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4 0

유비쿼터스 아파트 거주자들의 시스템 이용 현황을 중심으로 한 공간사용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유비쿼터스 아파트 거주자들의 시스템 이용 현황을 중심으로 한 공간사용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nge of Space Usage Behavior with the System Utilization Status of Residents in the Ubiquitous Apartments
Author
김민하
Alternative Author(s)
KIM, Min-Ha
Advisor(s)
전한종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 유례없는 IT대국으로 부상하면서 유비쿼터스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주거문화에 점진적으로 유입되고 있는 단계이다. 그러나 그 새로운 기술 도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주거의 기능 및 거주자의 주생활 행위 변화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이에 대응하는 주거공간 계획의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거주자의 유비쿼터스 관련 시스템 이용실태를 조사하여 기술의 도입으로 인해 변화된 주거기능과 주생활 행위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주거공간의 개선방향을 모색함으로써 추후 유비쿼터스 주거를 위한 건축계획 및 설계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제 1 장 서론에서 연구의 배경, 연구 목적, 연구 범위, 연구 방법을 기술한 후 제 2 장에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의미와 유비쿼터스 홈의 개념 및 특성, 유비쿼터스 홈의 국내 현황, 유비쿼터스 홈의 주거 기능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제 3 장에서는 우리나라 유비쿼터스 아파트들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거주자들의 시스템 이용 현황과 유비쿼터스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 및 기대도를 도출하였다. 제 4 장에서는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주거공간과 기술, 주생활 행위에 따른 통합적 분석을 통해 거주자들의 공간사용행태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미래 유비쿼터스 홈에 대한 공간과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제안하였다. 제 5 장은 결론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비쿼터스 홈은 주거의 기능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었던 ‘휴식(Rest), 섭취(Intake), 가사(Housework) 및 단란(Enjoyment)’의 4가지 기능에 ‘관리(Control)’의 기능이 더해짐으로써 유비쿼터스 도입 전의 주거에 비해 주거의 기능이 강화되고 주생활 역시 다양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유비쿼터스 홈에서 생활하는 거주자의 사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사용자가 직접 컨트롤을 해야 하는 거주자 제어 기술보다는, 공간속에 내재되어 저절로 이용 가능한 자동 제어 기술들에 대해 거주자들이 더 큰 유용성을 느끼고 있었다. 사용자가 어렵지 않게 직관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구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거주자들의 만족도와 기대도가 가장 높은 유비쿼터스 기술로는 안전 및 보안과 연결되는 시스템으로 거주자들이 주거 생활에 있어 안전과 보안에 관련한 부분을 가장 중요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요구조건에 충족하는 유비쿼터스 시스템 계획을 해야 한다. 넷째, 유비쿼터스 홈의 주거 공간들이 유비쿼터스 시스템 도입 이전에 비해 더욱 다양한 주생활 행위를 담당함으로써, 여러 기능의 다양한 주생활 행위가 한 공간안에 유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비쿼터스 홈의 공간 계획에 있어서 요구되어지는 조건은 주거의 각 공간들이 고유한 성격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닌 유비쿼터스 시스템으로 인해 유발되는 공간의 다양성을 고려한 통합적 성격의 공간을 계획하는 것이라 여겨지며, 요구되어지는 유비쿼터스 기술 역시 ‘웹패드, 음성 인식 시스템, 실외 원격제어 시스템’과 같은 통합적인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외부의 어느 곳에서든지 접근과 조절이 가능하고,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결과가 현재 유비쿼터스를 지향하는 국내 아파트의 현황을 대변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계속적으로 발전하는 유비쿼터스 시스템과 그 시스템이 적극적으로 도입되는 추가의 현장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주거 변화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각 공간별 구체화된 디자인 계획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유비쿼터스 홈의 건축 계획 및 설계 시 보다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esearch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house function and housing-life style act by the introduction of technique, examining the utilization actual condition of the system related with the ubiquitous of the residents and supplies the fundamental data for building program and the plan for the ubiquitous house afterward by groping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house space in accordance with that. This paper composed as follows. After describing the background of research, the objective of research, the scope of research, and the method of research in introduction in chapter1. Chapter 2, I examined the meaning of ubiquitous computing and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 of ubiquitous home, the domestic status of ubiquitous home, and the house fuction of ubiquitous home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From this I elicited the system utilization status of residents and the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regarding ubiquitous system, by examining ubiquitous apartments in korea in chapter 3. Chapter 4, I proposed the space about the ubiquitous home of future and the requirements of system by examining the change of space usage behavior of residents through the integrated analysis in accordance with house space, technique, and the act of housing-life style from the elicited contents. I summarized a research results with conclusion in chapter 5.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ubiquitous home had four fuctions of 'Rest, Intake, Housework, and Enjoyment' that became the most basis in the function of house and had the additional function of 'control', and so the function of house was strengthened and the housing lifestyle came to be various as well. Second, dwellers have felt bigger usefulness for the usable automatic control technique that is immanent in space than the control technique by a dweller that a user must control directly as the result that examined the use actual condition of the dweller living in the ubiquitous home. Third, we can see that dwellers are the most important of the safety and the security in housing-lifestyle as the system that is connected with the safety and the security, which is the ubiquitous technique with the highest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of dwellers, and must make a plan of ubiquitous system that is satisfied with the demand condition. Fourth, it appeared that the house spaces of ubiquitous home were in charge of more various housing-lifestyle act in comparison with the introduction of ubiquitous system ago. Therefore, the demand condition in the space plan of ubiquitous home regards as the space plan of the integrated character that considers the variety of space caused by the ubiquitous system, not that each spaces of house is separated with original character, and because the required ubiquitous technique also is the system that is possible for the integrated control and management, the approach and control is possible even in every external place and free movement is possible as well. I am judged that the ubiquitous system that develops continuously forward and the additional site investigation that the system is introduced positively will be neccssary so th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may spreak for the currency atatus domestic apartment that intends ubiquitous now, and the research about the house change must run 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65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28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S](건축대학원) > ARCHITRCTURE(건축디자인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