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복희-
dc.contributor.author윤영은-
dc.date.accessioned2020-04-13T17:43:00Z-
dc.date.available2020-04-13T17:43:00Z-
dc.date.issued2007-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603-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411en_US
dc.description.abstract무용과 철학은 별개의 학문으로서 다른 영역의 범위로 해석되어지지만 전통적으로 무용은 그 시대의 철학관을 반영해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대 철학의 큰 흐름 중의 하나인 해석학적 논리의 도입은 현대적 시대정신의 입장에서 무용을 새롭게 정립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무용예술에 대한 다른 관점의 해석 가능성을 고찰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해석학은 이해의 학이다. 그것은 텍스트의 이해와 해석, 그리고 인간의 창작물과 인간 행위의 이해를 지시한다. 다시 말하자면 해석학은 이해에 대한 연구이며, 인간의 창작물 즉 어떤 작품의 「의미(meaning)」을 해독하기에 아주 적합한 「방법」이나「이론」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이러한 「해독」과정, 즉 한 작품의 의미에 대한 「이해」는 해석학의 초점이다. 이 관점은 무용예술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탐구주제라 할 수 있다. 무용예술의 독립적인 학문으로서의 정립을 위해 여러 분야의 방법론을 모색했던 이론가들의 주 관심사도 무용에 있어 의미를 해명하는 일이었다. 이 점이 무용예술에 해석학적 개념을 도입하여 무용의 본질적 의미, 또는 무용작품의 의미를 이해하는 방법이나 이론을 찾고자 했던 본 연구의 근거라 할 수 있다. 「예술의 진리」개념은 미학사에서 오랫동안 논쟁의 쟁점이 되어왔던 주요개념의 하나이다. 그리고 많은 철학자들이 이 문제를 깊게 숙고했던 이유는 예술행위의 본질에 대한 타당한 근거를 발견하려는 당위성 때문이었다. 가다머는 그의 사상적 토대를 예술에서 출발하는 해석학자로서, 주저인 「진리와 방법」의 1부 제목을 ‘예술작품에 대한 진리물음’이라 명명하고 그 주제로부터 논의를 전개해 간다. 그리고 그에게 있어 「예술의 진리」개념은 해석학적 과제를 수행하는 중심내용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가다머의 해석학과 접맥시킨 연구가 타 예술분야에서는 활발히 전개되어졌으나 무용학에서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가다머의 해석학적 관점에서 무용예술을 이해하는데 내재되어 있는 요소들을 파악하여 그 구조를 살피고 궁극적으로는 무용예술의 해석학적 이해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먼저 가다머의 해석학의 성립배경과 영향을 살펴보고 그의 해석학적 미학의 위치를 검토해보았다. 그리고 위의 통찰을 바탕으로 그의「예술의 진리」개념을 파악하고자 이 개념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밝히고, 이 논문의 핵심 주제인 「예술의 진리」의 문제를 규명, 이것을 무용예술의 진리 문제로 확장하여 적용시켜 보았다. 그리고 무용작품 속에서의 진리의 정립 유무 또한 살펴보았다. 또한 놀이 개념을 단서로 하는 예술 작품의 존재방식을 고찰하여 존재론적 토대에서 확보될 수 있는 예술의 진리의 가능성도 타진해 보았고, 이해의 매개를 언어에서 찾는 해석학적 관점에서 ‘움직임으로서의 표현’인 무용의 특수성을 고찰하여 이 과정에서 무용의 해석학적 이해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무용예술의 본질적 특색이랄 수 있는 ‘움직임’으로서의 표현이 언어는 아니나 의미를 전달하는 데 있어 언어보다 섬세한 상징체계에 의한 표현이기 때문에 가다머의 해석학적 논의를 무용에 적용하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해석의 다양성’ 측면에서는 타 예술보다 월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용을 이론화하는 과정의 최대 단점인 ‘모호성’이 해석학적으로는 최고의 우위를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작품 속에서의 진리를 정립하는 문제에 있어 무용은 여타 다른 예술분야와 다름없이 작품 속에서 세계를 구현하며 그 세계의 존재자들의 관계를 통해 삶의 진실을 드러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놀이개념을 통한 그의 논리, 즉 무용공연 그 자체는 무용수, 안무가와 관객을 포함하는 전체일 뿐만 아니라 공연관련자보다 관객에 의해 가장 고유하게 경험되어지며, 작품의 의미 또한 관객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는 논리는 우리에게 단순히 수동적으로 공연에 참가하던 관객을 최고의 능동성을 지니고 공연을 주도하는 자로 생각을 전환하게 해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의 도출로 본 논문이 처음에 의도했던 바, 무용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소정의 성과를 거두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들이 우리들이 원하는 바인 무용학의 학문으로서의 정초작업에 보다 다양한 시야를 제공하는 범위확장의 초석이 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Even though Dance and Philosophy are defined as different field, it could be said there has been traditionally reflected the contemporary philosophy in Dance. Therefore, the hermeneutics introduction as one of the main trend of current philosophy could make possible to arrange the foundation to establish the dance in new way, in the status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times. And I regard it could bring the foundation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definition for the art of dance by different standpoint. Hermeneutics is the study about understanding. It instructs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text and the understanding over human's brainchildren and human behaviour. That is, hermeneutics is the study for understanding and it tries to find the very suitable theory and method in defining the 「meaning」 in a piece of work, which is the human's brainchild. These process of 「definition」could be the focus of hermeneutics, which is the understanding of the work. These viewpoint could be the same subject matter for search in the art of dance. The main matter of concern of many theorists have been to define the meaning in dance, who groped to establish