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0 0

도심형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기준층평면과 단위세대구성과의 형태적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Title
도심형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기준층평면과 단위세대구성과의 형태적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ormal Relationship of Typical Floor and Dwelling Units of Urban Mixed-Use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 Focused on Openness of Dwelling Units
Author
김권
Alternative Author(s)
Kim, Guon
Advisor(s)
이정만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도심내의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지어지고 있는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경우는 35층에서 60층을 넘나드는 본격적인 초고층화를 실현시키며 다양한 기준층평면 형태를 선보이면서 속속 개발되어지거나 개발이 확정되고 있다. 그러나 형태에 대한 법규적 제제와 인위적 디자인 요구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많은 문제들이 발생할 소지가 있고 따라서 바람직한 초고층 주거형태에 대한 올바른 개념형성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이번 논문에서는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형태결정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 및 형태 특징을 중심으로 논문을 전개하고자 한다.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형태결정에 영향을 끼칠 핵심요소로 기준층평면과 기준층평면을 구성하는 단위세대임을 가정하고 단위세대의 거주성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개방성을 중심으로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형태특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연구의 사례로는 주요건설사에 의해 서울시내에 2000년 이후부터 2005년까지 건설된 13개의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를 선정하였으며, 여기서 말하는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는 그 동안 상업지역 내에 개발되었던 단독형 주상복합이나 일반주거지역내에 판상형의 주거를 일정층수까지 수직 상승시킨 비도심형 초고층 아파트와는 차별화된 개념으로 도심에 최소 35층 이상의 초고층화를 실현하며 단지형을 취하는 탑상형 집합주거형식을 말한다. 선정된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서 분석의 틀을 제안하게 되며 제안된 틀을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지게 된다. 분석은 주상복합아파트의 개방 형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기준층평면의 형태를 결정하게 되는 단위세대구성의 형태적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방성 관련 기준층평면과 단위세대구성과의 형태적 상관관계를 밝혀내게 된다. 연구의 방법은 먼저 해당 주상복합아파트 주거동의 사진촬영 및 도면수집 등 물리적 현황점검의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주거동(기준층평면)의 건축형태 속성과 주거동을 구성하는 단위세대의 형태적 특징을 찾아보게 된다. 주 연구방법은 수집한 도면 및 사진을 통해 기준층평면과 이를 구성하고 있는 단위세대구성과의 형태적 상관성에 중점을 두어 조사를 하게 된다. 기준층평면과 단위세대구성과의 형태적 상관성의 조사방법으로는 13개의 사례의 도면을 비교/분석하며, 기준층평면의 형성에 관련된 기본적인 모듈에 대한 특징 및 다른 형태적 특징들의 이해를 통해서,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계획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게 된다. 연구된 내용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초고층 주거에 대해서 제안 및 정리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기준층평면의 형태변화과정을 유형화하였다. 13개 사례의 기준층평면 형태를 8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형태변형과정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준층평면의 기본형인 판상형, 정방형, 삼각형, Y자형 등이 확장, 결합, 변형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T자형, X자형, 비정형, 정방형+정방형 등이 추가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확장, 결합, 변형 과정과 함께 제거, 이동, 회전 등의 형태변형과정이 추가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기준층평면별 특정 형태의 단위세대가 나타나고 있다. 81개의 단위세대 중에서, ㄱ자형(29세대)>결합형(16)>정방형(15)>T자형(9)>W자형=비정형(4)>ㄷ자형=Y자형(2) 등의 단위세대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8가지의 기준층평면 유형 중에서, ㄱ자형(6유형)>결합형(5)>정(장)방형=T자형(4)>비정형(3)>W자형(2)>ㄷ자형=Y자형(1) 등을 나타내고 있다. 단위세대 유형 중 ㄷ자형, W자형, Y자형은 특정 형태의 기준층평면에서만 가능한 형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의 단위세대를 통하여 이를 구성하게 되는 기준층평면을 역으로 예측 가능할 수 있겠다. 기준층평면 유형별 단위세대의 형태적 특징 및 공간구성 특징을 통하여, 기준층평면 형태가 단위세대 형태결정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기준층평면의 유형별 구성되는 형태적 특성에 따라서 단위세대의 외기노출과 공간구성이 달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준층평면과 단위세대와의 형태적 상관성은 단위세대의 개방성확보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초고층 탑상형 주상복합아파트에서 나타날 수 있는 외기노출면 부족의 문제들을 어떻게 풀어가고 있는지 사례분석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단위세대 벽면의 외기노출은 이루어지지만, 창을 통한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이 나타나고 있으며, 인접세대와의 프라이버시 확보, 단위세대의 벽면확보, 구조적 이유 등으로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최근에 지어지고 있는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개방성 확보를 위해서 다양한 형태적 변형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들은 기존의 판상형주거에서 탑상형주거로 변화되고 있는 우리나라 공동주택계획의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주었다고 할 수 있다.; Urban Mixed-Use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which are constructed inthe city center come often 60 layers from 35 layers and those are constructed orhave plan to be skyscraper that show various typical floor plans. But there ispossession where the many problems will happen because the