management was established properly and complementary facts were necessary to the degree of the normal level for building an enabling structure and an expert coaching leadership condition. Final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 of the team system not being met with the conditions, it is confirm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correlation of the effectiveness customer criterion, an enabling structure, a supportive system and an expert coaching leadership. This research arranges facts to be considered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eam system with synthesizing these analytic results. The role of a team, the clarity of a work, an endowment of a team’s work and the feedback for a team learning are necessary to construct an enabling structure. Furthermore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ensation system per team, the construction of the information system on a user’s demand, the expansion of the in-service training system and the harmonious supportive system of material resources are necessary to reinforce the supportive system condition. Lastly, the expansion of coaching opportunities and the provision of supportive coaching are required to enhance the expert coaching leadership condi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79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43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