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4 0

최인훈의 『광장』 연구

Title
최인훈의 『광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wang Jang』 of Choi In-hoon
Author
이수경
Alternative Author(s)
Lee, Soo-Kyung
Advisor(s)
서경석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최인훈의 작품 『광장』을 텍스트로 하여, 작품에 나타나는 주체의 특성을 밝히는 데 주력하였다. 『광장』이라는 작품이 지니고 있는 위상은 이와 관련된 초기의 논의에서 보여지듯 한국의 문학사에 한 개의 돌이 던져지는 것에 비유된다. 이는 한국전쟁을 겪은 우리의 문학이 남북의 양분된 이데올로기에 허덕일 때, 보다 균형된 시각으로 다루면서 문학적인 형상화가 이루어진 이유일게다. 하지만 그에 상반되는 의견이 분분하고, 연구물들도 적지 않다. 이러한 논의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는 것이 바로 ‘관념성’인데, 이또한 ‘소설의 형상화’라는 관점에서 긍정과 부정의 측면으로 나뉘어 논의되어 왔다. 그렇다 보니 작품 연구에 있어 분석적 작업보다 이분법적인 잣대가 먼저 드리워진 경우가 흔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존의 흐름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하며 『광장』이라는 텍스트의 내적 원리를 찾고자 했다. 위에서 언급했듯 최인훈에게 있어 ‘관념성’은 평가론적인 견해를 차치하고 방법적 측면을 제시한다. 『광장』의 주인공 이명준의 사유 방식 속에서도 관념적인 특징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그의 인식의 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주체의 양상을 고찰하고자 했다. 전후 소설이 전쟁의 후유증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주체의 상실과 분열에 그 특징이 있다면, 최인훈은 그러한 현실에 압도되지 않고 현실과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자율적 주체를 되살려 놓고 있다. 최인훈 소설에 나타나는 주체는 관념과 현실 논리 사이의 거리를 끊임없이 의식하며 회의와 절망에 빠져들면서도 그 회의와 절망 자체를 객관화하고 자기 자신의 근거로 삼고자 하는 자기성찰적 주체이다. 그렇기에 남북 이데올로기적 상황 속에 놓여 있는 이명준의 행로를 추적하며 그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그에 첫 번째로 이데올로기, 즉 상징질서라는 큰타자(Other)를 바라보는 이명준의 인식 체계를 살펴보았다. 이명준은 그를 둘러싸고 있는 세계에 대해 확실한 믿음으로 일관한다. 그렇기에 수많은 책을 읽음으로써 앎에 대한 부족함을 채우고, 성서를 통해 신에 대한 강한 믿음을 갖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믿음은 영원히 변치 않는 것이 아닌, 이데올로기가 감춰놓은 환상에 지나지 않는다. 즉 이데올로기는 주체로 하여금 현실 세계를 믿게끔 하면서 그에 대한 보상을 해 주지 않으며, 이 때 주체는 상징질서 안에 예속되어 있는 주체로 이데올로기적 형식으로 남게 되는 왜곡된 주체이다. 이러한 이명준의 인식 태도는 변증법적 과정을 통해 진정한 주체로 이행하는 과정의 변이를 보이는데, 이를 Ⅲ장에서 살펴보았다. 이 장에서 이명준은 그가 굳게 믿고 있던 책들, 성서의 구절들이 모두 이데올로기적 산물에 지나지 않음을 깨닫게 되고, 특히나 언어를 통해 강제된 폭력적인 법의 이면을 보게 됨으로써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으로 나아간다. 남의 이데올로기는 주체로 하여금 자신의 밀실 가꾸기에 여념이 없게 만들고, 북의 이데올로기는 존재하지 않는 혁명을 꿈꾸게 만든다. 이는 그 어느 이데올로기건 간에 상관없이 주체에게 작동시킨 환상의 기만적 모습이며, 그 속에 가리워진 주체는 상징체계에 동일화되면서도 그에 포섭되지 않는 잉여의 지점으로 미끄러짐을 깨닫는다. 이로써 이명준은 상징체계에서 벗어나기 위해 ‘몸의 길’을 취한다. 이 ‘몸의 길’은 이성이 아닌 감성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고, 현실의 계기적 시간에서 벗어날 수 있는 시공간을 의미한다. 이명준은 은혜와의 사랑을 마지막 보루로 선택하지만 이또한 완성되지 않는다.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도 여전히 비동일한 지점이 드러나고 그 균열된 지점에 주체가 놓이기 때문이다. Ⅳ장에서는 균열된 지점에 선 이명준이 역사적 시간 속에서 취할 수 있는 윤리적 태도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했다. 끊임없이 주체를 포섭하고자 하는 상징적 질서에 저항하고자 이명준은 이름도 버리고 하나의 몸짓으로 한 걸음씩 나아갈 뿐이다. 포로로 잡힌 이명준은 제 3국행을 선택하고 뱃길에 오르지만 그 선택은 이데올로기 내에서 강요된 선택일 뿐, 이명준 스스로 택한 것일 리 없다. 그로써 ‘두 죽음’ 사이에 놓이게 된 이명준이 선택한 것이 바로 ‘죽음’이다. 이 죽음은 이명준이 진정한 주체로 태어나는 근거 지음의 죽음이다. 그럼으로써 이명준 자신의 자리를 비우고 진정한 주체로의 창조를 준비하는 실정적 존재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명준의 행로를 통해 이데올로기가 은폐하고 있는 작동방식을 드러내고, 그 안에서 끊임없이 상징적 질서로 포섭되지 않는 몸짓을 통해 진정한 주체로 나아가고자 하는 긍정적인 지점을 말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by analyzing of Choi In-Hoon's novel, .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ies on . it means that the novel is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t's because, unlike other post-war novels, is successful to embody the reality of the time in terms of the narrative strategy. But at the same time,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ies which is not in favor of his works, and the key word of these discussions is 'ideality' of his novel, which is discussed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Yet, in spite of the many studies in the Choi's