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손각중-
dc.contributor.author천성우-
dc.date.accessioned2020-04-13T17:43:08Z-
dc.date.available2020-04-13T17:43:08Z-
dc.date.issued2007-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606-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944en_US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유럽의 안무가들을 중심으로 무용작품에 나타난 영상오브제의 활용과 특성에 관한 고찰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는 이러한 영상기법을 오브제로 잘 활용하여 새로운 무용연출의 영역을 확장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 목적을 위해 국내외 서적, 논문, 정기간행물, 전문서적 등을 통한 문헌자료와 국내외 작품에서 영상오브제를 활용한 작품을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첫째, 오브제란 무엇인지 어원과 그 의미를 정리하였으며 영상의 개념을 정리하여 영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고 새로운 안무형태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영상오브제를 활용하여 안무하였을 때 그 효과의 극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정리 하였다. 셋째, 2000년 이후에 유럽 등지에서 공연되어진 작품을 중심으로 영상오브제가 잘 활용되어졌다고 생각되는 작품을 영상오브제의 공간, 시간, 움직임이 주는 효과를 기술함으로써 작품들에 나타난 새로운 영상미디어 표현기법의 특성과 효과를 분석하여 무용연출에 있어 영상오브제의 효율적인 안무방법을 연구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통해 도출된 영상 오브제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무대 공간과 스크린의 밀착과 상호 유기적 관계의 창출 2. 카메라의 각도를 측면 혹은 거울을 사용하여 천장에서 보는 각도를 투사 하기 3. 무대위의 무용수와 또 다른 자아의 움직임 4. 장면의 빠른 전환 5. 무대 공간의 확장 6. 무대공간의 해방감 7. 무대와 화면의 상호관계로 인한 역동성과 신비감 창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성과 효과들을 볼 때 새로운 영상 오브제의 활용은 무용 안무의 폭넓은 비전이 제시되고 역동성이 창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근법은 새로운 시각으로 인간의 신체를 볼 수 있게 하였으며, 무대라는 주어진 공간을 무한정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상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작품의 형식을 창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u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video image objects shown in dance works, focusing on choreographers. It was conceived that this study would provide for more opportunities to use the video image techniques as objects to produce new dance work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domestic and foreign books, dissertations, periodicals and special books and thereupon, sampled domestic and foreign dance works using the video image objects. First, the researcher reviewed the origins of object and its meanings, and thereupon, defined the concepts of video image for better understanding of video images and approaches to new choreographic forms. Second, the researcher explored the ways to maximize the effects of choreography using the video objects. Third, the researcher sampled some works performed in Europe since 2000 and reputed for their video objects and then, analyzed the effects of video objects in terms of space, time and movement and thereby, examined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new video image expressions and thereby, explored the ways for effective choreography of video objects. The effects of the video objects confirmed by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1. Close relationship between stage space and screen and creation of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m 2. Projection of the view of angles from ceiling by using camera angles or mirrors 3. On-stage dancers' and their egos' movements 4. Rapid change of scenes 5. Expansion of the stage space 6. A sense of liberation of stage space 7. Creation of sense of dynamics and mystery due to relationships between stage and screen In view of the abov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new video images can be used to suggest a wide vision of dance choreography and dynamics. In addition, such an approach would allow us to have a new view of human bodies, using the stage given as a space to an unlimited extent and thereby, maximize our imagination to produce a variety of dance work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무용작품에 나타난 영상오브제 활용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Media Object Application to the Direction of Dance Performanc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천성우-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un, Sung-Woo-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무용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현대무용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