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복희-
dc.contributor.author김광범-
dc.date.accessioned2020-04-13T17:43:12Z-
dc.date.available2020-04-13T17:43:12Z-
dc.date.issued2007-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607-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945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무용 환경에 적합한 무용전공 학생들의 훈련과 공연에서 발휘되는 참여동기의 개념을 탐색하고, 규명된 참여동기의 개념을 근거로 참여동기를 측정할 수 있는 질문지를 개발하며, 개발된 참여동기 질문지를 사용하여 무용 전공학생들의 참여동기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참여동기 요인들을 면접과 개방형 질문지를 통하여 추출, 분류, 정립하여, 정립된 참여동기 요인과 관련 문항들을 문항분석과 신뢰도분석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검증하고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구축된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재검증함으로써 무용전공 학생들의 참여동기 질문지를 개발하며, 개발된 참여동기 질문지를 근거로 무용 전공학생들의 대상별, 경력별 및 전공별로 동기요인들의 수준을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연구 1 : 무용에서의 동기 및 참여동기 개념 탐색 1. 무용에서의 동기 개념 탐색 무용에서의 동기 개념을 파악한 결과, 무용 전공학생들은 동기를 일반적인 심리학 장면에서 연구되어온 동기 개념인 인간의 행동을 제기시키고 활성화시키며, 지속시키거나 제지시키는 힘을 동기라 하며, 어떤 목표를 향해서 행동을 시작하도록 하는 내적 과정과 동일하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무용에서의 참여동기 개념 탐색 무용 전공학생들이 인지하는 참여동기 개념에 대해 총 923개의 원자료 사례를 얻었으며, 원자료에 대한 귀납적 분석을 통해 일반영역과 세부영역 및 하위영역으로 분류한 결과, 3개의 일반영역(내적동기, 외적동기, 무동기)과 6개의 세부영역(즐거움, 심리, 장래-자기개발, 신체조형, 권유-내적규제, 무동기), 그리고 41개의 하위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2 : 참여동기 측정도구 개발 및 통계적 검증 1. 참여동기 질문 문항 제작 무용 전공학생들의 참여동기 개념에 대한 원자료를 전문가 회의를 통해 분류한 다음, 각 세부영역의 참여동기 개념을 표현하는 원자료 문장을 바탕으로 참여동기를 측정하는 질문 문항을 제작하였다. 각 세부영역별 질문 문항 수는 5~13문항씩 제작하였으며, 세부영역별 요인들은 즐거움 13문항, 심리 5문항, 장래-자기개발 8문항, 신체조형 5문항, 권유-내적규제 5문항, 무동기 8문항, 총 44개 문항으로 참여동기 측정 질문지를 제작하였다. 2. 참여동기 질문 문항에 대한 문항분석 각 문항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보면, 모든 문항에서 극단적인 값(평균 4.5 이상, 표준편차 1.0 이하)이 나타난 문항은 없었고 왜도와 첨도 값이 ±2.0 이상인 문항들은 없었으며, 각 문항의 반응비율이 50% 이상으로 집약된 문항들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모든 문항들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참여동기 측정 문항 신뢰도 분석 문항분석을 통해 검증된 문항들을 대상으로 전체 신뢰도를 실시한 결과, 신뢰도 계수 α=.9378로 매우 높은 신뢰도 계수 값이 나타났으며, 문항-전체간 상관계수가 .40 이하인 문항들과 문항 삭제 시 신뢰도 계수 값이 전체 신뢰도 계수 값보다 큰 문항들이 나타나지 않아, 각 요인별 신뢰도 분석을 한 결과, 즐거움요인과 장래-자기개발요인은 3차에 걸쳐 2문항이, 권유-내적규제요인과 무동기요인, 신체조형요인은 2차에 걸쳐 1문항이 문항 삭제 시 신뢰도 계수 값이 전체 신뢰도 계수 값보다 큰 문항으로 나타나 부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어 제외시켰다. 4. 참여동기 측정 문항 탐색적 요인분석 참여동기 측정 문항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적합한 것으로 판명된 문항을 대상으로 1차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요인의 수가 7개로 추출되었다. 전체적으로 추출된 7요인 하위영역 문항들에서는 요인부하 값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7번 문항과 21, 36, 41번 문항의 경우에는 하나의 요인만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요인들도 공통적으로 설명하는 문항들로 판단(다중공선성)되었기 때문에 제외시킨 후, 적합한 것으로 판명된 문항을 대상으로 2차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2차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요인의 수가 7개로 나타났는데, 전체적으로 추출된 7요인 하위영역 문항들에서는 요인부하 값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요인들에 공통적으로 설명하는 문항들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추출된 참여동기 구성개념의 요인 명명 및 신뢰도 문항분석과 신뢰도분석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참여동기 구성개념 요인들의 하위 문항들을 분석하여 각 요인의 명을 명하였는데, 1요인은 즐거움 요인으로 명명하였으며, 2요인은 무동기 요인, 3요인은 장래-자기개발요인, 4요인은 권유-내적규제요인, 5요인은 신체조형요인, 6요인은 공연요인으로 그리고 7요인은 심리요인으로 명명하였다. 6. 참여동기 측정 문항 확인적 요인분석 참여동기 측정 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적합한 것으로 판명된 문항들과 추출된 요인들에 대해 요인 명명을 한 후, 추출된 7개의 요인들을 대상으로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Q값은 2.115로 나타났으며, GFI값은 .91으로 AGFI값은 .90으로 RMR값은 .05로 RMSEA값은 .06으로 TLI값은 .89로 그리고 CFI값은 .90으로 나타나 참여동기요인의 요인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7. 참여동기 질문지의 수렴타당도 및 변별타당도 수렴타당도를 위하여 스포츠 참여동기 척도의 하위요인인 건강ㆍ체력요인과 변별타당도를 위하여 스포츠 스트레스 요인 질문지 중 상급학교 진학걱정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건강ㆍ체력과 즐거움, 공연, 심리, 장래, 권유, 신체조형, 무동기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렴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상급학교 진학걱정과 즐거움, 공연, 심리, 장래, 권유, 신체조형, 무동기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변별타당도도 검증되었다. 연구 3. 무용 전공학생들의 대상별, 경력별 및 전공별 참여동기 수준 비교ㆍ분석 1. 대상별 참여동기 하위요인들의 차이 대상별 참여동기 하위요인들의 차이에 있어서는 즐거움 요인에서 중학교 학생들이 고등학교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요인과 권유-내적규제요인에서는 대학교 학생들이 중학교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고, 신체조형요인에서는 대학교 학생들이 고등학교 학생들보다 그리고 무동기요인에서는 대학교 학생들이 고등학교 학생들보다 그리고 고등학교 학생들이 중학교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2. 