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0 0

서울지역에 발생된 안개현상과 대기오염 상관성 연구(2000-­2004)

Title
서울지역에 발생된 안개현상과 대기오염 상관성 연구(2000-­2004)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g and Air Pollution in the Seoul Area(2000-2004)
Author
조진호
Alternative Author(s)
Cho, Jin-Ho
Advisor(s)
김윤신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00~2004년 서울지역에 발생된 안개현상과 대기오염농도와의 상관성을 고찰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기상자료는 기상청의 매시간 기상관측자료와 안개 및 박무의 목측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대기오염자료는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의 매시간 대기오염측정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5년간 서울지역의 평균 안개발생일수는 11일로 나타났으며 안개발생 추이는 y=-X + 13.8의 감소추세를 나타냈다. 둘째, 서울지역 안개발생일수의 감소와 더불어 안개계속시간도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5년간 서울지역 안개계속시간 평균값은 37.64시간으로 평년값과 비교할 때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셋째, 대기오염물질 CO, SO₂는 대부분의 오염배출원 자체가 난방연료 및 수송수단의 연료로 많이 사용되는 것과 관련하여 밤과 출퇴근 시간을 전후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NO₂와 O₃의 경우 서로 상반되는 양상을 나타냈으며, O₃의 경우 태양의 활동이 활발한 낮시간에 증가폭이 컸으며, NO₂의 양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다섯째, PM-10의 경우 맑은 날 보다는 안개 및 박무현상이 있을 때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안개발생시 오염물질과 기상조건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1차 오염물질인 CO, PM-10, SO₂와는 50% 이상의 상관성이 나타났으며, 2차 오염물질인 O₃와 NO₂, 그리고 기온, 습도, 풍향, 풍속의 기상요소와는 거의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안개발생 요인 분석 결과 1차적으로 PM-10과 SO₂이 주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2차적으로는 풍속과 O₃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 서울지역의 대기오염 농도는 안개발생시에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고 대기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경향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og and air polluton in the Seoul area during 2000-2004. The used data were hourly observed meteorological data of fog and mist records provided KMA(Korea Meteorological Agency) and hourly measured air pollution data provided by of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number of foggy days in Seoul area during the study periods is 11 days and seems to be gradually decreased with the tendency of Y=-X + 13.8. Second, the continuing hours of fog seems to be also decreased in recent years, 91.1 hours averaged from 1971 to 2000, whereas the mean hours during 5 years are 37.6 hours. Third, the mean concentration of CO and SO₂ seems to be high during night and commute time due to emission of vehicles. Fourth, mean concentrations of O₃ seems to be increased at day time due to the strong effect of sun, while that of NO₂ shows to be decreased. Fifth, mean concentration of PM-10 seems to be high during foggy and mist days. Sixth, the results of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pollution in foggy days shows high correlation with CO, PM-10, SO₂, respectively, while there is little correlation with O₃ and NO₂. Finally, the fog seems to be maily related to PM-10 and SO₂, followed by wind direction and O₃. In conclusion, the density of some air pollutant levels may be related to formation of fog, however, it need further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fog and air pollution and meteorological factor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79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08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ENVIRONMENTAL ENGINEERING(환경공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