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5 0

진료과별 특성을 고려한 국내 종합병원 외래진료부 대기공간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Title
진료과별 특성을 고려한 국내 종합병원 외래진료부 대기공간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s of the Waiting Rooms for the Outpatients' Departments of General Hospitals in Korea in Consideration of Department-wise Functions
Author
김담희
Alternative Author(s)
Kim, Dam-Hee
Advisor(s)
양내원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병원건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양상은 전문화, 정보화, 특수화, 차별화 현상이다. 늘어나는 전문의 개원 증가와 한.미 FTA로 개방될 의료시장에 대한 불안감, 과거 단순히 질병 치료를 위해 방문했던 환자들의 소득 증대와 건강에 대한 관심도 증대, 다양화 된 환자의 요구, 인터넷의 확산보급으로 최첨단장비와 최첨단 의료시술, 쾌적한 병원에 대한 정보제공의 기회가 높아져 이제는 환자 스스로 자신의 성향에 맞는 병원을 골라 찾아가는 ‘의료쇼핑시대’ 가 도래 하였다. 단순히 질병치료를 위해 방문하던 소극적 의미의 ‘환자’ 개념이 아닌, 건강을 유지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적극적 의미의 ‘고객’ 인 것이다. 70-80년대 양적 발전으로 급성장 했던 병원은 이제 양적 의료서비스에서 질적 의료서비스로 확대되고 있으며, 의료산업에 있어서 최근 경향도 환자가 아닌 고객으로서의 패러다임 전환과 환자 중심적 의료환경 서비스의 제공에 초점을 맞추어 병원 증.개축과 리모델링을 통해 병원 이미지 개선 및 보다 쾌적하고 고급화된 의료환경 개선에 주력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종합병원 대기공간에 관련되어 선행 연구된 논문과 500병상 규모이상 종합병원 2곳을 선정하여 외래진료부의 내과와 외과, 산부인과의 각 진료과별 특성과 대기방식에 따른 대기자 이용형태 등을 비교.분석하여 진료과별 특성을 고려한 종합병원 외래진료부 대기공간의 유형을 제시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 및 범위는 서울시에 위치한 서로 다른 대기형태를 가진 500병상 규모이상 종합병원 2개소를 선정하여 외래진료부의 대기공간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외래환자 이용율이 비교적 높은 내과 중 소화기내과와 내분비내과, 외과, 산부인과 진료과별 사례조사와 평면도에 의한 유형분석 및 대기공간 구성 특성을 파악하여 비교.분석하고 진료과별 대기공간 이용자 만족도 조사와 이용자 형태유형별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기공간 대기배치 형태유형에 대한 분석 결과, 복도형 대기배치유형에서는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며, 홀형-병렬형 대기배치 유형에서 비교적 높은 대기이용 만족도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오픈된 공간의 복도형 대기시 통과교통의 흐름이 많고, 특히 긴 복도를 따라 배치되었을 경우 환자의 동선이 길어지며, 질병에 대한 두려움과 타인에게 알리고 싶어하지 않는 환자의 심리적 안정감 및 개인의 프라이버시 존중 및 독립된 영역성의 확보가 진료영역별로 폐쇄된 홀형의 대기공간에 비해 불리하다. 둘째, 내과의 경우 여러개의 내과에 관련된 분과들을 통합하여 대기공간을 구획함에 있어 대단위의 홀형 대기공간이 구성되는데 심리직, 지각적으로 독립적인 영역확보를 위한 공간 계획 고려와 외래환자의 이용률이 높은 진료과와 낮은 진료과의 인접배치로 대기공간의 혼용 사용시 대기공간의 대기밀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내분비내과의 경우 진료와 검사실을 왕래하는 데에 걸리는 대기시간 동안 환자를 비롯한 동반가족의 휴게공간의 확보와 외부와의 시선차단 계획에 대한 고려를 하여야 한다. 셋째, 외과의 경우 내과에 비해 외래 내원환자 수가 점점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적정규모의 공간계획을 하여야 할 것이며, 휠체어나 목발 대기 환자에 대한 의자 배려 및 목발거치대의 설치와 휠체어나 목발 환자와 동반가족의 통행과 동선에 대한 계획도 고려하여야 한다. 넷째, 산부인과의 계획시 동반가족의 비율이 많은 진료과 이면서, 여성 특정질병치료 및 진단을 위한 공간이므로 심리적, 정서적 안정감과 독립성이 주어진 공간에 배치계획을 하여야 하며, 독립된 진료와 대기를 위해 복도형의 계획은 적합하지 않으며 독립된 개별 진료공간 계획이 필요하다. 동반가족의 경우, 남편을 비롯한 가족구성원이 다양하고 많은 동반가족(1명-4명등)을 동행하므로 타진료과보다 대기좌석수의 배치계획에 많은 배려를 해야 한다. 다섯째, 기둥 및 대기공간의 다양한 벽면 형태등 건축 구조적 요소를 적극적 인 건축 계획 구성요소 활용이 필요하다. 홀형-병렬형 배치유형에서 대기좌석 좌.우측 끝 공간에 기둥을 접하고 있을때 대기좌석 이용시 환자의 안정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휴식 및 수면, 독서 등 다양한 대기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다양한 벽면을 따라 배치된 대기공간 배치는 CH병원의 산부인과 대기공간 이용자 관찰시 사선방향 벽면의 대기좌석과 환자, 동반가족간의 정보교환 및 적극적인 대화의 시도로 대기공간 이용시 지루함을 느끼지 않으며, 이용자 대기시 편안한 심리상태를 유지 하도록 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대기공간 거주후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설문조사시 외부와의 시선차단(시각적 차단)의 요구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타인에게 피해 받지 않고, 간섭받고 싶어 하지 않는 심리적 영역에 관한 Needs를 포함한다. 자신의 질병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꺼려하며 타인과의 대면 접촉으로부터 심리적, 지각적 안정감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에게 보다 좋은 대기공간을 제공하는 것에는 여러 가지 관리운영상의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그 공간을 이용하는 대기환자와 동반가족이 편안함과 안정감, 신뢰감을 느낄 수 있도록 환자중심적 대기공간을 구성해야 하며 대기공간 계획시 기둥 외에도 변화감 있는 벽면구성이나 낮은 파티션, 계단 등을 이용한 공간 분할 계획과 더불어 적절한 빛의 유입 등은 환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 할 수 있으며, 실제 이용자의 스케일에 맞는 대기의자 배치 및 동선계획과 이용자의 심리적. 지각적 안정감을 갖을 수 있는 이용자 중심적 대기공간이 되도록 고려하여 계획 하여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conspicuous phenomena shown in hospital buildings may be specialization, information-intensiveness, uniqueness and differentiation. The environment of the medical services in Korea is changing: increasing specialized hospitals, unstable medical market which should be open due to Korea-America FTA agreement, patients' changing focus of concern from simple treatment to health owing to their improving income level, their diversifying needs for medical services, wider uses of state-of-the-art medical equipments and services as well as availability of the information about comfortable hospital environment owing to spreading Internet uses or advent of 'a medical service shopping age' when patients are selecting their desired hospitals, and the like. In short, the patients are now 'active customers' trying to maintain or improve their health conditions rather than 'passive patients' visiting hospitals for treatment of their diseases. Our domestic hospitals who had grown rapidly during 70's and 80's are now intensifying their hither-to quantitative services into quality services, while patients' paradigm in view of our medical industry is changing from simple patients to demanding customers. Thus, many hospitals endeavoring to provide for patient-centered medical services are struggling to improve their medical service environment into a more comfortable quality one through expansion and remodelling of their hospital buildings. In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comparatively analyzing