works, they all tend to be dichotomous not in analytic. Accordingly, this study, unlike other studies carried out before, tries to investigate the inner principle of . Above-mentioned, ideality is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 of Choi's works. It's same as . the protagonist of , Lee Myeong-jun has the cogni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ideality. So this study intends to reveal the aspects of subject which are expressed from the process of his thinking. Most post-war novels are based on the severe reality of the time and characterized by the fragment of subject. But Choi In Hoon, in spite of the skepticism and the despair between the gulf of ideal and reality, tries to keep his distance from the reality and constantly tries to do self-reflection. Therefore this study will track Lee Myeong-jun's life to reveal the distinctive features of Choi's works based on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First of all, this study will search for Lee Myeong-jun's cognition to ideology called 'symbolic'. He has a firm belief in the world he is in. That's why he reads many books including bible to understand the world and is very religious. But the belief is not eternal one but just a fantasy made by the ideology. Ideology forces subject to believe in the real world without any reward, and then subject which belongs to the symbolic is distorted. But Lee Myeong-jun dialectically begins to carry out a thorough investigation of authentic subject and it is dealt in the third chapter. In the third chapter, Lee Myeong-jun finally cognizes that his belief in the books including bible is just figment invented by ideology. And he starts to criticize the ideology especially when he goes behind the forcible law compelled by language. In the ideology of South Korea, subject just can take care of its own 'closet' but do nothing and in the ideology of North Korea, subject is forced to dream of impossible revolution. Both of them are just illusional figments promoted by ideology and then subject can't reach the desire even though the subject can identify itself with the symbolic. Consequently, Lee Myeong-jun decides to accept 'the way of body', which doesn't belong to logos but sensibility. He thinks that's the one which allows him to deviate from the successive time of real world. And then he falls in love with Uen-he. But it doesn't work, as well. Because it's essentially impossible that subject completely identifies itself with the other. There are always some cracks between subject and the other and the subject is just placed on the cracks. In the fourth chapter, this study tries to make it clear what ethical attitude Lee Myung-jun on the crack could take in front of the history of the time. He just takes a step forward after throwing even his name and everything to resist the symbolic system which constantly tries to control subject. Although Lee Myeong-jun decides to go to the third nation when he is taken captive, the decision is just the one forced by ideology. As a result of it, he finally chooses death when he realizes that he is between 'two death'. But with the death Lee Myeong-jun recovers the existent being which prepares to change into authentic subject by giving up all the ideologies. After 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reveal how ideology really works in the real world but also to investigate how subject could be recovered by tracking Lee Myeong-jun who constantly struggle to deviate from symbolic syste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50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59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