경력별 참여동기 하위요인들의 차이 경력별 참여동기 하위요인들의 차이에 있어서는 권유-내적규제 요인에서 경력이 많은 학생들이 경력이 적은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신체조형요인에서는 경력이 적거나 중간인 학생들보다 경력이 많은 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무동기요인에서는 경력이 적은 학생들보다 경력이 중간이거나 많은 학생들이 무동기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전공별 참여동기 하위요인들의 차이 전공별 참여동기 하위요인들의 차이에 있어서는 한국무용과 발레 그리고 현대무용 전공학생들 간에 참여동기 하위요인들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론을 통하여 무용 전공학생들의 참여동기 질문지가 즐거움요인-9문항, 무동기요인-6문항, 장래-자기개발요인-5문항, 권유-내적규제요인-4문항, 신체조형요인-3문항, 공연요인-3문항, 심리요인-3문항, 총 33문항으로 개발되었으며, 무용 전공학생들의 참여동기 하위요인들은 즐거움과 공연, 심리, 장래-자기개발, 권유-내적규제, 신체조형 그리고 무동기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즐거움과 장래-자기개발, 권유-내적규제, 신체조형 그리고 무동기요인의 경우는 신체의 움직임, 즉 운동을 다루는 체육이나 스포츠 장면에서의 참여동기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공연이나 심리적요인의 경우에서는 무용만의 고유하고 독특한 요인으로 나타나 차후, 무용장면에서의 동기에 대한 연구는 체육이나 스포츠장면과 변별력을 두고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무용 전공학생들의 참여동기 비교에서 나타났듯이 중학교 무용 전공학생들의 경우에서는 즐거움을 강조하는 동기유발로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고등학교와 대학교로 올라갈수록 신체조형요인과 심리적요인, 장래-내적규제요인을 강화시키는 동기유발이 필요하며, 무용 전공학생들의 동기를 감소시키는 무동기요인의 대처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he concept of the participatory motive shown in the training and performance of the students majoring in dance proper to the dance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develop the questionnaire capable of measuring the participatory motive based on its concept and identify the level of dance majors' participatory motive based on the developed questionnaire on the participatory motive. Study 1: Exploration for the concept of the participatory motive in dance 1. Exploration for the concept of the participatory motive in dance A total of 923 raw data on the concept of the participatory motive perceived by the students majoring in dance were obtained, and an attempt was made to classify them into the general domain, the detailed domain and the sub-domain through their deductive analysis. As a result,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general domains(internal motive, external motive and no motive), six detailed domains(enjoyment, psychology, future self-development, physical formation, recommendation-internal control and no motive). Study 2: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instrument of the participatory motive and its statistical testing 1. Production of the question item on the participatory motive An attempt was made to classified the raw data on the concept of the participatory motive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en the question items were made to measure their participatory motive based on the sentences of the raw data expressing the concept of the motive to participate in the detailed domain. The number of question items by detailed domain was 5~13 items, and the factors in each detailed domain included a total of 44 items such as 13 items on enjoyment, 5 items on psychology, 8 items on future(self-development), 5 items on physical formation, 5 items on recommendation(inner control), 8 items on no motive. 2. Analysis of the items on the participatory motive An examination of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item showed that there was no item in which the extreme value(mean: over 4.5 and SD: below 1.0) in every item.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items that had more than ±2.0 of skewness and kurtosi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items that had over 50% of the response ratio of each item but all items were appropriate. 3. Analysis of the reliability on the item of measurement on the participatory motive An attempt was made to conduct the reliability analysis on each factor for the items tested through item analysis. As a result, the Cronbach's alpha of two items on the enjoyment factor and the future factor(self-development factor), one item on the recommendation(internal control factor) and no-motive factors and the physical formation factor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e total value three times and twice, respectively when they were excluded. So they ware judged to be inappropriate and excluded. 4.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measurement items of the participatory motive Four inappropriate items were excluded through the 1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n the 2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number of factors was found to seven, and it was found that the value of factor loading was proper in the items of the sub-domain on seven factors excluded in totality and that there were items that explained to the other items in common. 5. Designation and reliability of the extracted factor of the construct of the participatory motive Each items were designated by analyzing the sub-domains of the factors of the construct of the participatory motive through item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first factor was designated as the enjoyment factor, the second as the no-motive factor, the third as the future - self-development factor, the fourth as the recommendation -inner control factor, the fifth as the physical formation factor, the six as the performance factor and the seventh as the psychological factor. 6.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measurement factor of the participatory motive An attempt was made to conduct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measurement items of the participatory motive. As a result, the items judged to be appropriate and the extracted factor were designated and the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priety of the factor structure for 7 extracted factors. As a result, the Q value was found to be 2.115, the GFI value to be .91, the AGFI value to be .90, the RMR value to be .05, the RMSEA value to be .06, the TLI value to be .89 and the CFI value to be .90. This implies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the participatory motive factors was appropriate. 