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창무-
dc.contributor.author최종홍-
dc.date.accessioned2020-04-13T17:41:47Z-
dc.date.available2020-04-13T17:41:47Z-
dc.date.issued2007-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579-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859en_US
dc.description.abstract1993년 대형할인점이 등장한 이후 급속한 성장이 있어왔고 이러한 증가는 국내 유통산업에 큰 변화를 발생시켰다. 대형할인점의 입지는 많은 양의 물품과 소비자들의 이동을 유발하기 때문에 상업 활동의 공간구조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특정지역의 과잉경쟁을 일으키고 인구집중과 교통 혼잡 유발 등 부정적인 모습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에 대형할인매장 이용행태를 분석을 통하여 주민들의 소비행태 및 범위를 파악하고 보다 일반화된 이용패턴 모형을 도출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대형할인매장의 모형화를 위하여 분당과 평촌, 그 인근지역의 소비자 이용패턴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로, 대형할인매장 이용패턴 일반 모형에 있어 소비자들의 구매선택의 영향은 거리, 면적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인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특히 거리, 면적을 이외에 주차대수, 브랜드. 상품수, 영업시간 등의 변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대형할인매장 이용에 있어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 것은 역시 거리변수였고 다른 변수에 비하여 월등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둘째로, 소득 수준별 구매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써 거리변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그 외에 면적, 브랜드 등의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고소득 그룹의 이용패턴의 경우 상대적으로 저, 중소득 그룹의 이용패턴의 경우보다 브랜드, 상품수, 면적의 변수가 높은 영향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의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로, 도시계획적 측면에서 도시공간이나 상권에 높은 영향력을 가지는 대형할인매장의 입지 결정과정에서 도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이고 계량화된 근거로 제시될 수 있을 것 이다. 둘째로, 대형할인매장의 영업 및 운영 전략에 있어서 구체적인 근거자료로써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매장과 주변지역의 물리적 환경이나 소득수준과 같은 인근 주민들의 성격에 따라 이용행태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분석한 본 연구를 통해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영업 및 운영 전략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fter they were first introduced in 1993, the large-scale discount stores increased rapidly and occurr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of Korea. The location of large discount stores causes big movement of products and consumers, which not only affects the spatial structure and consumer behavior, but also causes negative phenomena such as too much competition in a specific area, overpopulation and traffic disorders. Thus, it would be required to understand the consumer behavior and scope of the residents, and derive a general consumer pattern through analyzing the customer behavior of large discount stores. Bundang and Pyeongchon were selected, in order to analyze the consumer behavior of the two area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ly, not only distance and dimension, but also various factors gave impact on the consumer behavior of large discount stores. Besides distance and dimension, especially parking capacity, brands, quantity of products, and operating hours showe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However, still distance were the most powerful factor in using large discount stores, which showed far higher numerical value than other variables. Secondly, distance variable was the biggest factor affecting consumer selection by income levels, and also dimension and brand could be other factors.Particularly high-income group's consuming patterns were more affected by brands, number of products, and dimension, compared to the mid/low-income groups. To conclude, through the result of the research, it could be found as below; First, some concrete and measurable authority that can increase efficiency of a city could be presented, during the determination of large discount stores' location which has great impact on space and commercial power. Second, these could be suggested as a significant information in operating the stores strategically. The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onsumer behavior in large discount stores according to different factors such as physical circumstance, income levels, or the resident characteristic, which could be used in rational, efficient and strategic operating of the large discount store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대형할인점 이용자 행태분석-
dc.title.alternativeA Behavioral Analysis of Discount Store Users in Bundang and Pyeongchon Area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최종홍-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i, Jong-Ho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도시공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