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5 0

염상섭의 <삼대>연구

Title
염상섭의 <삼대>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Yeom Sangseop's : focusing on the neurosis types -
Author
전혜진
Alternative Author(s)
Jun, Hye-Jin
Advisor(s)
서경석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는 『삼대』 텍스트에서 드러나는 근대의 징후(symptom)로서의 신경증적 양상을 읽어냄으로서 『삼대』의 심층 원리를 밝히는 것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먼저 근대와 신경증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근대성 담론 안에서 신경증의 위상을 검토하고, 이것이 『삼대』텍스트의 핵심적인 구성 원리로 작동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본다. 2장에서는 신경증적 주체로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서 이들이 타자와 관계 맺는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표본실의 청개구리>에서부터 『삼대』에 이르기까지 근대주체의 변화 과정은 광기에서 신경증으로의 이행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신경증적 근대주체의 형성은 주체가 현실감각을 획득함으로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의 신경증은 지식인의 신경증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이들 주체는 아비살해라는 모티프를 통해 근대라는 타자와의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3장은 내적 형식으로서의 신경증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먼저 씸파다이저어가 체현하는 신경증의 양상을 살피고, 『삼대』의 수사학이 신경증의 수사학임을 밝히는 작업이다. 마지막으로 『삼대』의 구조가 반복충동의 구조임을 살핀다. 이들 내적 형식은 신경증의 메커니즘을 통해 생산된다. 질문을 반복하고 판단을 유예하면서 스토리 시간을 왜곡시키는 모습과 외상적 지점을 되풀이하는 반복충동의 구조는 비역사적이고 무의식적인 주체의 인식 태도를 반영한다. 이러한 분석 과정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신경증적 메커니즘이 하나의 저항지점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즉 신경증이 나타내는 바는 바로 존재론의 차원이며, 이러한 존재론을 기반으로 한 리얼리즘 미학의 정점을 구현하고 있는 것이 바로 『삼대』이다. 『삼대』의 근대주체들이 보여주는 신경증은 현실 세계에서의 문학과 같은 위상을 가진다. 결국 현실을 반영하면서 동시에 탈주를 모색하는 애정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depth principle in through analyzing its neurosis type which is considered as a symptom of modernity. For this purpose, I examine neurosis topology in the modernity discourse by revealing a relation between modernity and neurosis, then look over the way this mechanism works as an essential organizing principle in text. In the second chapter, I inspect a process formed as a neurotic modern subject and an aspect related to other. The process of changes in modern subject, from to , can be summarized as transference from madness to neurosis. This formation of neurotic modern subject comes after the subject gets the sense of the real, and in this case, this neurosis is a neurosis of intelligentsia. These subjects make a relationship with other through a parricide motif. In the third chapter, I examine neurosis as an inner form. Firstly, I inspect a neurosis type which "sympathizer" materializes, then reveal that the rhetoric in is a neurotic rhetoric. Lastly, I confirm that a structure of is a structure of repetition compulsion. This inner form is produced by neurosis mechanism. A subject distorts a story time as repeating questions and delaying judgements, and the structure of repetition compulsion repeats a traumatic point. It reflects a subject's attitude which can be understood as non-historical and unconscious. Through this analysis, it seems that neurotic mechanism acts as resistance point. So to speak, neurosis reveals an ontological level, is the one that expresses a peak of realism aesthetic based on the ontological level. The neurosis shown by modern subjects in has the same level with the literature in real world. After all, both literature and neurosis are an expression of affection for the world which represents the world and tries to escape at the same tim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50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22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