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7 0

공동주택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사용실태 및 수요조사

Title
공동주택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사용실태 및 수요조사
Other Titles
Research on demanding and utilization of Home Automtion system in Apartment Houses
Author
이선희
Alternative Author(s)
Lee, Sun-Hee
Advisor(s)
박준석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디지털 정화 사회는 세계를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생활양식도 복잡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 시키고 있다. 정보화의 가속화에 따른 전반적인 사회와 생활양식의 변화는 인간의 더 나은 생활과 환경에 대한 기본적인 욕망과 주거에 대한 요구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여건이 주거환경에 도입되었을 때 거주자 생활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접근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주택에서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을 실현하며 주거공간 내의 가족 구성원에게 최적의 상태를 갖게 해주고, 또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도입한 아파트의 보급이 늘어나고 있는 현실 속에서 그에 따른 거주자의 요구사항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거주자들의 특성에 관계없이 획일적으로 많은 기술을 적용하는 것보다 거주자가 필요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이 도입된 아파트가 정착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이 설치되어진 아파트의 제공현황을 조사하고, 제공현황을 토대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사용현황, 만족도 및 수요도 조사를 통해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기술 및 생활 편리를 극대화하고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보다 나은 시스템 개발과 우선 도입해야하는 아이템을 도출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1 장에서는 연구배경 및 목적, 연구 방법 및 범위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제 2 장에서는 주택의 정보화와 주거의 변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개념, 국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아파트 관련 연구 동향을 서술하였다. 제 3 장에서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보급사례조사로서 건설회사 별로 서울과 수도원 지역의 시스템 세부 기능을 조사하였다. 제 4 장에서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사용현황, 만족도 및 수요도를 설문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제 5 장에서는 제 4 장에서 사용현황, 만족도 및 수요도를 분석한 내용을 통해서 고찰하였다. 제 6 장에서는 본 연구에 대한 결론은 기술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사용현황은 일반ㆍ자동제어 시스템(2.70)의 사용현황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안전ㆍ보안 시스템(2.46), 실내환경조절 시스템(2.28)으로 나타났고 생활지원시스템(1.85)이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시스템중 가장 사용현황이 높은 것은 방문자확인/통화/문열림 시스템(80.7%)과 세대간 직다이얼 통화시스템(36.7%)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주부들의 직업에 따른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취업주부는 세대침입/가스누출 감지 및 경보 시스템과 외출 및 방범설정/해제 시스템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전업주부는 세대간 동시 통화 시스템과 세대간 화상통화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었다. 연령에 따른 사용현황은 20대와 30~40대 연령층이 50대 이상의 연령층에 비해 일반자동제어 시스템과 안전ㆍ보안 시스템을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사용만족도의 조사 결과 안전ㆍ보안 시스템(3.21)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이 실내환경조절 시스템(3.17), 일반ㆍ자동제어시스템(3.15), 생활지원 시스템(2.88) 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부 항목별 시스템 중 만족도가 높았던 것은 방문자확인/통화/문열림 시스템(4.20), 세대간 직다이얼 통화시스템(3.47), 가스벨브 제어 시스템(3.41), HA 차량도착 통보기능(3.10)인 것으로 나타났다. 4)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수요도 조사를 보면 CCTV모니터링 시스템(4.39)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그 다음으로는 환기 및 공기청정 자동조절 및 원격제어 시스템(4.22), 원격 건강검진 시스템(4.19), 엘리베이터 콜기능(4.12)순으로 나타났다. 주부들의 직업과 연령에 따른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20대와 30~40대와 직업에 관계없이 CCTV모니터링 시스템의 수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50대 이상의 주부들은 원격 건강 검진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주부는 전업주부들에 비해 오디오 공유 시스템과 요리지원 시스템의 수요가 더욱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5)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인한 주거 생활 향상 기대 도를 보면 안전/보안성 시스템과 가사생활 시스템, 건강성 향상 순위로 생활에 좀더 향상 시킨다고 나타났다. 4, 5위는 여가/오락/문화성, 실내환경조절 순위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주로 안전/보안 시스템의 개념에서 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에게 더 많은 시스템의 개념과 메뉴얼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사용할 수 있는 방법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6)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기술을 획일적으로 많이 적용하기 보다는 주부들의 직업, 연령에 맞추어서 시스템을 보급해야한다. 또한 시스템을 입주 당시에만 교육을 하지 말고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서 시스템의 사용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The digital information society in which we live today transforms our world rapidly, while our life styles therein develop in complicated and diversified ways. Such rapid changes of society and life style accelerated by the information technology lead to changes of our basic desire and needs for more comfortable life and living environment and better housing environment. Whe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is introduced into our living environment, we need to understand residents' life style changes. The home automation system allows for safe, convenient and comfortable living, while providing the family members with an optimal housing life. Despite