department-wise characteristics of our domestic hospitals and patients' behaviors in their waiting rooms and thereupon, suggesting a model waiting room for each outpatients' department of general hospital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partment. To this end, the researcher reviewed preceding studies and sampled 2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500 sickbed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utpatients' departments such as internal, surgical and obstetric & gynecologic department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ampled 2 general hospitals of different waiting spaces with 500 sickbeds or more in Seoul and then, surveyed their outpatients' waiting spaces for such internal departments visited relatively much by outpatients as digestive medicine, endocrine medicine as well as for surgery and obstetric & gynecologic departments, while comparatively analyzing the pattern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n the plans, surveying the users for their satisfaction with the waiting spaces and examining patterns of their use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aiting patterns in the waiting spaces, it was found that outpatients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corridor-type waiting spaces, while being satisfied relatively highly with hall-type or parallel-type waiting spaces. And it was also found that open corridor-type waiting spaces were loaded much with the traffics, and particularly in case they were laid out along a long corridor, outpatients' circulation tended to be long enough to more disturb patients' psychological state apprehending their diseases and not willing to make their diseases known to others as well as infringe on their privacy more than the closed hall-type or independent waiting spaces for each department. Second, in case of internal department, the waiting spaces tended to be laid out integrating its related sub-departments, and therefore, they tended to be hall-type spaces. So, it is deemed necessary to lay out the waiting spaces to be independent in both psychological and cognitive senses, and if the sub-departments used much by outpatients should be laid out adjacent to other sub-departments used less to share the waiting space, it would be essential to reduce the waiting density in the common waiting room. In addition, in case of endocrine medicine sub-department, it is deemed desirable to secure a recess for outpatients and their accompanying family members to stand by during diagnosis and check-ups, while screening the recess from outside views. Third, since outpatients for surgery department tend to decrease gradually compared with internal department, it is necessary to plan its waiting space at an optimal scale, in consideration of wheel-chair or on-crutch patients and their accompanying family members. Namely, crutch and wheel chair stations are essential in this waiting space. Fourth, in case of obstetric and gynecologic department characterized by more accompanying family members and diagnosis & treatment of female diseases, it is necessary to lay out its waiting space for the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to feel stable and independent psychologically and emotionally. So, the corridor-type may not be adequate for the independent space of individualized diagnosis and treatment. In general, since husbands and other family members (1~4 persons) tend to accompany the female patients, more seats need to be deployed in the waiting room than the other departments. Fifth, such tectonic elements as columns and wall planes need to be used positively. If hall-type or parallel-type waiting room is adjacent to a column to left or right end of the room, patients would be more relieved during their waiting, for example, resting and napping or reading. In addition, if the waiting room is laid out along the diverse wall planes as in case of obstetric and gynecologic department of one of the sample hospital, patients and their accompanying family members would not feel bored, while exchanging information or conversing with each other, being much relaxed psychologically. As a result of surveying users for their satisfaction with the waiting space, it was found that they wanted not to be seen from outside (visual blocking), probably because they had some psychological needs for their privacy, not being interfered by others. In other words, since patients would not like their diseases to be exposed outside, hoping for some psychological and cognitive sense of stability, it is essential to design the waiting spaces to be not only functional and manageable but also patient-centered enough to be comfortable, stable and trustworthy for patients and their accompanying family members. In addition, not only columns but also wall planes need to be varied, while partitions and stairways should be as low as possible to introduce the natural lights conducive to patients' psychological sense of stability. Besides, seats and circulations should be appropriately scaled for users, while the waiting space itself should be user-centered in terms of their psychological and cognitive sense of stabil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72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54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공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