artificial designdemand and legal restriction gainst a form are difficult actuality so we need therightful concept formation about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above all. In thisstudy the elements and form features which cause an effect in form decision ofthe Urban Mixed-Use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and it develops adissertation in the center and it does. It is Dwelling Units which composes Typical Floor and Typical Floor surfacewith the core element which will cause an effect in form decision of UrbanMixed-Use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to assume, and this study is focusedon Openness of Dwelling Units which is the most sensitive thing of the amenity.Instances of the study are 13 Urban Mixed-Use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which are constructed by the top-ranking construction companies from 2000 to2005 in Seoul. The Urban Mixed-Use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is theresidence type which is above minimum 35 layers in the city center and the towergathering residence type. To analyze the instance which is selected proposes theframe of the analysis and it is become accomplished. The analysis is focused onOpenness of Urban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it reveals the formalrelationship of Typical Floor and Dwelling Units about openness that formfeatures through understanding the form of Typical Floor which decide the formof Dwelling Units. The method of researches first executes preceding investigation which is thephoto shoot and plan collection and then, searches the form feature of DwellingUnits which composes a mass form(Typical Floor) and the construction formattribute. The main method of researches is going to research focused on formalrelationship of Typical Floor and Dwelling Units through plans and photos whichare collected. Study on the formal relationship of Typical Floor and Dwelling Unitsare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lan of 13 instances and, against the plan featureof Urban Mixed-Use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is appearing recently throughthe basic which relates in formation of Typical Floor and the feature against amodule and understanding different form features it leads. Through the contentswhich is researched, do a proposal and an arrangement of the desirable High-RiseResidential Buildings. With this study it leads and gets the conclusion like that. Creating the shape of the design process of Typical Floor. It divides TypicalFloor of 13 instances with 8 types, explains through the shape of the designprocess. The basic types of Typical Floor are type-Plate, type-Square,type-Triangle, type-Y and those undergo the expansion, the combination, thetransformation and then appear type-T, type-X, type-Non, type-Square+Square.When the expansion, the combination, the transformation happen, the exclusion,the movement, the rotation happen simultaneously. The unit generation of Typical Floor has a specific form of Dwelling Units.Only specific form of Typical Floor is a form which is possible in 8 types whichare appearing from 81 Dwelling Units, type-ㄷ, type-W, type-Y, with these typeDwelling Units it will predict Typical Floor which is composed with DwellingUnits the possibility it will be in reverse. With form feature and space composition feature of Dwelling Units, formfeature of Typical Floor causes an effect in form decision, the type of TypicalFloor is changing the possibility of knowing there was air exposure and spacecomposition of Dwelling Units to the form quality which is composed. The formalrelationship of Typical Floor and Dwelling Units is focused on openness ofDwelling Units, I can understand how to solve air exposure wall insufficientproblem of Urban Mixed-Use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through the instanceanalysis. If Dwelling Unit wall air exposure becomes accomplished, but the portionopening through the window does not become accomplished because to secureprivacy, Dwelling Unit wall and structure reason. With this study to ensure openness of Urban Mixed-Use High-RiseResidential Buildings there are various things to change form types. Thesefeatures opened the possibility of our country housing plan which is changingfrom plate type housing to tower type housing.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65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87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S](건축대학원) > ARCHITRCTURE(건축디자인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