such a system is increasingly introduced into apartment houses, residents' needs have still to be reflected in this process. So, it is deemed necessary to introduce into our apartment houses a home automation system required by residents rather than apply diverse home automation technologies to our apartment houses uniformly regardless of their residents' requirement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surveying the apartment houses with the home automation system installed and thereupon, examining uses of the home automations system, residents' satisfaction with and demands for them, and thereby,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identification of the priorities for development of a user-centered home automation system conducive to more comfortable house life and higher life quality.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chapters;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background, purpose, methods and scope of the study. The second chapter reviews trend of information-intensive houses, concept of the home automation system and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into the home automation system in apartment houses. The third chapter discusses the results from the survey about the home automation systems installed by the sample constructors in Seoul and capital area, focusing on their system details. The fourth chapter analyzes the results from the survey about uses of home automation systems, residents' satisfaction with and demands for them. The fifth chapter reviews the results from the above analysis. The sixth chapter concludes the study as follows; 1) The most popular home automatin system is the generalㆍautomatic control system (2.70), followed by the safetyㆍsecurity system (2.46),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2.28) and living convenience system (1.85) in their order. On the other hand, the most popular subsystem is the visitor identification/call/door unlock system (80.7%), followed by the intra-family direct dialling call system (36.7%). 2) As a result of analyzing women's uses of home automation system depending on their jobs, the working women were using the anti-bugler/gas leakage sensing and alarm system most as well as the absence/anti-bugler security system, while the housewives were using the intra-family concurrent or video call system most. On the other hand, those in their 20's, 30's and 40's were using relatively more general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safety and security system than those in their 50's or older. 3) As a result of surveying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 home automation system, it was found that they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safety and security system (3.21), followed by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3.17), the general automatic control system (3.15) and living convenience system (2.88) in their order. The subsystem satisfying them most was visitor identification/call/ door unlock system (4.20), followed by intra-family direct dialling call system (3.47), gas valve control system (3.41) and HA vehicle arrival call system (3.10). 4) As a consequence of surveying the demands for the home automation system, it was disclosed that the system required most was the CCTV monitoring system (4.39), followed by ventilation and automatic indoor air cleaning system (4.22), remote health check system (4.19) and elevator call system (4.12) in their order.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women in their 20's, 30' and 40's wanted the CCTV monitoring system most, while those in their 50's required the remote health check system most. Working women wanted audio-sharing system and cooking support system more than housewives. 5) The benefit expected most of the home automation system for housing life was home safety and security, followed by comfortable housing life, family members' improved health, leisure/entertainment/ cultural life and better indoor environment. Such a finding suggests that residents' understanding of the home automation seldom reach beyond the concept of safety and security system, an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explore the ways to publicize diverse system concepts and their manuals for their wider uses. 6) Lastly, it is essential to distribute the home automation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ir primary users' or housewives' jobs or age groups rather than apply them uniformly to apartment houses.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educate users on a continual basis rather than at a time when they move to their apartment houses to make them familiar with the syste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70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70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E & CIVIL ENGINEERING(건축 및 토목공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