the art of dance as the self-relianced study. I could say it is the main stronghold of this thesis to find the method and theory to understand the substantial meaning of the dance or the meaning of the work of dance, as bringing the hermeneutics concept in the art of dance. The concept of 「artistic truth」is the one of the main concept which used to be the issue of controversy for a long time in the history of aesthetics. And the reason why many philosophers made deep consideration on this issue comes from the natural matter-of-course to find the proper basis over the substance of action of art. Gadamer, as a Hermeneutic person to study his ideological root from art, evolved his discussion from the main subject on his work, 「Wahrheit und Method(Truth and Method)」, where he titled the first part with 'the question about the truth for artistic work'. And the center of his subject was the concept of 「artistic truth」to him, in spreading out his hermeneutic theme. With these reason, though there were vigorously developed much researches in other artistic fields which have been connected with Gadamer's hermeneutics, it is inadequate in study for dance. To observe its structure and to suggest, in the ultimate, any availability of hermeneutic understanding over artistic dance, after examining some essential part which makes possible to understand the artistic dance from Gadamer's view point, I studied his hermeneutics on the whole and searched the position of his hermeneutic aesthetic. And based on the above discernment, I hereby express how this concept to be historically developed, to seize his concept of 「artistic truth」, examine closely the issue of 「artistic truth」 which is the main topic of this thesis and extend and then apply this concept to the issue of truth in dancing art. And I also examined its availability to set up the truth in the work of dance. And I looked out its availability of artistic truth on the basis of ontology, considering its method of existence of work, for which the concept of playing paves the way and also considered the availability of hermeneutic understanding of dance, contemplating characteristics in dance of the 'express as Movement' from the hermeneutic viewpoint, where the language would be rather used as the mediation. As a result, even though the expression as movement which could be said as the essential specialty in dance is not the language, since it is much delicate symbolic expression than language when delivering the meaning, not only is it suitable to apply Gadamer's hermeneutic discussion onto dance, but also is it much better than other arts, seeing from the side of 'variety in interpretation', I found. The ambiguousness which is the largest demerits in the course of theorizing dance would hold a dominant position from hermeneutics. In showing the truth in work, I found the world has been realized in the work, without any difference from other arts, and the truth of life has been express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Entia in the world. And his theory over the concept of playing made possible to divert the thought to regard the audience as the leader of the performance with best activeness who had been thought to be just seated passively, which defines not only dance performance is the whole to cover dancers, dance directors and audience but it could be more properly experienced by audience than all performance concerned and the meaning of work could be changed by audience. With drawing the above conclusion, I conceive there has been obtained designated result in suggesting a new viewpoint of hermeneutic understanding over dance in this thesis, as intended at first. And I can never wish enough these result from my research would be a foundation to bring the diverse sight in laying coner-stone of the study for Dance, as we wanted.-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H. G. Gadamer의 『예술의 진리』와 무용예술의 이해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concept of 『artistic truth』in H. G. Gadamer and an analysis of understanding danc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윤영은-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oon, Young-Eu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무용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