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진곤-
dc.contributor.author이지헌-
dc.date.accessioned2020-04-13T17:36:45Z-
dc.date.available2020-04-13T17:36:45Z-
dc.date.issued2007-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47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673en_US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발전 방향을 밝혀줄 고등교육의 이념을 탐구하는 데 있다. 대학이 교육의 기능을 중시하고 대학교육이 명실상부하게 고등교육의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려면 먼저 대학과 교육을 제대로 이해하고 이를 이끌어가는 데 도움이 될 근본적 개념과 이해 방식이 명확하게 정립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기초적인 철학적 연구를 토대로 삼을 때 대학교육이 직면한 구체적 문제점들을 찾을 수 있고 이를 개선할 방안과 전략적 대책을 적절히 마련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을 보면, 먼저 대학교육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핵심 아이디어를 찾아 분석하였고, 대학교육이 질적으로 향상되도록 한다는 일이 어떤 활동인지를 논의하였다. 또한 대학교육을 이해하는 데 근본이 되는 개념을 지식과 비판으로 보고 이 두 가지 개념이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이며, 이를 중심으로 대학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인지를 밝혔다. 이 연구는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대학교육의 이념을 탐구하였다. 대학의 세 가지 기능인 연구, 교육, 봉사 중에서 교육에 대해서 관심을 집중하고 대학교육 활동을 이해하는 데 핵심이 될 개념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대학교육을 둘러싸고 나타나는 거대한 변화 중에서 두 가지 현실적인 문제에 주목하였다. 하나는 객관적 지식이나 보편적 진리와 관련된 인식론적 문제요 다른 하나는 이데올로기적 통제나 학문적 자유와 관련된 사회철학적 문제다. 이는 비판이론의 시각에서 인식과 관심의 팽창 속에서 대학교육을 이해하고자 할 때 부각되는 중요한 문제들이다. 이 특성을 가진 교육철학은 바네트(R. Barnett)에 의해서 시도되었다. 대학의 기능 중에서 교육 기능을 매우 중시하고,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고등교육에 접근하는 바네트의 고등교육철학을 기반으로 삼아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교육을 이끌어갈 방향을 탐구하는 방식으로 접근하였다. 고등교육의 이념 정립에 관한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교육의 이념 정립은 대학교육의 이념을 세우는 일에서 출발해야 하며, 대학교육의 이념은 학생들을 유능하고 비판적이며 자율적인 인간으로 발달시키는 방향으로 정립되어야 한다. 둘째, 대학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량화가 가능한 평가지표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학습과 발달의 질을 개선시키는 활동을 먼저 중시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 교육과정, 교수-학습, 학생 평가, 교수법 개발의 질을 제고시키는 활동을 촉진해야 한다. 셋째, 대학은 사회 환경의 변화나 지식 세계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므로 대학교육은 사회가 필요로 하는 학문적 능력과 직업적 능력을 길러주어야 하지만 학생들이 개인으로서 그리고 사회적 존재로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어가는 능력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넷째, 대학은 비판정신의 전당으이므로 학생들이 비판적 존재와 비판적 삶의 가치를 인식하고 또한 비판적 사회를 실현하도록 교육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서 대학 내외에 비판적 담론의 공간을 조성해야 한다. 이 연구의 한계는 교육 기능을 중심으로 고등교육의 이념을 탐구했기 때문에 연구 및 봉사 기능과 함께 종합적으로 대학의 이념을 고찰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대학교육의 특수한 측면을 밝혀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 영국 고등교육 철학의 접근방식을 토대로 삼아 한국 대학교육의 이념을 탐색하였으므로 현실적합성에서 미흡한 측면이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비판이론의 관점에서만 접근하였기 때문에 다른 철학적 시각에서 접근할 수 있는 고등교육의 이념과 비교되지 못했다는 점도 한계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dea of higher education which can indicate the ways university education goes. The idea of higher education implies fundamental and general purposes which are essential for university education. To lay weight on educational function and maintain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the basic concepts and ways of understanding university are primarily needed. It is an inevitable philosophical work that should be undertaken separately besides the practical studies including the finding of the concrete educational problems and its strategical alternatives the university takes. It is rare to find out academic discourses on the education of Korean universities. There are much research about school instructions but little about university education. The education function of university, especially about its core aspects should be handled in-depth. Of the three educational functions research, education, and social service, the quality of education needs to be intensively investigated and be comprehended in the changing society. This study notices two main problems out of universities surrounded by enormous changes. One is the epistemological issue relating to the objective knowledge and universal truth. The other is the social-philosophical issue on the ideological control and academic freedom. These issues need to be explored because the university education appreciated that the knowledge world and society's interest in it have expanded. It is an approach based on Barnett's educational philosophy who approached higher education from the standpoint of critical theory. He not only examined the idea of university, but also made much of educational function of university. This paper analyses the core concepts which are necessary for understanding university education and discuss what are needed to enhanc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of university education, two main concepts, knowledge and criticism, are analys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se two concepts, what kind of activity the university education should be can be reveal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idea of university should start from establishing ideas for "higher" education. This enables students to be trained and taught in capable, critical, and autonomous ways. Secondly,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the quality of students' development and learning experience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instead of measurable indicators. Activities to promote the qualities of curriculum, teaching-learning process, student evaluation, and teaching methods development need to be encouraged. Thirdly,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tudents' ability academically and vocationally since the university is closely interconnected with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knowledge world. Nevertheless, teaching them as capable individuals to lead their lives autonomously should not be ignored. Lastly, university, a sanctuary of criticism,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realize that they can appreciate the value of critical life, recognize themselves as critical beings and realize their beliefs in the critical society providing space for critical talks for both in and out of university.-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고등교육의 이념에 관한 철학적 연구-
dc.title.alternativeA Philosophical Study on the Idea of Higher Education based on R. Barnett's Educational Theory-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지헌-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Jee-Hu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교육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교육철학-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