7.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on the participatory motive An attempt was made to conduct the correlation analysis on the sports participation motive scale for convergent validity and on the sports stress factor scale. As a result, convergent analysis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tested. Study 3.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level of participatory motive by subject, by career and by speciality of the students majoring in dance 1. The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the participatory motive by subject In the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the participatory motive by subject, it was found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e higher level of the enjoyment factor than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college students showed the higher level of the psychological factor and the recommendation-internal control factor than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physical formation factor was higher in the college students than it was in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no-motive factor was higher in the college students than it was in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in the high school students than it was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2. The difference in the sub-factor of the participatory motive by antecedent In the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the participatory motive by career, it was found that the recommendation - internal control factor was higher in the students with many antecedents than it was in the students with fewer antecedents. The physical formation factor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students with the high degree of antecedents than those with the low or medium degree of antecedents. And the no-motive factor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students with the high degree of antecedents than it was in the low or medium degree of antecedents. 3. The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the participatory motive by speciality In the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the participatory motive by specialit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the participatory motive among the students majoring in traditional Korean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In conclusion, the questionnaire on the participatory motive of the students majoring in dance was composed of a total of 33 items, such as 9 items on the enjoyment factor. 6 items on the no-motive factor, 5 items on the future-self-development factor, 4 items on the recommendation - internal control factor, 3 items on the physical formation factor, 3 items on the performance factor, 3 items on the psychological factor. Dance majors' sub-factors of the participatory motive included enjoyment and performance, psychology, future-self-development, recommendation-internal control, physical formation and no-motive factors. Enjoyment and future - self-development, recommendation - internal control, physical formation and no-motive factors showed the result similar to the motive to participate in physical movement, namely, the scene of physical education or sports dealing with exercise. But performance and psychological factors were found to be proper and peculiar to dance alone. It is thought that future studies on the motive to participate in the dance scene need to be studied with the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scene and the discriminant power. And as shown in the comparison of the participatory motive of the students majoring in danc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participatory motive of middle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by putting value on enjoyment.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are required to be motivated to participate by putting an emphasis on the physical formation factor, the psychological factor, and the future-internal control factor. And finally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study the countermeasure for the no-motive factor likely to reduce the motive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무용 전공학생들의 참여동기 측정 도구 개발 및 참여동기요인 비교ㆍ분석-
dc.title.alternativeThe Developmen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Questionnaire for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Comparative Analysi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Profil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광범-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Kwang-Bum-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무용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